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4

교령사

|

천도교

천도교의 조직체계는 중의제(衆議制) 형태로서 다소 복잡한 구조이다. 교령 밑에 종무원이 있고 포교사업을 다루는 교화관(敎化觀) 내부 살림 담당의 교무관(敎務觀) 재정담담의 경리관(經理觀) 등 3관(三觀)이 있다. 이와 병행하여 중앙기관인 중앙총부 자문기관인 현기실(玄機室) 집행기관인 교령사 의결기관인 종의원(宗議院) 징계기관인 감사원(監司院) 등의 조직을 가지고 있다. 교령사는 이 가운데 집행기관의 역할을 한다. 천도교 초기에는 교조(敎祖)가 대표자를 임명하였다. 그러나 3․1운동 이후 1922년부터는 교인대회에서 대표자를 선출하게 된다. 그 대표자의 명칭이 처음에는 종리사장(宗理師長)이었으나 1930년에는 대령(大領) ...

2025-05-31 23:27

2

교단융화불교

|

본종은 1978년 김법열 유옥자 등의 주도로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산 49-1 소재의 용호사(龍虎寺)에서 창종되었다. 석가모니불 입멸 후 이 세상에 탄강한 미륵불을 모시는 교단이다. 용호사는 1936년 법주사 수정암 출신의 비구니 보현에 의해 무량사로 창건되었고 1951년 수명에 의해 용두사로 사명이 변경되었다가 1978년 현재 본종의 교령인 천강이 주석하면서 미륵기도도량 용호사가 되었다. 그리고 1984년 갑자년을 기점으로 미륵불이 출현하였음을 만방에 선포하고 불교의 한 종단이 아닌 ‘교단융화불교’로 출범한다. 이후 불사를 거듭하여 극락전 미륵천불전 대법왕궁 용화보궁 등을 건립하였으며 2003년 12월 23일 청 ...

2025-05-31 23:26

2

교단삼대사업목표

|

원불교

박중빈은 “우리의 사업목표는 교화ㆍ교육ㆍ자선의 세 가지니 앞으로 이를 늘 병진하여야 우리의 사업에 결함이 없으리라.”고 천명했다.

2025-05-31 23:23

2

괴질운수

|

동학

최제우는 천지운도에 의해 우리나라 전체 운수를 보니 상해지수(傷害之數)라고 진단했다. “가련하다 가련하다 아국운수(我國運數) 가련하다 전세임진(前世壬辰) 몇 해런고 이백사십 아니런가 십이제국(十二諸國) 괴질운수(怪疾運數) 다시개벽 아닐런가”(「용담유사」안심가)라 하여 괴질운수로 진단했다. 괴질운수가 지나면 만고 없는 무극대도가 후천 오만년의 운을 담당하게 후천선경을 이루게 된다고 보았다.

2025-05-31 23:22

2

광화집

|

광화교 오방불교

광화는 광화교(오방불교)의 창립자인 김치인의 호로 그의 법설내용을 모아서 1909년에 편찬한 법언집이 본서이다. 김세제(金世濟)가 서문을 썼고 김항배(金恒培) 등 6인이 참고하였으며 김재신(金在信) 등 15인이 이를 중증(重證)하였고 윤천보(尹天普)가 최종적으로 책임 교정하였다. 필사본의 형태로 인쇄되었다. 책의 구성은 광화선생문집서(光華先生文集序) 정심결(正心訣) 수신문(修身文) 행도문(行道文) 삼도변(三道辨) 조화록(造化錄) 영가도무기(詠歌蹈舞記) 중앙도가(中央圖歌) 중앙도(中央圖) 하룡하구우도(河龍河龜右圖) 삼원삼극우도(三元三極左圖) 부도원해(附圖源解) 광화선생문집후서(光華先生文集後敍) 등으로 되어 있다. 전체적인 ...

2025-05-31 23:19

2

광화중생

|

금강대도

나 하나만의 구원을 추구하는 소승적인 믿음이 아니라 천하의 모든 사람들을 구원한다는 대승적인 믿음의 자세를 말한다. 이토암은 “삼합대도 금강문에 제도중생이 제일이니 제도중생에 전념하면 소원성취는 그 가운데 있느니라.”고 하여 제도중생과 포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비단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금수 곤충 초목까지도 구제한다는 것이 바로 광화중생이다. 그리하여 죽이는 것을 경계하고 생명을 보존하며 어육을 철저히 금식하는 생활규범을 실천하고 있다. 여기서 ‘중생’이란 글자 그대로 ‘뭇 생명’이란 말이니 태란습화(胎卵濕化)의 4생으로 태어나 윤회를 거듭하는 모든 존재 모든 생명을 말한다. 참고문헌 ...

2025-05-31 23:18

2

광화연합도관

|

오방불교의 교주였던 김선기는 1930년경 계룡산 신도안에 있던 ‘대화교(大華敎)’의 신도를 규합하여 광화연합도관을 창립하였다. 본부는 전북 완주군 운동하면 가천리에 두었다. 대화교는 원래 손은석(孫殷錫)이 창립하였는데 초창기에는 동학의 분파로 ‘제우교(濟愚敎)’를 만들어 포교하다가 1920년 교명을 용화교로 바꾸었다. 그러다 1923년 윤경중(尹敬重)을 교주로 받들어 교명을 ‘대화교(大華敎)’로 바꾸고 교리도 불교적인 것으로 고쳤다. 대화교는 미륵불을 신앙하면서 교도가 급증하여 한때 5만의 신도를 거느렸고 교세가 만주에까지 퍼져 수십만 원의 사재로 만주의 토지를 구입하기도 하였으나 간부들의 자산낭비와 만주토지가 장작림( ...

2025-05-31 23:17

2

광주삼광교회

|

한국기독교승리제단의 초기 명칭.

2025-05-31 23:10

2

광제창생

|

동학계 신종교

최제우가 동학을 창립하면서 보국안민(輔國安民) 포덕천하(布德天下)와 함께 내세운 창교이념. 이 세상의 모든 사람을 널리 구제한다는 의미.

2025-05-31 23:09

2

광제국

|

서상근(徐相根)의 증산성지동곡약방 甑山聖地銅谷藥房(약방파)의 초기이름

2025-05-31 23:08

2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