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4

계살방생

|

금강대도

죽이는 것을 경계하고 산 것을 놓아 준다’는 뜻을 가진 금강대도의 실천 도덕 내용 : 금강대도에서는 살생을 금지하고 어육(魚肉)을 금하여 채식주의를 철저하게 실천한다. 계살방생을 실천해야 하는 이유는 ‘건곤부모’가 천지 삼라만상을 낳아 기르듯이 그 호생지덕(好生之德)을 배워 천지의 화육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수련 과정에 어육을 좋아하면 심성을 배합하기가 어려워 인도환생은 가능하지만 신선과 부처되기는 어렵다고 한다. 아울러 만물의 영장인 인간으로서 천지 사이의 약소한 것을 보호하며 죽임을 당하는 짐승의 원한이 화가 되어 돌아오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도 이를 실천한다고 한다. 이렇게 죽이는 것을 경계하고 산 것을 ...

2025-05-24 17:44

3

계벽천도도학천사

|

삼천교(三天敎)

고대오(高大五)가 창립한 삼천교(三天敎)의 기본경전 중 하나.

2025-05-24 17:43

3

계명십조

|

선도교

선도교(仙道敎)를 세운 고판례(高判禮 1880-1935 별명 高夫人)가 차경석의 보천교와도 관계를 끊고 이상호의 동화교(대법사)에서도 물러나와 독자적으로 김제 조종골에서 교단을 운영하던 때에 이 계명을 제정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무렵의 역사와 가르침을 정리하여 고민환이 저술한『선정원경(仙政圓經)』에 나타나있다. ①물위투도(勿爲偸盜) 도둑질 하지 말라. ②물위간음(勿爲姦淫) 간음을 하지 말라. ③물위작척(勿爲作戚) 척을 짓지 말라. ④물위시기(勿爲猜忌) 시기를 하지 말라. ⑤물위망언(勿爲妄言) 망령된 말을 하지 말라. ⑥물위기어(勿爲綺語) 말을 꾸며서 하지 말라. ⑦물위자만(勿爲自慢) 자만심을 갖지 말라. ⑧물위도박(勿 ...

2025-05-24 17:38

3

계룡천진전

|

법룡사

1948년에 법룡사를 세운 신수영이 건립한 단군전. 계룡천진전에 봉안한 단군영정은 서울 대종교 총본사에서 모셔온 것이다.

2025-05-24 17:34

3

경허

|

불교

법명은 성우(惺牛)이고 법호가 경허(鏡虛)이다. 속성은 송씨(宋氏)이다. 9세 때 경기도 과천에 있는 청계사로 출가하여 스승 계허(桂虛) 밑에서 5년 간 수행하였고 1862년부터 한학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이후 계룡산 동학사로 옮겨 불교경전과 제자백가를 공부하고 1871년 동학사의 강사로 추대되었다. 1880년 연암산 천장암의 작은 방에 틀어박혀 1년 반 동안 참선을 한 끝에 깨달음을 얻고 “사방을 둘러 보아도 사람이 없구나”로 시작하는 오도송을 지었다. 천장암에서 만공(滿空) 혜월(慧月) 수월(水月) 등 삼대 제자를 받아들여 함께 수행하고 이어서 충청남도 서산 일대의 개심사 부석사 간월암 등지를 유력(遊歷)하면서 제자 ...

2025-05-24 17:08

3

경제혁명맹서(해인영출)

|

광명도

①이농위본(以農爲本) 이공흥국(以工興國)의 신념에서 부지런히 일을 함으로 시간의 낭비를 살려서 수공업으로 남자들은 짚신을 삼고 여자들은 길쌈에 힘쓴다. ②전쟁 병고 기한의 원인이 되는 사탕 술 고기 담배 없는 생활로 물질의 낭비를 살려서 혼상제례의 길흉대사에도 예헌(禮憲)의 진리대로 검소히 한다. ③이기주의 출세주의 기회주의와 같은 나만 잘 살자는 꿈인 정신의 낭비를 살려서 낙토(樂土)건설로 남도 잘 살 수 있게 성인을 실천할 정신수양을 한다. ④구빈(救貧)에 애쓰던 자선사업가 국가지도자들은 솔선수범으로 시간 물질 정신의 낭비를 살려서 진리운동의 선구자이신 삼대성인(三大聖人)을 본받아 자기 자신은 물론이요 자기 가장 식 ...

2025-05-24 17:02

3

경배식

|

대종교 개천경조회

①대종교의 의례에서 행하는 의식은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신의식(神儀式) 경하식(慶賀式) 경배식(敬拜式)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경배식은 매주 경일(慶日) 곧 일요일에 올리는 신앙의식이다. ②개천경조회에서는 매월 15일을 기하여 경배식을 올린다.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문헌 : 『한국신흥종교총람』(이강오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5-23 22:41

3

경념총화

|

수운교

『경념총화』는 1924년에 제자인 박종각(朴鍾珏) 교인이 교주의 명교를 받고 기도 중에 하날님의 말씀을 강서로 받은 글이다. 『동경대전』의 제1장인 「포덕문」의 핵심은 하날님이 내린 ‘영부와 주문’인데 『경념총화』는 강령주문 8자를 제외한 본주문인 ‘시천주 조화정 영세불만 만사지’의 13자를 한 글자마다 장명(章名)을 부여하여 하날님의 말씀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날님의 첫 말씀인 시(侍)에 이렇게 시작한다. “네가 도를 알겠느냐. 끝이 있는 인생에 끝이 없는 사업이 곧 이것이 도이니라”고 했고 본주문의 두 번째 글자인 천(天)에 대해서 이르기를 “네가 하늘을 알겠느냐? 하늘은 곧 내이니 내인즉 하나이니라 오직 하나요 둘 ...

2025-05-23 15:22

3

경기해동불교대학

|

대한불교해동종

대한불교해동종 산하 교육기관으로 2008년 현재 학장은 부총무원장인 송산이다. 참고문헌 : 『한국불교총람』(대한불교진흥원 2008)

2025-05-23 15:20

3

겨레얼살리기운동본부

|

겨레얼지키기 국민운동본부는 전통정신문화 계승발전 인간과 생명의 존엄성 고양 사회통합과 공동체의식 함양 민족통일과 세계평화의 건설을 강령으로 하고 있다. 현재 겨레얼을 지키기 위해 범종교 범국민운동을 전개하고 있음. 현재 국내본부를 포함한 독일지부 미주지부를 두고 있으며 『겨레얼』이라는 회보를 발간 해외동포 전통문화 체험 해외동포학생 백일장대회 등 민족문화증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참고문헌 : http://www.koreaspirit.org

2025-05-23 00:57

3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