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대한불교교화종

|

본종은 1987년 2월 이설호와 최공덕 등의 주도로 창종된 불교종단이다. 석가모니의 수기로 후천세에 재신하여 말법오탁중생을 교화하고 지상극락을 창조하는 미륵불의 혜명을 받들어 십선지 보살도를 행함을 기본교리로 한다. 소의경전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미륵정토삼부경(彌勒淨土三部經)』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이다. 1987년 2월 이설호와 최공덕이 대구시 신암동에 임시 총무원을 두고 창종 발기 대회를 개최하여 이듬해 10월 초대 종정에 이설호를 추대하고 11월에 초대 총무원장에 최공덕이 취임하였다. 1990년 2월 기관지 『대구불교저널』을 창간하였다. 1992년 3월 이설호가 입적하고 1993년 3월 총무원을 부산시 ...

2025-07-05 19:59

11

대일여래단군

|

천화불교(天華佛敎)

천화불교(天華佛敎)에서는 단군(檀君)을 대일여래(비로자나불)의 억천만화신(億千萬化身) 중에 한 화신(一化身)으로 본다. 참고문헌 : 『한국불교 유가밀교』(천화불교포교원 1968)

2025-07-03 17:30

11

대산종사

|

본명은 영호(榮灝). 법호는 대산(大山). 법훈은 종사. 1914년 음력 3월 16일 전북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에서 부친 인오(金仁悟)와 모친 안경신(安敬信)의 5남매 중 장남으로 출생했다. 소태산대종사와 정산종사의 뒤를 이어 1962년(원기47)부터 1994년(원기79)까지 원불교 종법사를 역임했다. → 김대거(金大擧)

2025-07-03 16:10

11

대봉도

|

원불교를 크게 받들고 선양한 출가교도에게 드리는 법훈. 원불교에서는 출가교도 가운데에서 공부와 사업에 큰 업적을 쌓아 공부성적과 사업성적을 합한 원성적이 정특등에 해당되는 사람에게 대봉도의 법훈을 드린다. 이는 유공자를 찬양 예우하여 추원보본(追遠報本)함으로써 많은 대각도인(大覺道人)과 대봉공인(大奉公人)이 계속해서 나오도록 권장하는 제도이다. 공부성적으로 여섯 등급과 중간에 예비등급이 있고 사업성적으로 여섯 등급과 중간에 준등급(準等級)이 있어 이 두 등급의 성적을 합한 성적을 원성적이라 하고 원성적에도 특등에서 5등까지 여섯 등급과 중간에 준등급이 있다. 원성적이 특등인 출가교도에게는 대봉도 재가교도에게는 대호법(大 ...

2025-07-03 16:06

11

대동교

|

박성호는 1919년에 천도교에 입도하였지만 1922년 수운교로 옮겨 중요 간부가 되었다. 이후 1932년에 수운교에서 나와 ‘수운교별파’라는 이름으로 독자적인 활동을 하다가 1934년에 본부를 계룡산 신도안 백암동으로 옮긴 후 교명을 ‘대동교’라 고치고 활동하였다. 이후 원용문이 박성호를 계승하여 교명을 ‘동학회중앙본부’로 바꿔 독자적인 활동을 하였다. 신앙대상이나 사상은 동학사상과 같다. 특히 최제우의 심(心)은 영부(靈符)인 동시에 만법의 왕이요 천성(千聖)의 어머니라 말하고 심법을 알고 활용할 줄 아는 수도인이 될 것을 강조했다. 참고문헌 : 『朝鮮의 類似宗敎』(村山智順 저 최길성․장상언 공역 계명대학교출판부 19 ...

2025-07-02 01:19

11

단월드연구소

|

단학

이승헌은 1980년 안양시 충현탑 공원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단학을 보급하기 시작하여 1985년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단학선원(한국단학선원연구소)을 개원하였다. 단월드는 종교적인 성격이 있음에도 종교단체라고는 하지 않는다. 1993년 주식회사로 등록하고 심신수련 및 뇌교육을 담당하는 정신건강 전문업체로 발전하였다. 1997년에는 수련방법에 두뇌활용법인 ‘뇌호흡법’을 도입하였다. 2002년에 사업장 명칭을 또는 ‘단월드’(단월드연구소 영어명 Dahn yoga 일본어명 イルチブレインヨガ)로 개칭하였다. 심신수련 과정을 보면 다음 3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기본과정에서는 매일 한 시간 동안 기체조 호흡 명상을 각 20분씩 수련하 ...

2025-07-02 00:36

11

단군마니경전

|

단군마니숭조회

단군마니숭조회의 창립자 박종간은 자체적으로 여러 경전을 간행하였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단군마니경전』·『천부의 맥』·『맥의 천리』 등이다. 『단군마니경전』은 많은 경전 중에서도 본교의 가장 근본되는 경전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실제 이 경전의 구성이나 내용 등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세간에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7-01 22:16

11

단군교부흥경략

|

대종교

본서의 구성은 단군강세(檀君降世)·비서갑씨급사황자(匪西岬氏及四皇子)·단군세기(檀君世紀)·천부경(天符經)·삼일신고(三一神誥)·향사예식절차(享祀禮式節次)·찬송문(贊頌文)·단성전건축(檀聖殿建築)·신전봉찬회발기(神殿奉讚會發起)·교문부흥후삼십년경과약요(敎門復興後三十年經過略要)·지교설립(支敎設立)·송녹아도서(送鹿兒島書) 등으로 되어 있다. 비서갑씨급사황자편에서는 비서갑화백의 신녀인 비서갑씨가 단군의 후(后)라고 하였으며 이들이 부루(夫婁)·부소(夫蘇)·부우(夫虞)·부여(夫餘)를 낳았다고 하였고 단군세기편에서는 단군의 강세와 건국년 재위기간 47대 단군조선의 왕검에 대한 역사 등을 기록하고 있다. 천부경편에서는 이 경전이 1917년 ...

2025-07-01 22:07

11

남학

|

남학(南學)에 대해 이능화(李能和)는 『조선도교사(朝鮮道敎史)』에서 ‘동학(東學)과 같은 시기에 호서(湖西)지역(충남도)에서 처음 창도되었고 이운규가 1세교주 김항(金恒: 호 일부 충청도 연산군 남면 담곡리 사람)이 2세교주 권일청(權一淸)이 3세교주’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보면 남학은 1860년대 동학과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종교운동의 한 양태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운규가 실제로 종교운동을 펼쳤는지는 의문이며 당시 남학이라는 명칭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동학의 최제우(崔濟愚)가 자신의 교법을 단지 ‘무극대도(無極大道)’라고 하였으며 김항도 깨달음을 얻은 후 자신의 교법을 ‘무극대도’라고 하였다는 점 등 ...

2025-07-01 01:33

11

기장 신앙촌

|

전도관

기장의 신앙촌은 전도관 박태선이 소사신앙촌 덕소 신앙촌에 이어 세 번째로 건설한 신앙촌이다. 신앙촌은 정기적으로 전도관 교인들이 모여 절기예배 집회를 하는 성지이며 신앙촌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다. 또한 죄와는 무관히 영원히 살아가는 곳이며 박태선이 약속한 천년왕국이자 박태선과 함께 영원히 살고자 했던 14만4천 의인들의 지상천국 공동체이다. 2010년 현재 흔히 신앙촌이라 하면 제3신앙촌인 기장 신앙촌을 가리키는 것이다.

2025-06-30 01:22

11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