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44건
각세도남관
각세도
각세도 도주 이선평은 포교를 시작한 후 사관제도와 삼십암제를 두어 교단의 체제를 정비하고 각 지부들을 관리하였다. 사관은 동서남북의 각 방면에 두었으며 자신의 제자 중 뛰어난 인물 4명을 선발하여 각 관의 도주로 임명하였다. 초기에 각세도남관에는 김해제가 임명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각 관에 대한 본부의 통제가 원활하지 못하였고 이선평이 살아있을 때부터 내부에는 여러 가지 분란이 있었다. 김해제는 이선평 생전에 ‘천인교’를 설립하여 분파하게 되었고 이선평은 다시 장명성을 남관의 도주로 임명하게 된다. 장명성 사후 임선호(任善鎬)․정수성(鄭秀星)․전태성(全泰成)․한병헌(韓炳憲) 등이 다시 분파하게 되는데 전태성이 충청북 ...
2025-05-14 10:17

3
가화
금강대도
금강대도에서는 도를 이루는 요체이자 기본을 가정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 도덕의 실천으로 화합을 이루어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도덕의 실천으로는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효도하며 부부는 서로 화합하고 공경하며 형제간에 우애 있게 생활하는 것을 말한다. 금강대도에는 이러한 가화사상을 사회와 전우주로 확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그것은 우주가화이다. 천(天)과 지(地)를 부모로 보고 천지사이의 우주 삼라만상을 한 부모아래 태어난 형제라 생각하고 사랑하며 이 세상 사람들을 내 부모 내형제처럼 서로 사랑하고 화합하라는 것이다. 이리하여 가화사상은 전인류는 물론 전 우주까지 포함하여 화합(和合)과 ...
2025-05-14 10:06

3
가택길흉법
가택의 길흉을 판단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형(地形)으로 묘지에서의 용절(龍折)과 같다. 묘지는 용(龍)의 기복과 형상의 사활에 따라 길흉이 결정되지만 가택은 용의 기복과는 관계없이 지형의 광협(廣狹)과 지세의 형성에 따라 길흉이 결정되고 수국(水局)의 개폐와 안산(案山)의 생김새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했다. 또 주거인과 양택의 관계에서 길흉을 보기도 한다. 이는 용천법(龍天法)이라는 것으로 용(龍)·천(天)·파(破)·인(人)·귀(鬼)·지(地)·생(生)·절(絶)의 길흉을 가지고 생년에 따라 배치시켜 보는 방법이다. 또 좌향을 보는 방법으로는 팔괘상배(八卦相配)·오행상생(五行相生)·오행상극(五行相克)의 방법이 ...
2025-05-14 10:04

3
금산사미륵불포교소
서백일(徐白一)이 창립한 용화교(龍華敎)의 초기이름.
2025-06-03 17:46

2
금산사미륵불숭봉회
정혜천의 증산대도일화장 다른 이름
2025-06-03 17:45

2
금강원
대한불교진각종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에 위치한 금강원은 대한불교진각종의 종조 회당 손규상의 탄생지이다. 손규상은 아버지 윤섭(允燮)과 어머니 김양삼(金良三)의 2남 3녀 중 장남으로 1902년 이곳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 손규상은 이곳에서 한학을 배우며 성장하는데 어린 나이에 ‘심일당천만(心一當千萬) 질백화단청(質白畵丹靑)’의 글을 지을 정도로 남다른 자질과 기상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 금강원은 손규상의 위덕을 기리기 위해 대한불교진각종에서 조성한 곳으로서 1948년 건립된 총지심인당(摠持心印堂) 금강정사(金剛精舍) 종조전(宗祖殿 1977년 건립) 종조비(宗祖碑 1985년 조성) 등이 있고 매년 8월 초에 회당문화제가 개최되어 ...
2025-06-03 17:36

2
금강십계율
금강대도
일왈. 물기천지인(勿欺天地人 ; 하늘과 땅과 사람을 속이지 말아라) 이왈. 심신청정결(心身淸淨潔 ; 마음과 몸을 깨끗이 하라) 삼왈. 연성극기욕(煉性克己慾 ; 성품을 단련하고 욕심을 이겨내라) 사왈. 경석자서지(敬惜字書紙 ; 글자 쓴 종이를 공경하고 아끼어라) 오왈. 언행중여산(言行重如山 ; 말과 행동을 태산처럼 무겁게 하라) 육왈. 계살제중생(戒殺濟衆生 ; 죽임을 경계하여 중생을 구제하라) 칠왈. 불식어육류(不食魚肉類 ; 어육류를 먹지 말아라) 팔왈. 일부당일처(一夫當一妻 ; 한 남편에 한 아내) 구왈. 물취타인물(勿取他人物 ; 남의 물건을 취하지 말아라) 십왈. 물범죄과오(勿犯罪過誤 ; 죄와 과오를 범하지 말아라) ...
2025-06-03 17:34

2
금강신문
대한불교천태종
본지는 대한불교천태종의 지원 아래 발간되고 있는 범불교신문이다. 본지의 모태는 1979년 5월 1일 창간된 월간 『천태종보』이며 2006년 11월 ‘금강신문주식회사’로 법인등록을 마친 후 2007년 5월 부처님오신날을 기해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이후 격주간격으로 현재까지 발행을 지속해 오고 있으며 천태종을 비롯한 불교계 주요 종단의 소식과 함께 불교 관련 사회문제 신행 복지 문화 학술 및 문화재 불교전통문화 NGO 출판 다양한 기획 기사를 게재하고 있다. 본사의 주소는 서울시 종로구 경운동 89-4 SK HUB B동 307호이다. 참고문헌 : 금강신문 인터넷 홈페이지(www.ggbn.co.kr)
2025-06-03 17:32

2
금강삼종대학
금강대도
금강대도에서는 교육기관으로 1922년 계명학교(鷄鳴學校) 1929년 문창재(文昌齋) 1947년 금강고등공민학교 1952년 금강초등공민학교 1963년 금강재건생활학교를 설립한 바 있다. 1979년 삼종학원기성회를 조직하여 대학 설립을 시도하였고 1994년 금강삼종대학교육원을 두어 기초 교리 강좌를 시도하였고 2001년에는 교육원·금강삼종대학·대학원의 삼부체제로 발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교육원은 주로 기초교리 강좌 대학원은 심화 교리 강좌를 운영하며 대학원은 도직자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종시 총본원에 본교를 두고 서울 부산 대전 청주 거창 등에 분교가 있으며 정규 종합대학 및 대학원대학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
2025-06-03 17:31

2
금강불교
김용배(金庸培 ?-1935)가 1895년경 전북 진안군 주천면에서 세운 남학계 신종교. 오방불교(五方佛敎)의 김광화(金光華)가 사망한 후 김경배(金敬培 혹은 坦培)가 대를 잇자 이에 대항하여 김용배(본명은 明奉)가 분파를 일으켜 설립한 종교이다. 이 파는 뒤에 정도교 ․ 청림교 등을 규합하여 광화교로 개칭하였다. 1934년 당시 신자가 3천명에 달하는 교세를 갖고 있었다고 한다. 신앙의 대상과 모든 사상은 오방불교와 같다. 다만 여러 곳에서 산제를 지냈는데 산제기도의 대상은 북두칠성(大聖北斗七元聖君)과 산왕(山王佛)을 주로 하여 광화교주자씨미륵존불(光華敎主慈氏彌勒尊佛) · 아미타불(阿彌陀佛) · 삼존천위(三尊天位) · ...
2025-06-03 17:2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