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삼심교정원
김능복이 중학 2학년 때인 1969년 본교 창설의 원리인 「삼심대(三心大)」를 경험하게 되었다고 한다. 중학교 졸업 후 여러 종교를 편력하며 다니다가 전북 익산군 함라면 신대리에서 박향일 조사(朴享一 祖師)를 대표자로 윤불물십본지(圇佛物十本地:念佛宗)란 종교명으로 문공부에 사회단체 등록을 했다. 1971년에는 삼심교정원이라 개명했다. 신앙의 대상은 윤불물십본지(圇佛物十本地:念佛宗) 당시는 □속에 ㊉을 넣어 사용하다가 삼심교정원 시절은 ㊉표만을 사용하고 이를 윤(圇) 이라 불렀다. ㊉의 내용 속에는 불교·원불교·통일교회 등 많은 종교들의 사상이 포함된다고 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주로 삼심을 들어낸다. 삼심이란 ①불교의 ...
2025-07-09 22:43

7
삼대원성취가
수운교
삼대원성취가는 1946년 경 수운교 본부에 와서 공부하고 있던 해암 김두화(金斗和)씨가 작사하고 곡은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 랭 싸인'에 부쳐 부른 노래이다. 우리나라에서 안익태 작곡의 애국가가 탄생하기 전 애국가의 곡으로서 널리 불린 바 있다. 우리말로 작별이라 번역된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은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곡이다. 작사자 김두화씨는 『단기고사』를 번역한 분이기도하다. 삼대원성취가는 아래와 같이 4절로 되어 있고 후렴이 있다. 1)천도순환 돌아오니 용담의 봄이요/천단짓고 경배하니 금병의 빛일세/후렴/무궁조화 삼대원 성취하는 날/지상천국 분명하다 수운천사 만세 2)하날님덕 널리펴서 천하에 전 ...
2025-07-09 21:14

7
삼당오복제
유교
삼당오복제(三黨五服制)는 유교의 상례(喪禮)에서 혈연의 멀고 가까움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되는 상복(喪服)의 종류와 복상(服喪) 기간에 대한 규정을 일컫는 말이다. 흔히 복제(服制)라고 한다. 여기서 삼당(三黨)은 남자의 경우에는 친당(親黨)·모당(母黨)·처당(妻黨)을 말하고 여자의 경우에는 친당(親黨)·모당(母黨)·부당(夫黨)을 말한다. 오복(五服)은 친속(親屬)의 등급에 따라 입도록 되어 있는 다섯 가지 복상(服喪)의 제도로서 참최(斬衰)·재최(齊衰)·대공(大功)·소공(小功)·시마(緦麻)가 여기에 해당된다. 복상을 보면 참최는 거친 생포(生布 표백하지 않은 베)로 상복을 만들고 삼[麻]으로 수질(首絰)과 요질(腰絰 ...
2025-07-09 21:08

7
불법연구회통치조단규약
원불교
가로 12.7㎝ 세로 18.7㎝ 66면의 소책자에 교도들의 공부와 사업을 지도 훈련하기 위한 10인1단의 조단 규약을 수록하고 있다. 규약은 총 14장 54조로 구성되어 있고 본서의 구성은 총론ㆍ단규원칙ㆍ세칙으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총론에서는 조단의 동기와 목적 등 큰 요지가 밝혀져 있고 단규원칙에서는 총칙 남녀구별조직 수위단의 조직과 선거방식 각단의 조직 회의단원 단장의 권리와 의무 상벌 등 총 14장으로 되어 있다. 세칙에서는 공부 사업 양방면에서 단원들의 자기일기조사법과 단장이 단원의 일기 성적으로 조사하는 법 그리고 재가 공부인의 응용할 때 주의사항 작성표 재가공부인이 교무부에 와서 하는 책임사항 작성표 사업성 ...
2025-07-09 18:04

7
본문불립종
본종은 일본불교의 일련종(日蓮宗)계통으로서 1857년 나가마츠 닛센(長松日扇 1817-1890)이 세운 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을 원류로 한다. 본문불립강은 『법화경(法華經)』 계통의 재가 불교교단으로서 1952년 본문불립종으로 개칭하였고 니치렌(日蓮 1222-1282)을 종조로 하며 니치류(日隆 1385-1464)를 개조(開祖)로 모신다. 본종은 다른 종파가 사람이 세운 인립종(人立宗)인데 비해 부처가 세운 종단이라는 의미에서 불립종(佛立宗)이라고 자칭한다.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의 창제(唱題)를 중심으로 현세이익을 통해서 말법의 중생을 구제하는 것을 설하며 사찰이나 출가 승려들의 의미를 거의 인정하지 않는 ...
2025-07-09 14:58

7
복마대제
복마대제는 관제 관성제군 등으로도 불린다. 호법사천신(護法四天神) 중의 하나이다. 북송시기부터 청대까지 황제들이 관제를 봉호하며 제사하여 신앙하였다. 복마대제는 명나라 만력년간에 “삼계복마대제신위원진천존관성제군(三界伏魔大帝神威遠鎭天尊關聖帝君)”이라고 봉호를 내리면서 ‘복마대제’라는 신격을 갖게 된다. 민간에서 관제는 수명록을 관장하고 과거를 급제를 도우며 병을 치료하고 재앙을 물리치고 음지를 순찰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신으로 인식되었는데 이는 그가 천추에 의로운 사람이자 정직하여 사사로움이 없는 큰 신이기 때문이다. 그는 『삼국지연의』가 유전되면서 집집마다 깨우치는 것을 거쳐 민중이 존경하는 대상이 되었다. 청대 ...
2025-07-09 02:31

7
변화승천
여호와새일교
여호와 새일교에서는 종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종말의 시기가 되면 2차례에 걸쳐 부활이 이루어지는데 1차에 부활하는 자들은 왕권을 받아 왕국 조직을 이루어 지상천국을 이루기 위한 것이고 2차 부활은 심판을 위한 부활로 모든 사람들이 부활하여 심판을 받고 천국과 지옥에 갈 사람들로 나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까지 죽지 않고 살아있는 사람들 가운데 새일교단의 교리를 충실히 행하던 14만 4천명은 영혼과 육체가 분리되지 않고 하늘에 나타나는 주님을 영접하기 위해 그대로 변화하여 승천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변화승천하는 신도들을 변화성도라고 부르며 이들은 1차에 부활한 자들과 함께 지상천국에서 통치권을 행사한다. 이들을 정치에 ...
2025-07-09 01:35

7
방언공사
원불교
원불교 초기인 1918년(원기3)부터 1년간 원불교 교조인 박중빈과 제자들이 전남 영광군 백수면 길룡리 앞 해안 갯벌을 막아 농토를 만든 공사. 소태산은 초기교단의 운영과 방언공사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제자들과 함께 저축조합을 설립하고 금주금연과 허례폐지 등을 시행했다. 자금이 어느 정도 확보되자 1918년(원기3) 3월에 바다를 막아 언답을 만드는 방언공사를 시작했다. 주위에서 비평과 조소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제자들과 새끼를 꼬아 말뚝으로 방축선을 정하고 가래와 삽으로 캐낸 갯벌 흙을 달구지와 지게 망태기로 운반하여 1년 만에 2만6천여 평의 농토를 얻게 되었다.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방언공사를 성공리에 마쳤으나 ...
2025-07-08 23:41

7
박운교
불교극락회
그는 1925년 5월 당시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漢芝面) 두모리(豆毛里)에서 불교포교기관으로서 ‘불교극락회(佛敎極樂會)’를 설립하였다. 참고문헌 : 『朝鮮의 類似宗敎』(村山智順 저 최길성․장상언 공역 계명대학교출판부 1991)
2025-07-08 22:55

7
박수무당
'박수무당'은 남자무당을 이르는 말인데 황해도와 평안도에서는 박사 박새 박시 등으로 불렸고 강원도에서는 할보무당이라 부르기도 한다. '박수'는 몽골어 '박시(baksi)'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다. 몽골어에서 '박시'는 '선생' '스승' '지혜로운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한자로는 박사(博士)·박수(拍手)·복사(卜師) 혹은 화랑(花郞)으로 표기되었다. 박사는 두루 많이 아는 사람이라는 뜻이고 복사는 점복과 예언을 통해 앞날을 예측하는 훌륭한 스승 또는 신의 대리자라는 뜻이다. 박사나 점사라 한 것은 박수(博數)라는 숫자에서 비롯되었는데 점보는 방법으로 숫자를 풀어서 보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산통점 육효점 복점 ...
2025-07-08 22:5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