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대한불교선교종

|

1992년 10월 5일 최보희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다음의 3가지를 종지로 한다. 첫째 보우국사의 원융정책과 이념을 꽃피우고 선과 교의 겸수를 바탕으로 원효대사의 화쟁(和諍)정신과 만해선사의 유신이념을 실천궁행한다. 둘째 자비정신 이어받아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이념을 구현한다. 셋째 과거의 구태연연한 모습을 버리고 사회대중을 위해 헌신 봉사한다. 본종에서는 본존불로 석가모니불을 모시고 『금강경』과 『화엄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며 종조는 태고부우국사(太古普愚國師)이다. 1992년 10월 5일 창종이후 이듬해 10월 20일 창종 1주년 기념법회를 봉행하였고 1995년 11월 9일에는 제2대 종정으로서 동호가 추대되었다. 20 ...

2025-07-07 09:47

10

대한불교보문종

|

본 종의 총본산 보문사(普門寺 서울 성북구 보문사길 20 소재)는 1115년 담진국사(曇眞國師)가 창건한 이래로 비구니 사찰로 전래되는데 본종은 그 법맥을 계승한다. 보문사는 1757년 비구니 보찬․ 유봉이 대웅전을 1826년 비구니 정운이 좌우승당을 개축하였다. 또한 1842년 비구니 영전 등이 대웅전을 개축하고 1872년 비구니 금훈이 좌우승당을 재건하였다. 그 후 1936년 비구니 이긍탄(李亘坦)이 주지에 피선된 후 관음루․만세루 등을 신축하여 사원규모를 갖추었다. 1971년 8월 5일 비구니 송은영(宋恩榮)은 유지재단 대한불교보문원(大韓佛敎普門院)을 설립하고 법인등록을 하게 된다. 다시 이듬해 4월 20일 대한불 ...

2025-07-07 09:18

10

대한불교법륜종

|

2006년 7월 11일 석탄공(釋呑空)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태고보우(太古普愚)를 종조로 하며 청허휴정(淸虛休靜)를 중흥조로 한다. 석가모니불의 자각각타한 각행원만의 근본정신을 봉체하고 종조의 선교쌍수의 통불교적인 종풍을 전법도생함을 종지로 한다. 소의경전은 『화엄경』과 『금강경』이다. 2006년 7월 4일 대한불교법륜종 창종을 선언하였고 같은 해 7월 11일 인천 보화정사(普化精舍)에서 창종선포식을 봉행하고 초대 종정에 석탄공(釋呑空) 초대 총무원장에 석법주가 취임하였다. 창종자 석탄공은 한국불교법륜종 총무원장을 지낸 인물인데 그의 약력은 다음과 같다. 1958년 19세의 나이로 충남 공주 갑사에서 이대의를 은사로 ...

2025-07-05 21:05

10

대종교삼종사묘역

|

대종교

대종교의 초기 삼종사(三宗師)인 홍암 나철 무원 김교헌 단애 윤세복의 묘역으로 중국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용성향(龍城鄕) 청호촌(淸湖村)에 있다. 용성향 청호촌 청호종산의 조그만 황토 구릉 위에 3위의 무덤이 서쪽 화룡시 건너 청산리를 향하고 있다. 봉분은 중국식으로 만들어 봉분이 삼각형태로 되어 있다. 나철의 묘비에 ‘대종교대종사홍암나선생신해지장(大倧敎大宗師弘巖羅先生神骸之臧)’이라고 되어 있다. 참고문헌 : 『죽은 자의 숨결 산 자의 발길(하)』(강용권 장산 1996) 『국외독립운동사적지실태조사보고서(2000-2001) - 중국 만주지역』(국가보훈처 2001)

2025-07-05 18:56

10

대조사전

|

대한불교천태종

대조사전(大祖師殿)은 충북 단양의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救仁寺)에 위치한 전각으로 천태종 중창조인 상월원각대조사의 존상을 봉안하고 있으며 2000년 11월 5일에 낙성되었다. 건물 형태는 3층의 다포양식으로서 전통 사찰건축양식을 띠고 있으며 높이는 27m이다. 외관으로는 3층 건물이지만 안에는 원통으로 터져 있다. 건물 규모는 1층이 85평 2층이 55평 3층이 27평 정도이며 다포형태는 1층과 2층이 외 7포 내 9포를 이루고 있고 3층은 외 9포 내 11포이다. 참고문헌 : 구인사(救仁寺)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guinsa.org/)

2025-07-03 17:40

10

대성교회

|

조형하(趙衡夏)가 유교진흥의 목적으로 1923년 11월 본회 창립총회를 열어 창립된 유교계 신종교.

2025-07-03 16:19

10

대성교회

|

황해도 해주 출신의 박윤식은 1964년 10월 교인 30명과 함께 원효로에서 전세교회를 시작하였다. 1969년 9월 대방동에 새로 교회를 지으며 ‘시온산 한돌교회’로 개칭하였고 1971년 11월 다시 신림동에 새 교회당을 신축하며 ‘일석교회’로 명칭 변경하였다. 1977년 7월 노량진에 새 성전을 신축하며 교회 명을 ‘대성교회’로 변경하였다. 이후 1980년대에 폭발적인 성장을 맞아 교회건물이 포화상태가 되자 1992년 또 다시 오류동으로 이전하였다. 이 교회는 1995년 1월 ‘평강제일교회’로 최종 명칭 변경되었다. 박윤식은 구속사(救贖史)에 입각하여 성경을 해석하였으며 그가 집필한 ‘구속사 시리즈’는 전 세계 16개 ...

2025-07-03 16:17

10

대법사

|

] 무속인 이옥분(李玉分)이 세운 사찰이다. 사 찰의 본존이 ‘신선할아버지’인 샤머니즘의 색채가 농 후한 토속신을 섬기고 있다. 전각 내에는 여러 불 상이 있는데

2025-07-02 01:33

10

단황전

|

단황전의 창립자 김정숙은 일찍이 구도에 뜻을 두고 토굴에서 10여 년간 수도하던 중 하늘에서 불서기가 몸으로 내리면서 중생을 제도하라는 천명을 받는다. 이후 그녀는 중생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사람들의 운명을 판단해주고 불치의 병을 치료해주며 때때로 단황님께 제수를 올리고 천하통일을 위한 평화기도를 올렸다. 1982년 대전 석경산에서 천인합발을 위한 법시(法施 : 천제)를 올려 천인합발을 이루었다고 하며 앞으로는 제물 없이 수도하는 때가 왔고 단황운이 열려 잘 사는 시대가 도래한다고 하였다. 김정숙은 자신이 신앙하는 단군할아버지가 대종교와도 인연을 갖기 때문에 ‘대종교신도수도원(大倧敎新都修道院)’이라는 간판도 함께 걸 ...

2025-07-02 00:49

10

단군성전건립운동

|

천화불교

천화불교를 창종한 이숙봉(李淑峰)․이정봉(李貞峰)․이희수(李喜秀)는 단군의 계시로 사직공원 안에 단군성전과 사직기념관의 건립을 발원한다. 1960년 사직공원에 있던 무허가 건물을 사들여 천관암(天官庵)이라고 명명하고 1962년 숙원이던 단군성상(檀君聖像)과 사직신(社稷神)을 봉안하였으며 역대창업주와 선열의 위패를 봉안한 뒤 국운회태백일기도(國運回泰百日祈禱)를 드린다. 1963년에는 가건물을 천막으로 위장하고 비밀리에 높게 개축하여 다시 단군신강과 사직신상을 9척으로 재조성한다. 그리고 매년 3월 15일과 10월 3일에 단군사직대제(檀君社稷大祭)를 봉행한다. 1966년에는 사단법인 단군숭모회(檀君崇慕會)와 함께 단군성전을 ...

2025-07-01 22:43

10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