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삼단주

|

시천교

시천교의 모든 의식에 사용되는 초학주 강령주 본주를 통칭하는 명칭으로 이를 21단주와 105염주에 맞추어 염송함.

2025-07-09 21:07

9

사은 사요

|

원불교

일원상의 진리는 현실에서 은혜로 나타난다. 은혜는 누구나 없어서는 살 수 없는 것을 뜻하며 네 가지 범주로 천지은(天地恩)·부모은(父母恩)·동포은(同胞恩)·법률은(法律恩)이다. 천지은이란 천지자연의 작용과 우주의 진리성으로 만물이 생명을 유지하고 발전하게 하는 은혜를 말한다. 부모은이란 부모로부터 받은 은혜로서 낳고 기르고 가르쳐주신 은혜를 뜻한다. 동포은이란 사람은 물론이요 동식물의 도움 의지(依支) 공급으로 살아가는 은혜를 지칭한다. 법률은이란 인도정의의 공정한 법칙에 의해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은혜를 의미한다. 따라서 원불교는 일원상 진리의 작용에 따라 나타나는 은혜를 발견하고 보은하며 ...

2025-07-09 20:00

9

복조리

|

설날 이른 아침 또는 그믐날 밤 자정이 지나서 조리를 사서 벽에 걸어둔다. 이를 복조리라 한다. 조리는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엮어 만든다. 복조리 장사가 설 전날 밤부터 조리를 팔러 인가 골목을 누빈다. 복조리는 반드시 사서 걸어야 한다. 조리는 쌀을 이는 기구이므로 한 해의 행복을 조리로 일어 취한다는 뜻이다. 일 년 동안 쓸 수량대로 사서 방 한쪽 구석이나 대청 한 귀퉁이에 걸어놓고 하나하나 사용하면 복이 많이 들어온다고 믿는다. 또 복을 긁어모은다는 의미에서 나무 잎사귀를 긁어모으는 갈퀴를 사 두기도 한다.

2025-07-09 02:35

9

법륜종보

|

한국불교법륜종

→한국불교법륜종 참조.

2025-07-09 00:46

9

방사

|

방술이란 자연현상에서 규칙성을 이끌어내고 그러한 규칙에 의해 길흉을 점치거나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학문들의 통칭이다. 이 방술에 통달한 사람을 방사라 한다. 방술(方術)에서 방(方)은 일이나 사물에 대해 정확히 들어맞는 해결책을 뜻하고 술(術)은 관측을 통한 예측을 기본으로 하는 기술들을 뜻한다. 방은 방기(方技)라고도 하며 경방(經方: 의술) · 방중(房中: 성생활을 위주로 한 생리학) · 신선(神仙: 불로장생의 방법) 등이 있으며 술(術)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들로는 오행 · 천문 · 역법 · 관상 · 점술 등이 있다. 방사들의 예언 능력이나 천문 지식은 그 위험성 때문에 국가에서 흡수하여 독점적으로 관리하였다. 방술은 ...

2025-07-08 23:37

9

바하이교

|

바하울라로 알려진 테헤란 출신의 미르자 후세인 알리 누리와 나중에서 수브 이 아잘로 불린 그의 이복형제 미즈라 야야 누리는 1844년에 바압(Bāb)이 계시를 받고 가르침을 펴자 그의 무리에 합류했다. 바압은 자신의 후계자로 수브 이 아잘을 후계자로 정했다. 그러나 그의 지도자로서의 자격이 의문시되었고 1852년 왕의 암살 사건과 연루되면서 집단 내의 영향력이 약해졌다. 이 시기에 바하울라는 자신이 신이 보낸 진정한 전령사임을 자각했고 1863년 오스만 당국에 의해 바그다드에서 이스탄불로 추방되기 직전에 자신이 바압이 예언한 ‘신이 나타난 자’임을 선언했다. 바하이교에서는 모든 종교의 근원은 하나임을 주장하며 인종과 국 ...

2025-07-08 22:27

9

무량교

|

본교의 기본교리와 사상은 무량대도회와 유사하나 손남곤이 주장하는 특이한 점은 자기의 조상을 숭배하고 받들어야 된다는 것이다. 그가 오랜 기도 끝에 깨달은 내용도 이것이고 천등산신과 지리산신이 가르친 내용도 이것이라고 한다. 사람의 운명도 병도 일체가 조상신들의 돌봄 속에서 영위된다는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어떤 종교신앙도 조상을 받드는 일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조상신이 그 사람을 항상 따라다니면서 좋은 일을 하고 선하게 살면 보호해 주지마는 나쁜 일을 하게 되면 그에게서 떠나버리기 때문에 사람들이 불행을 당하게 된다는 것이다. 경전 신앙의례 신앙실천 등은 무량대도회와 같고 조직이나 사회활동 등은 하지 않고 있 ...

2025-07-08 20:04

9

만교일본만법귀정

|

한얼교

신정일은 한얼교 창교 선언문에서 한얼교의 내외적 목표에 대해 밝히고 있다. “한얼교는 예로부터 물려받은 홍익인간의 뜻을 정립성화(正立聖華)로서 오늘에 계승하고 만교일본(萬敎一本)이며 제법귀정(諸法歸正)의 진리를 한얼과 바름으로 나타내어 한교의 종지로 삼아 창교의 문을 여니 진리의 광명은 온 누리를 밝혔다. 한얼님으로서 진리의 본체를 밝히고 천·불·신·주님의 구경 본체 하나로 융섭하며 진리의 광명을 바름법으로 하여 진·도·본·중·평·공의 대도를 꿰어 뚫고 그 묘함을 밝히며 진리의 완성체를 바른님으로 표현하여 단군·공자·석가·예수·메호멧 등 일체 성현을 한뜻으로 보위하고 진리의 미완성체를 삐뚠님으로 하여 범부·중생·죄인을 ...

2025-07-07 23:31

9

등룡공원

|

삼덕교

허욱(許昱 1887-1939 호 南松)이 창립한 삼덕교(三德敎)는 경상남도 하동에서 창립하여 여러 곳에 옮겨 다니다가 1982년에 본부를 김제군 봉남면 평사리 현 위치로 옮기게 되는데 이 기지를 마련키 위해 39년간이나 공을 들였다고 한다. 2대 교주 서상범의 뒤를 이어 교주가 된 서도준(徐道俊)은 이 땅이 도의 기지임을 알고 오래전부터 매입하려 하였으나 땅 주인에게 번번이 거절당하다가 겨우 사들여 이사하게 되었다고 한다. 4000평의 대지에 본부 건물과 수백 평에 달하는 ‘등룡공원(登龍公園)’이라는 공원을 조성했다. 이 공원에는 15기의 비각(碑刻)과 석탑 석물 등을 조성해 놓고 있는데 생화제단(生化祭壇) ․ 단군상봉 ...

2025-07-07 22:20

9

동방교주약사여래입불상

|

한국불교여래종

한국불교여래종 총본산 약사사(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에 있는 석조 약사여래입상.

2025-07-07 16:54

9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