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동국사략
국학
일명 『삼국사략(三國史略)』이라고도 한다. 1402년 6월에 왕명으로 착수되어 이듬 해 8월에 완성되었다. 권근이 주도하였으며 하륜(河崙)·이첨(李詹) 등이 참여했다. 편년체 사서로서 주자의 강목법(綱目法)에 따라 사건의 큰 줄거리를 먼저 서술한 다음 그 세목을 작은 글씨로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단군조선을 시작으로 기자조선·위만조선·한사군·이부(二府)·삼한·삼국의 순으로 서술함으로써 조선시대에 들어 처음으로 고대사의 체계를 수립하였다. 단군·기자·위만의 3조선은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에서 이미 제시된 것을 수용한 것이었다. 그러나 삼한의 기원에 대해서는 『삼국유사』에 따라 마한을 기자의 후예로 진한을 진(秦)의 ...
2025-07-07 16:34

9
도사교
대종교
대종교에서는 교통을 이어받아 종단을 대표하고 통할하는 직책을 총전교라고 한다. 광복 이전에는 총전교를 ‘도사교’라고 칭하였다. 따라서 도사교의 호칭으로 불린 사람은 나철 김교헌 윤세복 세 사람에 국한된다.
2025-07-07 14:53

9
도기일
성덕도
1952년 음력 7월 7일 성덕도 창도주인 도주 김옥재와 법주 도학수가 밤을 새워 공부할 때 참석한 성덕도 도생들이 왕성한 도기를 받은 날.
2025-07-07 14:20

9
대한불교일승종
1945년 11월 23일 서울 성북동에 원구사를 설립하고 법화경을 포교하였다. 그 후 사명을 일승사(一乘寺)로 하여 오다가 일승사 묘익 송운식 묘종 김숙자 청도사 혜정 최호민 화천사 혜신 예삼후 흥국사 혜교 예봉옥 용화사 순도 노갑일 용상사 법신 최정욱 등이 참여하여 1968년 2월10일 종단을 창종한다. 초대 종정에 혜정(惠正) 최호민(崔浩敏)을 추대하여 동년 문화공보부에 불교단체로 등록하였다. 1973년 2월 10일 종단명을 대한불교일승종으로 변경하였다. 본종의 종지는 『법화경』의 회삼귀일(會三歸一)사상을 체(體)로하고 교관겸수의 대승보살행을 용(用)으로 하여 자각각타(自覺覺他)를 기본교리로 한다. 소의경전은 『법화 ...
2025-07-07 10:20

9
대한불교유마종
본종의 1992년 10월 21일 김길수(무해 1948년생)의 주도로 창종되어 10월 23일 무해종정 추대법회를 개최하였다. 본종의 교리는 원융화합 통일불교 세계일화(世界一花)를 근본이념으로 삼고 대중불교 생활불교 실천불교를 목적으로 한다. 소외경전은 『유마경(維摩經)』 『법화경(法華經)』이다. 1993년 7월 11일 무해가 법왕궁 한국왕에 취임하였고 이듬해 11월 29일 무해가 세계승왕에 취임한다. 무해는 2002년 제 16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하기도 하였다. 본종은 중앙조직으로서 종정휘하에 원로회의와 중앙종회가 있고 집행기관으로서 총무원이 있다. 총무원에는 국내외포교원 교육원 감찰원과 종무국 총무국 사업국 등이 있다. ...
2025-07-07 10:12

9
대종교총본사
대종교
대종교총본사는 교단의 중앙기구로 대일각 원로원 삼일원 종무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산하에 도본사 시교당 및 수도원을 두고 있으며 연구기관으로 종학연구원을 두고 있다.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 2동 13-78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2025-07-05 19:10

9
대일체불교
기본경전으로 『십만대법경』이 있고 『대일체경』 『무공경』 『철원대경』 『소견경』 『유법대경』 의 경전과 『독송경』 『천도경』 『인생경』 등의 염송경전이 있다.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한국신흥종교총감』(이강오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2025-07-03 17:32

9
대승불교법화회
『법화경』에 심취하며 자신의 병고를 극복하고 묘법을 얻은 승려 김정운(金正雲 1989-1947)은 1927년 자신의 고향이었던 수원시 복수동에 묘수사(妙壽寺)를 세우고 정진한다. 그러다가 일본 승려 야스다[安田 本門佛立講]와 우에다[上田 本門法華宗]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는다. 그러나 『법화경』 독송을 우리말로 하는 등 독자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야스다 등과 결별하고 1940년대 초반부터 법화신앙단체의 조직을 도모하였다. 그리하여 1945년 12월 결성된 것이 대승불교법화회(大乘佛敎法華會)이다. 이 회에는 교령에 김정운 부교령 겸 교무부장 김혜선(金慧宣) 차장 김정혜(金精慧) 총무부장 예혜교(芮慧敎) 차장 이홍선(李泓宣) ...
2025-07-03 17:14

9
대성학문
지상천궁대덕지교
지상천궁대덕지교 의례는 주문공부로 이루어지며 치성주를 비롯한 26개의 주문이 사용되고 있다. 『대성학문』에는 “한울아버님 ․ 땅어머님 ․ 광명미륵님 ․ 직선조 ․ 하감지위 천선조 ․ 처외선조 ․ 사시토왕 ․ 사해용왕 ․ 오악산왕 ․ 칠성여래 ․ 일광보살 ․ 지장보살 ․ 문수보살 ․ 인류왕보살 응감지위 천지대부모님 명령으로 자손들의 소원성취 시켜 주소서.”라는 치성주문이 담겨져 있다.
2025-07-03 16:22

9
대산종사법어
원불교
원불교 교서의 하나로 김대거의 원불교 종법사 재위 33년의 경세경륜을 수록한 법문집. 〈대산종사수필법문집〉을 핵심저본으로 최대한 간결하게 정수를 담아내고 〈대종경〉과 〈정산종사법어〉와 유사한 편제와 분량으로 압축 편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서 ‘신심 교리 훈련 적공 법위 회상 공심 운심 동원 정교 교훈 거래 소요 개벽 경세’의 15편 699장으로 정리하여 편성했다. 김대거의 탄생100주년이 되던 2014년(원기99) 3월 11일에 원불교의 기본교서의 하나로 편정되었다.
2025-07-03 16: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