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44건
가정과 건강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원서는 1943년에 출판된 『당신의 가정과 건강(Your Home and Health)』이다. 국내에서는 1950년에 시조사에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이 저서는 총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로 건강과 행복한 가정의 토대는 신앙에 있음을 제시하면서 건강 유지법 간호 부부관계 자녀교육 등을 다루고 있다. 저서 내용의 많은 부분은 1905년에 출판된 엘렌 지 화이트의 『건강생활의 지혜(The Ministry of Healing)』에서 언급된 것이다.
2025-04-25 15:12

4
가이헤이칸
대종교
나철은 계몽운동가 외교가 종교지도자로서 한국근대사에 큰 자취를 남겼다. 그는 일제의 침략에 의해 국운이 위협받던 1905년 6월부터 1909년 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대일외교항쟁을 전개하였다. 마지막 4차 도일(渡日) 때 가이헤이칸에서 백두산계 도인 두일백을 만나 극적인 종교체험을 하고 종교지도자로 변모하게 된다. 가이헤이칸이 속한 홍고구(현 분쿄구)는 도쿄의 중심부로 리쿠기엔[六義園] 유시마신사[湯島神社] 문인과 묵객의 자취가 많은 유서 깊은 지역으로 재일한국유학생 최대 거점이기도 했다. 가이헤이칸은 1935년 다이에이칸[太榮館]으로 개명했고 1954년에는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건물을 새로 지어 현재도 영업중이다. 도 ...
2025-04-25 15:11

4
가을개벽
증산도
증산 강일순은 상제의 권능으로 천지공사를 하여 말세운에 처한 세상을 선경으로 건설했다고 하는데 이 사상을 증산도에서는『주역』사상에 대입시켜 풀이하여 표현한 것이다. 증산은 ‘하도(河圖) 낙서(洛書)는 태고시대의 도술로 가을개벽의 운수를 포태하여 세계를 길러왔다(胞運胎運養世界)’고 말했다. 우주는 일태극수(一太極水)가 동(動)하여 오황극(五皇極)의 생장운동을 거쳐 십무극(十無極)에서 가을개벽의 성숙운을 맞이하게 된다는 것이다. 증산은 가을개벽(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하여 많은 공사를 했는데 그중에 하나가 ‘가을 대개벽의 여명의 천지 북소리’이다. 그는 1906년 9월 김형렬을 대리고 함열 회선동 김보경의 집에 이르러 보경 ...
2025-04-25 15:08

4
가신신앙
기층신앙
고대에는 지금과 같은 가신신앙은 없었다. 집이 없었기 때문이다. 집 혹은 그 소유에 대한 관념이 생긴 것은 조선 후기 민촌(民村)의 형성 이후다. 물론 궁궐이나 반촌(班村) 가옥의 신격에 대한 신앙은 오래되었지만 그 신격은 대부분 중국의 신격들을 모방한 것이다. 가신의 우두머리는 성주다. 보통 대들보 상량신(上樑神)으로 모시고 한지로 형상을 갖춰 모시거나 성주단지에 신곡(新穀)을 넣어 모신다. 정초의 안택(安宅)이나 시월 상달의 고사(告祀)에서 제일 먼저 모시는 신령이 성주님이다. 집을 지켜주는 신령이기 때문이다. 가신 신앙의례의 주체는 대모(垈母)님이다. 할머니에서 며느리로 이어지는 신앙이다. 가신의 가장 오랜 존재는 ...
2025-04-25 15:00

4
가상공동체
인터넷을 매개로 가상공간에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며 형성된 공동체이다. 가상공동체는 일반적으로 대면접촉 물리적 장소의 공유 공식적인 회원가입 등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서도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집단정체성을 형성하는 등 공동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공동체는 규모와 성격 등이 매우 다양하다. 완전 개방형에서 비공개형에 이르기까지 개방성의 정도에서 다양한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으며 공동체적 특성의 강도 및 형태는 개방성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가상공동체의 구성원들은 경험을 통해 공동체의 독특한 성향을 인지하고 공동체의 고유 영역을 형성하며 일종의 은어나 회원가입제 게시판 접근의 단계 ...
2025-04-25 14:57

4
용호도량
수운교
수운교 본전인 도솔천궁을 중심으로 광덕문 용호문 보화문 성덕문의 4대 문안의 내원정토를 용호도량 또는 청정용호도량이라고 한다. 이 용호도량은 후천 새 세상 5만년으로 들어가는 만화귀일처이다. 용호도량은 일룡만호(一龍萬虎)의 대 도량이다. 일룡은 한 분이신 수운천사를 상징하고 만호는 수운천사의 사은으로 일심동령이 된 1만 선인군자를 상징한다. 수운교에서는 교인에게 도호를 내릴 때에 범 호(虎)자로 수여한다. 교인 한 사람 한 사람이 범이 된다. 그래서 후천 시대에는 용과 호가 상응하는 용호 상응시대가 된다고 한다.
2025-04-02 19:21

4
금광교
근대에는 교파신도 13파에 현재는 교파신도 연합회에 소속되어 있다. 1859년 아카자와 분지(赤沢文治 1814-1883)가 인간을 포함한 만물의 근원인 텐치카네노카미(天地金乃神)에 대한 신앙을 내걸고 창립했다. 묵주교(黒住教) 및 천리교(天理教)와 더불어 에도(江戸)시대 말기에 성립된 3대 신종교로 불리고 있다. 현재의 본부는 오카야마현 아사쿠치시(岡山県浅口市)에 있으며 교회는 서일본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1903년 마에다 타스케(前田吾助)가 부산 부평동에 부산교회소를 처음 열어 부산에 거류하는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포교활동을 하였다. 차츰 식민지 정책에도 동조하며 한국인에게도 교선을 확장하였지만 신자 수 ...
2025-06-03 17:41

3
금강불교연원록
금강불교
김치인의 남학은 이운규를 연원으로 하며 그 법맥이 이운규의 아들인 용래와 복래로 계승되어 김치인으로 이어진다고 밝히고 있다. 본 서적은 김치인 등이 일제에 의해 처형된 이후 남학의 정통이 김용배의 금강불교로 계승되었음을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서의 구성은 앞부분에 서(序)가 있고 팔정사서와 삼찬기(三讚記)․팔찬지(八讚誌)가 부기되어 있으며 오선사도맥전수록(五先師道脈傳授錄)․팔정사연원록(八淨詞淵源錄)․삼찬연원록(三讚淵源錄)․팔찬연원록(八讚淵源錄)․삼오백팔연원록(三五百八淵源錄)․제33연원록․제28연원록 등으로 되어 있다. 이 가운데 남학의 도맥에 대한 내용은 오선사도맥전수록에 기술되어 있으며 남학(南學)의 ...
2025-06-03 17:27

3
금강륜상
대한불교진각종 항목체계 : 의례/상징/문화예술
금강륜상은 대한불교진각종의 교리와 수행의 상징으로서 금강계구회만다라(金剛界九會曼茶羅)를 원으로 표현하고 그 가운데 5불(佛)을 표시하고 있다. 내부의 5륜(五輪)과 외부 대원(大圓)은 육대(六大)를 상징하는데 내부 5륜은 각각 지(地)․수(水)․화(火)․풍(風)․공(空)을 외부 대원은 식(識)을 상징한다. 내부 4선은 대만다라(大曼茶羅) 삼매야만다라(三昧耶曼茶羅) 법만다라(法曼茶羅) 갈마만다라(羯磨曼茶羅)의 사만(四曼)을 상징하고 내부 5륜은 신밀(身密) 내부 4선은 구밀(口密) 외부 대원은 의밀(意密)을 상징한다. 또한 내부 5륜은 각각 옴․마․니․반․메를 외부 대원은 훔을 나타내어 육자대명왕진언을 상징하고 있다. 참 ...
2025-06-03 17:17

3
귀신론
기독교남침례교회(성락교회)
일반적으로 귀신이란 죽은 자의 영혼 혹은 혼백을 말하지만 기독교 성경에서는 ‘타락한 천사의 무리’로 규정된다. 그런데 김기동 목사의 베뢰아 신학에서는 전통적 신학 해석과 달리 귀신을 ‘불신앙자의 죽은 영혼’이라고 주장한다. 베뢰아 신학의 귀신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귀신은 ‘제 명(命)에 죽지 못한 불신자의 사후 영혼”이다. 이 존재가 구천(九天)을 떠돌다 자손에게 들어가 병이나 사고를 일으킨다고 한다. 둘째 인간의 질병과 사고는 빠짐없이 귀신의 작용이라고 설명한다. 셋째 귀신에 의한 질병은 바로 그 귀신이 직접 지닌 질병이라고 설명한다. 즉 벙어리 귀신이 들면 그 사람이 바로 벙어리가 되었다는 식이다. ...
2025-06-03 16:5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