총 1113건
국제도덕협회종지
국제도덕협회
국제도덕협회에서는 경앙천지(敬仰天地) 예배신명(禮拜神明) 효순부모(孝順父母) 존중사존(尊重師尊) 독신붕우(篤信朋友) 화목향린(和睦鄕隣) 근언신행(謹言慎行) 개악향선(改惡向善) 본성회복(本性回復)의 9대 항목을 종지로 제시하고 있다. 경앙천지는 만물을 내고 기르는 천지의 은혜를 잊지 않고 우러러 공경한다는 의미이고 예배신명은 신명에게 공손히 예배한다는 뜻이며 효순부모는 자신을 낳고 기른 부모에게 효도한다는 의미이다. 존중사존은 스승을 존중한다는 뜻이고 독신붕우는 벗 사이에는 돈독한 신험(信驗)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며 화목향린은 이웃 간에 서로 화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근언신행은 말과 행동을 삼가고 신중히 한다는 의미이고 ...
2025-06-01 23:25

0
국제도덕협회선언
국제도덕협회
1953년 9월 1일 서울 인덕법단에서 신숙희를 회장으로 국제도덕협회가 재설립되고 이때 한국일관도의 선언문·강령·종지를 선포하였다. 선언은 3가지로 국제도덕협회가 지향하는 바를 담고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一. 본회는 전인류의 도덕생활 영역에서의 평등함과 공존의 권리가 있다는 진리에 입각하여 도덕 사회조성에 이바지한다. 二. 본회는 모든 종파를 초월하여 생래적(生來的)인 향성의 진리를 사회생활에 구현함으로서 덕화사회 건설을 실현코자 한다. 三. 본회는 불이법문(不二法文)의 진리에 입각하여 국문 도덕을 계몽앙양 실천케 함으로서 고유도덕을 만방에 떨치고 파륜의 세도를 호륜정도(護倫正道:윤리강상을 보호하고 도를 ...
2025-06-01 23:24

0
구서
대종교
①어버이에게 효도하지 않는 이를 내친다. ②형제끼리 우애하지 않는 이를 내친다. ③친한 벗에게 미더웁지 않은 이를 내친다. ④나라님께 충성하지 않는 이를 내친다. ⑤어른에게 공손하지 않은 이를 내친다. ⑥공익사업에 서로 힘쓰자. ⑦허물이 있으면 서로 경계하자. ⑧환란이 있으면 서로 구휼하자. ⑨예속을 이루어서 함께 두터운데 돌아간다.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6-01 00:43

0
구변도설
대종교
본 도는 서일이 원방각(圓方角)의 삼묘(三妙)를 응용하여 진망(眞妄)의 이치를 도해한 것이다. 이 도설은 천신(天神)과 인물(人物)을 각각 상단과 하단에 그려 놓았으며 이 둘의 관계를 도해하였음을 보여준다. 먼저 천신의 본체에서 정(精)·성(性)·명(命)의 삼진(三眞)이 나온다. 이는 사람과 만물이 모두 천신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삼진은 사람이나 만물에 따라 치우침이 있어서 사람에게는 신(身)·심(心)·기(氣)의 삼망(三妄)이 나온다. 삼진과 삼망이 서로 맞서게 되어 촉(觸)·감(感)·식(息)의 삼도(三途)가 생겨나는데 이 삼도는 사람들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이를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
2025-06-01 00:39

0
구금고황
대종교
이용태는 1942년 11월 19일 일제가 대종교를 탄압하기 위해 조작한 임오교변으로 일경에 의해 체포된다. 그는 일본의 패전으로 조국이 해방되면서 출감하였고 이후 임오교변에 의해 체포되어 갖은 고문을 당하였던 일들과 옥중에서 겪은 고통 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하여 남겼다. 이에 의해 임오교변으로 사망한 임오십현의 옥중에서 있었던 일들과 일제의 만행이 세세하게 세상에 공개되었다. 부기(附記)로 이적(異蹟)이라고 하여 자신들을 체포하고 구금하며 고문했던 담당자들이 급사하는 등의 일에 대해 3가지를 기술해 두었다. 참고문헌 : 『구금고황』(이용태 1946)
2025-06-01 00:32

0
구궁법
이 법은 중국의 헌원씨(軒轅氏) 때부터 시작하여 점차로 발전되어 오다가 주나라 문왕(文王)이 『주역』을 만들 때 확정된 것으로 창시자는 강태공(姜太公)이라고 한다. 이 법은 낙서의 배치 수에 따라 감(坎)이 1 곤(坤)이 2 진(震)이 3 손(巽)이 4 중앙(中央)이 5 건(乾)이 6 태(兌)가 7 간(艮)이 8 이(離)가 9의 순으로 되어 있다. 설국(設局)하는 방법은 연월일시의 천간(天干)의 수를 더하여 9로 뺀 뒤 남은 수를 중궁에서 일으켜 역순으로 9·8·7…의 차례로 배치하고 지지(地支)의 수를 후천수로 더하여 9로 뺀 뒤 남은 수를 중궁에서 일으켜 1·2·3…의 순으로 배치한다. 제갈량(諸葛亮) 등에 의해 세 ...
2025-06-01 00:31

0
구국운동양성처
1947년 정요순이 창립한 광명도의 별칭 중 하나.
2025-06-01 00:29

0
구곡사
대한불교불승종
대한불교불승종 속속의 본 사찰은 2001년 창건되었다. 현재 주지는 송월이며 주소는 Sulsong Foundation Marshall VA20115 USA이다. 참고문헌 : 현불사 홈페이지(http://www.hyunbulsa.org/)
2025-06-01 00:28

0
구곡도방
삼덕교
삼덕교(三德敎)를 창립한 허욱(許昱 1887-1939 호 南松)은 1914년 이치복(李致福)과 그의 연비 김형국으로부터 도를 받은 후 1920년 10월 도의 연원을 밝히는 연원법식(淵源法式)을 거행했다. 그 후 전라남도와 충청남북도 일대 표교에 성공하여 많은 신도를 얻음으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921년 도방의 조직에 착수했다. 처음에 전국을 3교구로 나누는 삼동도방(三棟道房)을 조직했다가 다시 9교구로 나누는 구곡도방으로 개편했다. 1922년 9월 허욱은 각 지방 대표들이 모인 자리에서 신명의 계시로 받은 구궁도(九宮圖)의 구주(九疇)의 원리에 의한 一二三四五六七八九의 수기(數氣)와 무이구곡(武夷九曲)의 ...
2025-06-01 00:27

0
구갑비장경
인도교
인도교의 경전. 교조의 생애 언행 사상 교단의 약사를 기록해 놓은 문헌.
2025-06-01 00:2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