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삼학 팔조

|

원불교

삼학은 원불교에서 일원상 진리에 입각하여 제시한 인격수련의 요법이다. 인격완성의 세 가지 공부법인 정신수양(精神修養)·사리연구(事理硏究)·작업취사(作業取捨)를 삼학이라 한다. ①정신수양: 정신은 마음이 두렷하고 고요하여 분별성과 주착심이 없는 경지를 일컫는다. 수양은 안으로 분별심과 주착심을 없이하며 밖으로 산란하게 하는 경계에 끌리지 아니하여 두렷하고 고요한 정신을 양성함을 의미한다. ②사리연구: 사(事)는 인간의 시비이해(是非利害)를 의미하고 이(理)는 천조(天造)의 대소유무(大小有無)를 뜻한다. 대는 우주만유의 본체 소는 만상이 형형색색으로 구별되어 있음 유무는 천지의 춘하추동 사시순환과 풍운우로상설과 만물의 생로 ...

2025-07-12 01:21

10

삼역대경

|

기타

『삼역대경』은 동학교도 화운(火雲) 이민제(1880~1926)가 붓글씨로 쓴 것으로 전해오고 있으나 원본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동학이 선천과 후천으로 우주의 변화원리를 설명하는 것에 반해 선천과 후천 다음에 중천이라는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고 설명한다. 이민제는 복희와 문왕의 운세를 선천운으로 생각하고 최제우와 자신의 운세를 후천운으로 생각하였으며 그 다음에 오는 목운(木運)과 금운(金運)의 운세를 중천운으로 생각했다. 인류 문제의 최종적 단계를 후천운으로 생각하지 않고 마지막 중천운에 마무리된다고 생각한 것이다. 본문에 ‘삼역대경은 삼재의 정역(正易)이라’고 했다. 여기서 삼재란 천지인에 대응하는 선천 후천 중천을 의 ...

2025-07-09 22:48

10

삼보

|

국제도덕협회(일관도) ,대한도덕회 ,도덕회

일관도의 삼보(三寶)는 합동(合同)․현관(玄關)․진언(眞言)이다. 첫째 ‘합동(合同)’은 일종의 지결(指訣)이다. 불교의 인(印)이나 인결(印訣) 수인(手印) 도교의 수결(手訣)과 같은 것으로 열 손가락의 조합으로써 통진(通眞) 제사(制邪) 치사(治事) 등의 목적을 달성하는 하나의 수단이다. 또한 일관도에서는 지결에 신구(新舊) 양 세계의 교체(交替)를 상징하는 의미도 있다고 한다. 둘째 ‘현관(玄關)’은 양 눈썹사이 즉 미간을 말한다. 일관도에서는 이 현관이 인간의 중추(中樞)이며 영성이 머무는 곳이라고 본다. 신기혈(神氣穴) 방촌지(方寸地) 생사문(生死門)이라고도 하며 불교의 불이문(不二門)․정법안장(正法眼藏) 도교 ...

2025-07-09 21:49

10

삼대강령

|

증산진법회

증산집법회(甑山眞法會)는 1973년에 서울 동대문구 전농 4동에서 배용덕(裵容德 1916-1998 본명 基淳 호 天光)이 창립했다. 증산진법회의 신앙의 대상은 옥황상제(玉皇上帝)요 미륵불로서의 증산 강일순이다. 기본사상은 해원이념 ․ 상생이념 ․ 보은이념 ․ 대전협동이념 ․ 원시반본이념인데 이 이념을 실천하기 위한 덕목으로 이 삼대강령을 제시했다. 삼대강령은 다음과 같다. ①우리는 성ㆍ경ㆍ신(誠敬信)을 다하여 증산상제의 진법을 탐구ㆍ구현ㆍ실현한다. ②우리는 성ㆍ경ㆍ신을 다하여 우리의 민족종교를 확립하고 나아가 세계 종교통일을 추진한다. ③우리는 성ㆍ경ㆍ신을 다하여 상천법지(象天法地) ․ 광제천하(廣濟天下) ․ 대전협동( ...

2025-07-09 21:10

10

복원예수그리스도교회

|

복원예수그리스도교회는 2001년에 그리스도의 공동체로 교단의 명칭은 바꾸었다. 그리스도의 공동체는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의 설립자인 조지프 스미스 2세가 1844년에 사망한 후에 그의 장남인 조지프 스미스 3세를 후계자로 주장하는 일파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교단은 1960년대부터 세계의 여러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신념과 행위를 재평가하고 발전시켰다. 이 교단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선포와 기쁨 희망 사랑과 평화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선교의 목적을 두며 여성의 성직 서임과 개방적인 공동체를 강조한다. 교단 본부는 미국 미주리 주 인디펜던스에 있다.

2025-07-09 02:34

10

범증산교사

|

증산교

홍범초(洪凡草)가 저술한 이 책은 1988년 범증산교연구원 도서출판 한누리 발행 크라운판 894쪽이다. 저자는 이 책의 서문에서 증산 강일순 사망 후 여러 교파가 생겨 유연(有緣)의 교분(交分)을 나누면서 교의를 발전시켜왔고 혼란(患亂)을 함께 극복하기 위하여 초교파운동을 전개해온 혈족교단이기 때문에 여러 교파의 특이한 교설과 교풍은 도문안의 종교사상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하였다고 했다. 구성 내용은 저자의 서문 각 교단사 그리고 끝에 원조(元照)의 발문(跋文)이 있다. 역사를 정리한 교단은 다음과 같다. 선도교사(仙道敎) ‧ 보천교사(普天敎史) ‧ 김태운(金太雲)의 미륵불교사(彌勒佛敎史) ‧ 선도사(仙道史) ‧ 박인암교 ...

2025-07-09 00:37

10

동국불교신문

|

대한불교교화종

대한불교교화종에서 발행한 주간지.

2025-07-07 16:33

10

도종법경

|

천도교

천도교에서는 역대 3대 스승을 천도교의 세 글자를 차례로 천종(天宗)․도종(道宗)․교종(敎宗)으로 배대하여 최수운의 법설을 「천종법경」 최시형의 법설을 「도종법경」 손병희의 법설을 「교종법경」으로 구분하여 부르고 있다. 구분은 하였지만 교주의 가르침을 법설과 경전의 합성어인 법경이라는 이름으로 부른 것은 세 교주를 서로 차별하지 않고 대등한 관계로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천도교 초기에는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만을 경전으로 보고 있었으나 최시형과 손병희의 법설이 천도교의 경전에 편입된 것은 1961년 4월 5일자로 발간된 삼부경전 즉 『천도교경전』이 최초의 일이다. 일반적 기록에 의하면 최시형은 문자를 모른다는 등 학 ...

2025-07-07 15:27

10

도성덕립

|

도성덕립(道成德立)과 도성입덕(道成立德)은 동학의 경전에서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단지 도성덕립은 도와 덕을 나란히 놓고 본 것이라면 도성입덕은 도의 목적을 덕에 놓고 본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도성덕립에서 도(道)는 동학의 도문에 입도(入道)하여 도의 핵심인 21자 주문을 받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나아가 수도와 수행의 과정에서 거쳐 도성(道成)이 되고 덕을 세운다. 여기서 “덕을 세운다[立德]”는 것은 수련자의 덕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날님의 덕을 받아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 또 도성덕립은 재성재인(在誠在人)이라 하여 정성을 다하는 자신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다. 다른 경전인 『용담유사』에도 “십년을 공부해서 ...

2025-07-07 14:57

10

대한불교용산조계종

|

본종은 1998년 철산 김선재의 주도로 창종되었다. 신라시대 열반종 율종 법성종 화엄종 법화종과 신라말 고려초의 구산선문의 법을 이어받아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법도생으로써 형이상학적인 이론전개에 기울어지지 않고 철학적인 교리를 쉽게 이해하여 불교의 이상을 구현함을 목표로 한다. 또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신앙인 자연숭배사상 그리고 용신과 산왕신께 조상들의 지혜와 평안을 기원하였던 것과 한국불교에 전래되어 있는 민족 고유의 전통신앙을 생활화하여 대중 속에 불교를 성립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창종자 철산은 1973년 대한불교조계종 한광사에서 만선을 은사로 득도하였고 1976년 같은 절에서 무심을 스승으로 사미계를 ...

2025-07-07 09:56

10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