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44건
권동진
천도교
권동진은 어릴 때 한성부로 이주하여 조선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참령(陸軍參領) 함안군수(咸安郡守) 거문도첨사(巨文島僉使) 등을 역임했다.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일본으로 피신 망명하였다가 다시 개화당에 들어가 구한말의 개혁운동에 참가하였다. 1895년 거문도첨사로 있을 때 명성황후 시해(을미사변)에 연루된 혐의를 받아 일본으로 망명하여 1907년까지 일본에 체류하던 중 손병희의 권유로 동학에 입도했다. 1906년 오세창과 함께 만세보와 대한민보 발행하고 1919년 3․1 운동 때에는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운동을 주도하다가 일본 경찰에 붙잡혀 3년간 수감 당했다. 출옥 후 천도교에서 발간하던 ...
2025-06-03 15:45

3
권극중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정지(正之) 호는 청하(靑霞)이다. 전라도 고부(古阜 오늘날의 정읍)에서 태어났다. 13세 때부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인 최명룡(崔命龍)에게서 성리학을 배웠고 28세 때인 1612년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다. 1613년 인목대비(仁穆大妃)가 폐출되자 은둔할 뜻을 품고 도교(道敎)의 내단사상(內丹思想)을 연구하기 시작하였으며 55세 때인 1639년 『참동계주해(參同契註解)』를 저술하였다. 이 책은 내단사상의 기본 경전인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를 주해한 것으로 조선시대 도교사상을 대표하는 저서이다. 여기서 그는 역(易)에 의거하여 내단사상을 정초(定礎)한다는 단역참동론(丹易參同論) 선불교 ...
2025-06-03 15:40

3
굿
기층신앙
무속의 굿은 굿의 목적에 따라 크게 무당을 위한 굿과 일반 사람을 위한 굿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일반 사람을 위한 굿은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굿과 죽은 사람을 위한 굿으로 나뉜다.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굿은 굿의 실천단위에 따라 가정굿과 마을굿으로 나눠진다. 마을굿은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정기적인 제의이다. 가정굿은 굿이 행해지는 시기에 따라 다시 정기제와 임시제로 나뉜다. 정기제는 일정한 시기에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굿으로 대표적인 것으로서 재수굿을 들 수 있다. 재수굿은 천신(薦新)굿이라고도 하며 계절에 따라하거나 매년 또는 해를 걸러서 한다. 재수라는 말은 무병 장수 재복 등을 다 포괄하는 것으로 재수굿 ...
2025-06-03 15:18

3
국제불교포교사대학
대한불교삼론종
1992년 7월 15일 개교한 대한불교삼론종 산하의 교육기관. 참고문헌 : 『한국불교총람』(대한불교진흥원 2008)
2025-06-01 23:28

3
국제도덕협회강령
국제도덕협회
국제도덕협회에서는 강령으로서 도덕제세(道德濟世) 진리화민(眞理化民) 구정세도(救正世道) 실천강륜(實踐綱倫) 국시순응(國是順應)의 다섯 항목을 강령으로 제시하고 있다. 도덕제세는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의 한 점 티끌이나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천리양심(天理良心)으로 험악한 세상인심을 바로잡는다는 의미이다. 진리화민은 나쁜 습관과 버릇으로 익혀진 습기(習氣)를 진리로 변화시켜 새사람이 되도록 교화하여 이끈다는 의미이다. 구정세도는 술류동정(術流動靜)의 신비롭거나 기기묘묘한 현상으로 미혹되게 하여 현혹하지 않고 정도정법(正道正法) 곧 심법(心法)으로 중생을 구원한다는 뜻이다. 실천강륜은 잃어져 가는 강상과 윤리를 궁행 실 ...
2025-06-01 23:23

3
국제도덕협회
1951년 개별적으로 활동해 오던 중국계 신종교 일관도(一貫道)가 도덕초기회(道德礎基會)라는 명칭으로 통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교단의 주도권 갈등으로 인해 도덕회(道德會) 대한도덕회(大韓道德會) 국제도덕협회(國際道德協會) 등의 분파가 성립한다. 이 중에서도 현재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것이 국제도덕협회이다. 본회의 설립자 김복당은 조선 시대 중국 청나라에 사신으로 건너간 경주 김씨의 13대손으로써 22세인 1936년 일관도에 입신하였다. 1947년 일관도 제18대 조사인 장천연의 명으로 김은선(金恩善) 등과 함께 한국으로 건너와 본격적인 포교활동을 시작한다. 1948년 서울 충무로에 도덕사(道德社)를 개설하는데 이곳은 ...
2025-06-01 01:54

3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단월드
단월드를 창립한 이승헌은 1999년에 학교법인 ‘한문화학원’을 설립하고 2002년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를 설립 2003년에 개교했다. 2008년에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건학 이념으로 하며 뇌 교육학과 국학과 평화학과 등이 설치되어 있다. 뇌 교육학과는 뇌 활용 학습 과학 전공 두뇌 계발·상담 전공 뇌 융합 콘텐츠 개발·평가 전공의 3개 전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학과는 선도 사상·문화 전공 역사·천손 문화 전공 자연 치유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화학과는 홍익 정치·사상·문화 전공 평화 지도자 전공 NGO·글로벌 협력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대학교 부설 교육 ...
2025-06-01 01:53

3
국선도본원
청산선사로 알려진 고경민은 1970년 한민족 고유의 수련법을 보급하기 위해 국선도 최초의 도장을 개원했다. 1984년에 고경민이 홀연히 사라진 후에 여러 분파로 갈라졌는데 국선도본원은 2015년 현재 고경민의 아들인 고남준이 설립한 국선도연맹과 통합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선도에서는 수련을 통해 우주의 의식과 하나가 되어 생명의 질서를 깨닫고 구활창생의 도를 강조한다.
2025-06-01 01:43

3
국선도대학
세계국선도연맹
국선도대학은 국선도의 수련법과 정신문화를 계승 발전시켜서 세상에 널리 보급할 지도자와 국선도 전문 수행자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세계국선도연맹 산하의 자치적 교육 기관이다. 2000년 경남 하동군 청암면 궁항리 소재의 백궁선원에서 수련생 29명을 두고 처음 설립되었다. 2015년 현재는 충남 공주시 이인면에 위치하며 교육 과정은 생활강사과정 수사과정 사범과정 국선무도과정 연구과정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단계별로 국선도의 내공 외공 수련법들을 익히게 된다. 졸업생들은 국선도 전수장을 운영하거나 국선도 지도사범이 될 수 있다.
2025-06-01 01:39

3
국보법사단
대한불교유마종
1992년 무해(법해)에 의해 창교된 대한불교유마종(도솔천유마종)이 1994년 4월 6일 조직한 법사조직이다. →대한불교유마종 참조 참고문헌 : 『한국불교총람』(한국불교총람편찬위원회 대한불교진흥원 1999)
2025-06-01 01:2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