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두레

|

신라나 고려의 신앙 조직이었던 향도(香徒) 등의 유풍을 이어 마을 주민간의 상호 협력을 목적으로 조직된 촌락 조직으로 공동노동을 주로 수행하였다. 향도는 고려말 조선초에 이미 불교적 신앙을 탈피하여 마을이나 지역공동체의 역할 조직으로 변모하였다. 향도는 이후 마을의 공동 노동조직인 두레나 장례 시의 상부조직인 상두꾼 조직 등으로 분화하였다. 두레의 공동노동의 형태는 모내기·물대기·김매기·벼베기·타작 등 논농사 경작 전 과정에 적용이 되었으며 특히 많은 인력이 합심하여 일을 해야 하는 모내기와 김매기에는 거의 반드시 두레가 동원되었다. 또한 마을의 공동 잔치로 풋굿이나 호미씻이와 같은 논농사 이후의 놀이도 함께 하였다. ...

2025-07-07 17:40

2

동화교

|

이상호가 창립한 증산교본부의 초기 이름.

2025-07-07 17:39

2

동해안별신굿

|

풍어제·풍어굿·골매기당제 등으로도 불린다. 부산 동래로부터 강원도 고성군에 이르는 남부 동해안 지역 일대에서 정기적으로 행하는 마을굿이다. 이 지역에는 마을마다 골매기당이라는 마을 수호신을 봉안한 당(堂)이 있다. 별신굿에서는 이 골매기 서낭신을 모신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의 풍요와 다산(多産) 안녕과 번창을 기원하기 위하여 1년 혹은 2 3년마다 한 차례씩 이 골매기신에 대해 치제(致祭)한다. 경비부담은 재산의 형편에 따라 차등이 있는데 어촌의 경우 선주가 경비를 많이 부담한다. 마을 대표와 무당 대표가 만나 굿의 규모를 결정하는 계약을 맺는다. 제일(祭日)이 되면 바닷가 선착장 부근에 넓은 모래밭에 굿청을 설치한다. ...

2025-07-07 17:38

2

동도교월평교회

|

교단명

2025-07-07 16:46

2

도덕초기회

|

우리나라 일관도의 초기 통합교단명.

2025-07-07 14:39

2

대한불교지엄종

|

2000년 창종된 본 종은 불교지엄종이라고도 한다. 아도선사를 시조로 벽송 지엄선사를 중흥조로 하며 선교쌍수와 아미타불을 교주불로 모시고 『화엄경』과 『정토삼부경』을 소의경전으로 한다. 유불선(儒彿仙) 삼교의 교학연구와 무자화두(無字話頭)의 참구 선교쌍수(禪敎雙修) 현세정화 즉신성불 등을 강조한다. 2008년 현재 본종 산하에 지엄종립승가대학 하심미래회를 두고 있다. 지엄종립승가대학에는 법사과 포교사과 사미과 사집과 사교과 승가대학원을 개설하고 있다.

2025-07-07 10:55

2

대한불교조동종

|

1989년 5월 27일 운파(雲坡) 박용득 지명(智明) 윤석영(尹錫泳) 등의 주도로 중창된 본종은 석가세존의 자각각타(自覺覺他)하신 각행원만(覺行圓滿)한 근본교리를 봉대하고 불립문자(不立文字) 직지인심(直旨人心) 즉심시불(卽心是佛) 견성서불(見性成佛) 전법도생(傳法度生)함을 종지로 한다. 중국 조동종 유래의 묵조선풍(黙照禪風)을 계승하며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금강경』 『화엄경』 『법화경』 등을 소의경전으로 한다. 1989년 5월 27일 서울 종로구 평창동 526-1 소재의 청련사(총본산)에서 108개 사암의 승려들이 모여 조동종 재중창대회를 개최하고 조동종을 중창복원하였다. 같은 해 10월 12일 서울 은평구 녹번동에 ...

2025-07-07 10:30

2

대한불교원융원

|

사단법인 대한불교원융원. 대한불교원융종의 초기 등록명칭.

2025-07-07 10:02

2

대한불교무량본종

|

1998년 4월 1일 영관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현세 불국토건설 및 내세 서방정토 왕생을 목적으로 한다. 소의 경전은 정토삼부경이나 다른 경전 연구도 제한하지 않는다. 1998년 4월 1일 대한불교무량종을 창종하여 같은 해 6월 10일 초대총무원장으로 영관이 취임한다. 1998년 8월 5일 대한불교무량본종으로 개명하였고 2001년 10월 9일에는 대한불교무량본종 임원 개편 및 전체 종도회의를 개최하였다. 2008년 현재 종정은 영관이다.

2025-07-05 20:49

2

대한불교대승연화종

|

본종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진리를 분석 해석 지도하여 모든 불자가 수행해 나아갈 길을 자세히 알게 하고 보살도에서 성불도를 이루기 위해 정진하는 수행불자에게 대승정법 『묘법연화경』을 유포하고 독송수생토록 하여 보살도에 나아가 무량법계에 육취중생을 모두 제도하여 성불토록 함을 종지로 하고 있다. 본존불은 석가모니불이지만 기존에 이외의 불상을 모신 사찰은 그 관례를 따르고 있다. 소의경전은 법화삼부경이며 천태 지자대사를 종조로 하고 있다. 1985년 3월 12일 종헌을 제정하였고 1985년 5월 16일 종헌의 공포 및 창종을 선언한다. 종정에는 천공 김우남 총무원장에는 법철 삼경이 취임하였다. 2008년 현재는 법 ...

2025-07-05 20:07

2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