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귀임도
각세도 도조 이선평은 교단을 동서남북의 사관(四觀)으로 나누어 운영하였으며 각 관에 수제자 4명을 도주로 임명하여 이를 관리하도록 하였고 자신은 본부에서 각 관을 통솔하였다. 그러나 당시 각세도 내부에는 많은 분란이 있었으며 이선평 생전에도 분파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귀임도는 이선평의 사후 당시 동관의 도주였던 이상제가 설립한 분파이다. 이에 대해 김홍철은 당시의 동도주가 이상제였다고 밝힌데 대해 이강오는 동도주를 이성환 혹은 이상제 등으로 혼재하여 사용하고 있다. 동관 내부에서 도주의 교체 등이 있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당시 각세도 내부의 분열이 다양한 양태로 표출되었던 것이 도주에 대한 인식 혼란의 원인인 것 ...
2025-06-03 16:52

9
귀신론
기독교남침례교회(성락교회)
일반적으로 귀신이란 죽은 자의 영혼 혹은 혼백을 말하지만 기독교 성경에서는 ‘타락한 천사의 무리’로 규정된다. 그런데 김기동 목사의 베뢰아 신학에서는 전통적 신학 해석과 달리 귀신을 ‘불신앙자의 죽은 영혼’이라고 주장한다. 베뢰아 신학의 귀신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귀신은 ‘제 명(命)에 죽지 못한 불신자의 사후 영혼”이다. 이 존재가 구천(九天)을 떠돌다 자손에게 들어가 병이나 사고를 일으킨다고 한다. 둘째 인간의 질병과 사고는 빠짐없이 귀신의 작용이라고 설명한다. 셋째 귀신에 의한 질병은 바로 그 귀신이 직접 지닌 질병이라고 설명한다. 즉 벙어리 귀신이 들면 그 사람이 바로 벙어리가 되었다는 식이다. ...
2025-06-03 16:50

9
권신찬
구원파
2025-06-03 15:57

9
권명희
태극정기도원
무교계 자생종교인 태극정기도원(太極亭祈禱院)의 창립자.
2025-06-03 15:47

9
궁을장
천도교
천도교에서 1905년경 궁을장(弓乙章)을 처음으로 제정했다. 궁을장은 당시 천도교 중앙총부에서 천도(天道)의 상징으로 영부(靈符)를 형상화하여 제정한 도형이다. 궁을장은 천심(天心)의 ‘심(心)’자를 표현한 것이다. 영부란 최제우가 영감으로 한울님에게서 받은 천신(天神)을 그림으로 표상(表象)한 부도(符圖)이다. 또 영부의 모양은 태극(太極)같기도 하고 ‘궁(弓)’자를 나란히 놓은 것과 비슷하다.
2025-06-03 15:33

9
궁을기
천도교
의암 손병희는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천도교 교헌과 교기를 제정했는데 궁을기는 천도교를 상징하는 깃발이다. 궁을기가 처음 게양된 것은 1906년 2월 서울 천도교당에서이다. 손병희는 동경에 있을 때 권동진 오세창 양한묵 3인에게 교기 도안을 지시하였다. 그들은 교기의 도안을 수운 최제우가 종교체험을 할 때 한울님으로부터 받은 궁을 영부(弓乙 靈符)에 바탕하여 제작하였다. 수운 최제우(崔濟愚)는 “나에게 영부(靈符)가 있으니 그 이름은 선약이고 그 모양은 태극이요 궁궁(弓弓)이라.”했다. 궁궁은 마음을 상징하는 心字의 破字를 형상화한 것이다. 궁을기의 흰 바탕은 한울님을 상징하고 붉은 바탕은 인간을 상징한함다. 그리고 ...
2025-06-03 15:26

9
국태민안기원법회
한국불교여래종
한국불교여래종에서 행하는 신앙의례의 하나.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6-01 23:47

9
국선도입문
세계국선도연맹
국선도에서는 인간과 자연은 모두 기의 변화에 따라 생성 소멸한다고 보고 단전호흡을 통해 대자연의 생명력인 원기를 얻는 수련 체계를 수립하였다. 이 책은 처음 국선도의 수련법에 접한 입문자가 국선도의 수련 체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수련의 기초적인 내용을 정리한 국선도 수련 입문서이다. 이 책에는 행공 전에 굳어 있던 몸을 푸는 준비운동 마무리를 위한 정리운동 행공 후 장부에 기운을 보내주어 오장육부를 튼튼하게 하고 그 기능을 강화시키는 행법인 내기전신행법(기신법) 일명 오장육부강화운동 등에 대한 설명이 실려 있다.
2025-06-01 01:45

9
구인사사리탑
대한불교천태종
이 탑은 구인사 5층 대법당 앞에 위치하는 3층 석탑으로 1983년 6월 대한불교천태종의 제2대 종정이었던 대충 남익순(1925-1993)이 인도 성지를 참배하던 중 기원정사에서 인연 있는 분에게서 진신사리를 얻어 건립하였다고 한다. 사리탑의 형태는 세 마리의 코끼리로 된 하층 기단위에 상층 기대가 있고 그 위로 3층의 탑신과 옥개가 있으며 그 위로 금속제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코끼리 기단은 남대충이 창안한 것이며 3층 석탑의 모양은 조명기(전 동국대학교 총장)의 자문으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1층 탑신 중앙에 문이 조각되어 있는데 그 안에 진신사리가 봉안되었다고 한다. 1층 탑신의 나머지 면에는 문수보살상 금강장보살 ...
2025-06-01 00:59

9
구원론
한얼교
한얼교의 핵심사상은 크게 한얼론·나얼론·바름론·구원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 가운데 구원론은 다시 세 가지로 나뉜다. 현세구원 내세구원 삼계구원이 그것이다. 현세구원은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한 사상의 원리인 조화와 평등이념에 따라 빈부의 격차를 줄이고 가난과 몽매의 극한상황이 제거되는 복지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얼’적인 정신적 구원과 ‘울’적인 물질적 구원이 상호보완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내세구원은 사후(死後)의 구원을 말한다. 만물이 생하고 멸하는 것은 자연의 법칙이기 때문에 인간의 사후인 내세에 대한 구원이 필요하다고 한다. 특히 현세의 참과 거짓 바름과 삐뚬 선과 악에 따라 내세가 결정되므로 ...
2025-06-01 00:4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