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대한불교달마선종
1997년 10월 11일 현광(玄光)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석가세존의 자각각타 각행원만한 근본교리를 봉체하며 보리달마존자의 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법도생함을 종지로 한다. 보조국사 지눌을 종조로 하고 소의경전은 『금강경』 『법화경』 『능엄경』 『육조단경』 『전등법어』 등이다. 2008년 현재 소속 사찰은 41곳 승려는 50명 신도는 18354명이다. 참고문헌 : 『한국불교총람』(대한불교진흥원 2008)
2025-07-05 20:04

2
대한민국 동방의 빛 본부
오카다 모키치(岡田茂吉 1882-1955)를 교조로 하는 세계구세교(世界救世敎)의 한 분파.
2025-07-05 19:49

2
대천제일
대천개대천교
대천개대천교가 개천일에 진행하는 의례(10월 3일)
2025-07-05 19:34

2
대진학원
대순진리회
대순진리회의 3대 중요사업 중 하나인 교육사업과 해원상생의 원리에 입각한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하에 1984년 2월 6일에 설립된 학교법인. 현재 대진고등학교 대진여자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대진대학을 설립 운영하고 있음.
2025-07-05 19:28

2
대종교선도회
대종교
대종교는 홍암 나철이 중광한 이후 일제의 탄압에 의해 만주와 연해주 중국 본토 등에서 활동할 수밖에 없었다. 1919년 3·1운동 이후 만주를 중심으로 독립군의 무력항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자 일제는 중국 동북삼성의 정권 담당자였던 장쭤린[張作霖]과 삼시조약(三矢條約)을 체결하고 만주의 조선인들을 본격적으로 탄압하였으며 당시 독립군의 주동세력이었던 대종교는 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1926년 12월에는 길림성장 겸 독군인 장쭤샹[張作相]이 조약을 이행한다는 명목하에 ‘대종교포교금지령’을 발포하면서 만주에서 대종교의 포교활동은 불법이 된다. 그러다가 1933년 1월 당시 대종교의 도사교였던 윤세복은 포교사업의 재개를 선언 ...
2025-07-05 18:57

2
대신교
근대 한국의 단군에 대한 종교적 신앙은 김염백(金廉白)에 의한 대신교(大神敎)와 백봉(白峯)에 의한 단군교의 두 가지 갈래로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대종교(大倧敎)에서는 1904년 백봉에 의한 단군교 포명이 근대기 가장 이른 단군신앙의 시작이라고 하지만 일부에서는 그보다 10년 앞선 김염백의 대신교가 최초라고 보기도 한다. 김염백은 평안남도 맹산(孟山)을 중심으로 단군신앙을 포교했으며 이후 백두산과 만주 길림성 일대에서는 백봉과 백전(伯佺)을 중심으로 한 33명이 단군교를 포명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김염백의 대신교가 단군교보다 15년 앞서서 단군신앙을 포교하기 시작했다고 보는 것이다. 대신교는 국조단군을 주신(主神)으 ...
2025-07-03 17:20

2
대순진리회
주된 경전으로는 대순진리회 교무부 발간의 『전경(典經)』이 있다. 부수적으로는 『대순진리회요람(大巡眞理會要覽)』 『대순지침(大巡指針)』 『포덕교화기본원리(布德敎化基本原理)』Ⅰ·Ⅱ 『대순성적도해요람(大巡聖蹟圖解要覽)』 등이 중요한 교리서로 읽혀지고 있다. 참고문헌 : 『전경(典經)』(대순진리회 교무부 1974년 초판; 2010년 13판) 『대순지침(大巡指針)』(종단 대순진리회 1984) 『대순진리회요람(大巡眞理會要覽)』(대순진리회 교무부 1969) 『포덕교화기본원리(布德敎化基本原理)』(대순진리회 교무부 1975) 『대순회보(大巡會報)』(대순진리회 출판부 발행. 2015년 1월 현재까지 총165호) 『대순성적도해요람(大巡聖 ...
2025-07-03 16:47

2
대순진리진수
대순진리회
장병길(張秉吉 1919~2005) 교수의 저서로서 처음 ‘대순진리진수’라는 이름으로 책을 지었다가 곧바로 ‘대순진리강화 Ⅱ’라는 이름으로 서명(書名)을 수정하여 책을 출판하였다. 1989년 1월 20일이 두 책의 초판발행일이다. (『대순진리강화』Ⅱ의 이명)
2025-07-03 16:44

2
대순진리강화Ⅱ
대순진리회
대순진리회 신앙에 대하여 1989년 장병길(張秉吉 1919~2005)이 정리하여 출판한 도서이다. 저자는 급속도로 발달한 기계문명과 물질문명 속에 종교의 존재방식을 새로이 묻게 됨으로써 신종교가 탄생한다고 보았다. 그는 대순진리회 경전인 『전경』에 나오는 ‘이재신원(利在新元)’의 표현을 빌려 새로운 시작에 가치가 있고 이로움은 새로운 시작에 있다고 하였다. 신원세계에 필요한 것은 지금까지 이웃을 사랑하라거나 보시(布施)나 자비(慈悲)를 배풀라는 등의 나와 타인과의 관계를 맺는 사상이 아니고 제3인칭 격인 ‘우리’라는 평화 평등사상으로 상생사상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도서는 총 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에서는 대순 ...
2025-07-03 16:43

2
단조사고
대종교
본서는 전체(겉표지 제외) 69쪽의 프린트본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표 2장 각 1쪽과 단조사고 범례 1쪽 내편 26쪽과 외편 40쪽으로 엮어졌으며 순한문체로 기록되어 있다. 내용은 단군의 혈통과 강역(疆域) 행적과 유속들을 통해 단군의 역사성과 대종교의 당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책 제목인 『단조사고』에서 ‘단조’란 ‘단군대황조(檀君大皇祖)’의 준말로 대종교의 등장과 함께 대종교단에 의해 보급된 말이다. 『단조사고』의 편찬은 단군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원하였던 대종교단의 열망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단군자료의 집성인 동시에 최초의 정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 「단조사고와 무원 김교헌」(김 ...
2025-07-02 00:4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