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9

도덕회

|

1952년에 출범한 국내 일관도 교단.

2025-07-07 14:41

0

도덕해원

|

갱정유도

도덕해원(道德解寃)이란 원한 맺혀 있던 도덕이 그 원한을 푼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도덕(道德)이란 인간세상에 실현되어야 하는 이상적 가치이기도 하지만 갱정유도에서 말하는 도덕해원의 ‘도덕’은 천상일기(天上一氣)를 의미한다. 지나간 후천(後天)시대에는 제성(諸聖)·제불(諸佛)·제선(諸仙)·충효열(忠孝烈)·도덕선심(道德善心)이 원한이 맺힌 채 천상에 일기(一氣)로 존재하였다. 하지만 도래하는 선천(先天)시대에는 이 천상일기가 인간세상으로 내려와 비로소 원한을 풀게 된다고 갱정유도에서는 설명한다. 이처럼 선천과 후천이 변역하여 천상일기가 인간에 해원되는 것을 갱정유도에서는 도덕해원이라고 말하며 이를 갱정유도에서는 종교 ...

2025-07-07 14:40

0

도덕초기회

|

우리나라 일관도의 초기 통합교단명.

2025-07-07 14:39

0

도덕입법일

|

성덕도

도덕입법일은 1952년 음 5월 27일 도주 김옥재와 법주 도학수가 도덕의 법을 세운 날이다. 성덕도에서는 매년 본원에서 전국 도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축 행사를 거행한다.

2025-07-07 14:32

0

도덕실기전

|

갱정유도

이 책의 원래 이름은 『수도인본원지도덕실기전(修道人本原之道德實記傳)』이며 줄여서 『도덕실기전』또는 『실기전』이라고도 한다. 이 책은 강대성의 출생과정에서부터 수도를 결심하게 된 과정과 부부자삼인(夫婦子三人)이 함께 수도를 준비하고 진행한 방법 그리고 도통을 이루고 부부자삼인이 생사교역을 수행한 과정 등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이후 행적과 인간세상의 미래사 등에 대한 천어문답(天語問答) 등도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갱정유도의 종교적 내력과 교리를 이해하는 데 이 책은 가장 실증적이고 기본적인 문헌자료이다. 특히 이 책은 강대성이 직접 저술하였다는 데 더 큰 의의가 있다. 이 책은 『부응경』에 수록되어 ...

2025-07-07 14:31

0

도덕성회

|

1968년 손우헌(孫佑憲 1920-1987)의 주도로 만들어진 본교는 중국 일관도계통의 신종교이다. 일관도는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 회교 등의 5교의 교리가 하나의 도에 일관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교리 내용에서 미륵불의 출현을 특히 강조한다는 점에서 미륵교(彌勒敎)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일관도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1947년부터인데 1952년 개별적으로 성장하던 일관도가 ‘도덕초기회(道德礎基會)’라는 명칭으로 통합되어 손우헌이 회장으로 임명됨으로써 하나의 교단을 형성한다. 그러나 1년여 만에 교단의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분열되어 김복당(金福堂)의 국제도덕협회(國際道德協會) 장단기(張端基)의 대한도덕회(大韓 ...

2025-07-07 14:30

0

도덕사업

|

금강대도

이토암은 “세상 사업이 셋이 있으니 첫째는 도덕 사업이요 둘째는 제왕 사업이며 셋째는 문장 사업이라. 나는 도덕 사업가요 제왕 사업가가 아니니…”라고 하여 금강대도의 목표가 정치나 학문에 있지 않고 도덕으로 인간을 구제하는 종교 사업임을 분명히 하였다. 그는 이 세상이 병든 이유가 인간의 도덕성 타락에 있다고 진단하였기 때문에 세상을 치유하는 방도로써 도덕사업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요즘 세상에 종교가 많아 다 자랑하는 바가 있지만 너희들은 반드시 자랑할 것이 없으리니 다만 네 선생의 도덕을 자랑으로 삼도록 하여라.”라고 하면서 “도덕사업은 땅 짚고 헤엄치기며 제왕사업은 칼을 물고 뛰는 것과 같다.”고 하여 도덕사업의 ...

2025-07-07 14:28

0

도덕론

|

신명유도

권정수는 『도덕론』에서 자신의 도덕운동의 취지와 목적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순수한 천수지품성(天受之氣品)과 무자기지심(無自欺之心)으로 심화기화(心和氣和)하며 민족도의를 지양(持養)하며 성경신삼법(誠敬信三法)으로 수도하고 삼강오륜의 윤리로 근본하야 문명을 교화하며 선언덕행(善言德行)과 도덕적인 행동의 실천이며 성의정심(誠意正心)으로 수신(修身)하고 돈목(敦睦)과 화합으로 제가(家濟)하며 격물치지(格物致知)하는 궁구지리(窮究之理)와 군성신충지의(君聖臣忠之義)로 치국(國治)하고 정심기화(正心氣和)하며 신인합일지도(神人一合之道)로 평천하(平天下)하는 대도(大道)를 세계만방으로 보급하야 이신(利身) 이가(利家) 이국(利 ...

2025-07-07 14:27

0

도덕과학연구소

|

히로이케 치쿠로는 교육가로서 미취학아동을 위한 야간학교 개설 도덕교육 교과서인 『신편소학수신용서(新編小学修身用書)』의 집필 그리고 교원생활 향상을 위한 일본 최초의 교원상조회를 설립하였다. 그 외에도 지방사를 비롯한 다양한 학문 분야를 개척하고 독학으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6년 자신의 학문 연구와 교육 체험을 집대성한 ‘총합(總合)인간학으로서의 모랄로지(Moralogy)’를 창립했다. 그리고 1935년에는 ‘도덕과학전공숙(道徳科学専攻塾)’을 개설하여 모랄로지에 기반한 사회교육과 학교교육을 병행하는 생애교육을 시작했다. 사회교육은 윤리도덕의 연구과 마음의 생애학습을 추진하는 공익재단법인 모랄로지연구소로 학교교육 ...

2025-07-07 14:26

0

도덕개화

|

금강대도

이토암은 시대적 모순의 원인을 ‘인간 도덕성의 타락’이라고 진단했고 그에 따라 타종교와 구별되는 자신의 독특한 가르침이 ‘도덕(道德)’ 두 글자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이 때 도덕이란 사람이라면 마땅히 걸어가야 할 길 즉 인도(人道)를 의미한다. 따라서 그는 술법이나 주술적인 면을 배제하였고 한국 신종교의 공통 사상이라고 일컬어지는 ‘후천개벽(後天開闢)’ 사상과도 분명한 거리를 두었다. 오늘날의 세계를 선후천(先後天)이 바뀌는 시기로 보는 것은 수운(水雲)이나 증산(甑山)과 비슷하지만 그것을 천지가 개벽하는 시기로 보지 않고 다만 인간의 도덕성이 개화되는 시기로 보는 점은 그들과 구별된다. 결국 그는 인간 스스로의 도덕 ...

2025-07-07 14:25

0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