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4

구인사사리탑

|

대한불교천태종

이 탑은 구인사 5층 대법당 앞에 위치하는 3층 석탑으로 1983년 6월 대한불교천태종의 제2대 종정이었던 대충 남익순(1925-1993)이 인도 성지를 참배하던 중 기원정사에서 인연 있는 분에게서 진신사리를 얻어 건립하였다고 한다. 사리탑의 형태는 세 마리의 코끼리로 된 하층 기단위에 상층 기대가 있고 그 위로 3층의 탑신과 옥개가 있으며 그 위로 금속제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코끼리 기단은 남대충이 창안한 것이며 3층 석탑의 모양은 조명기(전 동국대학교 총장)의 자문으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1층 탑신 중앙에 문이 조각되어 있는데 그 안에 진신사리가 봉안되었다고 한다. 1층 탑신의 나머지 면에는 문수보살상 금강장보살 ...

2025-06-01 00:59

3

구복신앙

|

종교는 인간의 고통스러운 현실에 대한 해답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인간이 겪는 가난 질병 등이 종교의 주요 동기가 되는 것은 자연스럽다. 이러한 의미에서 모든 종교는 인간의 현세적 갈망을 충족하고자 하는 기복신앙을 일부로서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사회에서 아들 낳기를 바라는 기자(祈子) 신앙이 있었고 현대에도 대학 입시 합격을 바라는 다양한 기도들이 기독교와 불교를 포함한 대부분의 종교에 존재한다. 동학을 위시하여 대부분의 신종교들이 민중의 고통스러운 현실에 대한 반응으로 출발하였기 때문에 치병(治病)이나 가난의 극복을 강조하였다. 최근에는 종교가 기복신앙의 차원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비판적인 맥락에서 이 용 ...

2025-06-01 00:43

3

교질

|

대종교에서는 교질을 영질(榮秩)이라 하여 다섯 가지의 종류를 두고 있다. ①사교(司敎): 정교가 된 지 5년이 넘은 교인으로 교단을 위한 공적이 높고 큰 교인에게 원로회의에서 공선하며 도형이라 높여 부른다. ②정교(正敎):상교가 된 지 5년이 넘은 교인으로 교리에 밝고 교단에 희생적 공적이 많은 교인을 전교회의에서 공선하며 대형이라 높여 부른다. ③상교(尙敎):지교가 된 지 2년이 넘은 교인으로 교리를 강수할 수 있고 봉공정신이 투철하여 공이 드러난 교인에게 교의회에서 공선한다. ④지교(知敎):참교가 된 지 1년이 넘은 교인으로서 교리에 숙달하고 봉공정신이 투철한 교인에게 도무회의에서 시선(詩選)한다. ⑤참교(參敎):봉 ...

2025-06-01 00:13

3

교리실천도해

|

원불교

1962년(원기47)부터 프린트판으로 보급되다가 1986년(원기71)에 48개의 항목으로 보충하여 발행했다. 중심항목은 다음과 같다. 대종사 게송 정산종사 게송 교리도 개교의 동기 사중보은 사요실천 삼학공부Ⅰ 삼학공부Ⅱ 팔조 교강 9조 상시응용 6조 공부 최초법어 생활의 6대 강령 법위 신분검사 삼동윤리 세계 평화의 3대 요소 대종사의 십상 교화도 불타의 팔상과 수행상 대인군자 진퇴의 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6년(원기71)판에서 보충된 중심항목은 다음과 같다. 삼학공부(그 3) 삼학공부(그 4) 삼학공부(結) 세계평화의 4대 운동(그 1) 세계 평화의 4대 운동(그 2) 여래의 3대원 세계평화 3대 제언 등이다 ...

2025-05-31 23:28

3

광성자

|

도교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옛날의 선인(仙人)이다. 공동산(空同山 甘肅省에 있는 崆峒山의 옛 이름)의 석실(石室)에서 도(道)를 닦으면서 살았는데 나이가 1천 2백 살이 되었는데도 늙지 않았다고 한다. 『장자(莊子)』 재유(在宥)편에 황제(黄帝)가 일찍이 공동산(空同山)에 올라 신선인 광성자(廣成子)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도(道)와 양생(養生)의 술법에 대해 가르침을 청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갈홍(葛洪)의 『신선전(神仙傳)』과 육덕명(陸德明)의 『석문(釋文)』에도 광성자에 대한 기술이 있다. 조선시대 조여적(趙汝籍)은 『청학집(靑鶴集)』에서 광성자를 단군에 앞서는 우리나라 도맥(道脈)의 개조(開祖)로 삼고 있다. 또 이능화(李 ...

2025-05-29 01:21

3

광명도

|

광명도는 정요순이 잃어버린 민족정신을 회복하고 정치의 좌우세력을 합일시키며 종교와 종파를 귀일시키고 나아가 인류의 삼대 불행인 전쟁(戰爭) 질고(疾苦) 기한(飢寒)을 없애기 위해 1947년 충남 대덕군 산내면 호동에 ‘단군시대연역서호동학원(檀君時代演繹序虎洞學院)’를 설립하고 ‘인류광명화운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다. 정요순은 『인류독본』·『광명교화가곡집』·『인간의 진리』·『진리의 거궁』·『신지』·『민족정신』 등을 간행하는 출판사업을 진행하였고 또 충북 옥천의 옥천학원 유성의 성동학원 완주의 미산학원 전주의 건산학원 등 각지에 광명생활강습소를 설치하고 강사를 파견하여 인류광명화운동을 전개하였다. 한국전쟁 이후에는 인류광명 ...

2025-05-29 01:01

3

관정

|

원래는 고대 인도에서 제왕의 즉위나 태자책봉식에 행하던 의례인데 천하를 다스리는 성군이 되라는 의미에서 사대해(四大海)의 물을 국왕이나 태자의 정수리에 뿌려서 축복하는 것에서 유래한다. 이것이 불교에 수용되어 정착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석가탄신일의 관불의례(灌佛儀禮)이다. 불교의 여려 종파 중에서도 특히 밀교에서 관정이 중시되며 밀교의 관정을 비밀관정(秘密灌頂) 이를 줄여서 밀관(密灌)이라고 한다. 관정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것으로 결연관정(結緣灌頂) 수명관정(受明灌頂) 전법관정(傳法灌頂) 등이 있다. 결연관정은 출가나 재가 혹은 그 대상에 관계없이 어느 부처를 본존으로 모실 것인지를 정하는 의식이다. 투화득불(投 ...

2025-05-29 00:46

3

관음학사

|

불교총지종

관음학사(觀音學舍)는 불교총지종 산하의 학교법인으로서 산하에 동해중학교(부산광역시 동래구)가 있다. 불교총지종에서는 1988년 9월 14일 학교법인 대동학원을 설립하였고 이사장으로 녹정(祿靜) 김균이 취임한다. 김균은 불교총지종의 제2대 4대 6대 7대 종령을 역임한 인물이다. 1994년 9월 14일 최붕해(2003년 불교총지종 제8대 종령이 됨)가 이사장이 되었고 2001년 7월 10일 ‘학교법인 관음학사’로 법인명을 변경한다. 학교법인 관음학원의 정관에 따르면 본 법인은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에 입각하여 불법을 생활화하고 교육을 통한 건전한 정신과 인격을 도야하여 국가사회에 기여하는 인재를 육성하고자 중등보통교육을 실 ...

2025-05-29 00:45

3

관음선원

|

서원호가 창립한 용화세존미륵불증산대도회의 다른 이름.

2025-05-29 00:42

3

관우

|

관우(?-219)는 무교계에서 관왕(關王)으로 부르는 신격이다.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장수로 중국문화사상 충의와 용무의 상징처럼 인식되어 민중들은 그를 존경하여 관공(關公) 혹은 관노야(關老爺)라고 불렀다.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관공의 영혼이 자주 신령으로 나타나 조선을 구했다고 하여 호국신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2025-05-29 00:40

3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