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대한불교법인종

|

2001년 1월 1일 벽담 김원식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중생을 깨닫게 하고 성불을 실현시키는 것을 종지로 한다. 『금강경』과 팔만대장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며 종조는 일붕 서경보이다. 2001년 1월 1일 창종하여 초대 종정에 김원식이 추대되었고 2002년 2월 1일 사단법인 용화법인회를 등록한다. 2008년 현재 총무원장은 태웅 만오이며 산화기관으로 용화법인회 한국전통불교예술연구원 한국선서화연구원 불역학술연구원 전통가례의범교육연구원 등이 있다.

2025-07-07 09:07

7

대한불교미륵선교종

|

2001년 4월 3일 초암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석가세존의 자각각타 각행원만한 근본교리를 봉체하고 미륵불의 정토교리 및 용화삼회법문을 듣기 위한 정진을 선양하며 정혜불리설과 좌선보다 견성을 중시한 도의국사의 종풍을 진작하고 불법중흥의 원융종풍을 위한 노력을 다하여 견성성불 전법도생함을 종지로 한다. 본종의 역사를 보면 2000년 8월 10일 창종 준비 대회를 가졌으며 같은 해 11월 2일 초대 종정으로 초암을 추대하였다. 2001년 3월 20일 종헌을 선포하고 같은 해 4월 3일 창종 대회 및 초대 종정 취임법회를 봉행하였다. 또한 같은 해 4월 18일에 초대 총무원장으로 법정이 취임하였고 5월 8일에는 일본 종무원( ...

2025-07-05 20:55

7

대한불교무량종

|

1999년 4월 15일 창종된 본종은 석가세존의 자각각타 각행원만한 근본교리를 봉체하고 기화득통(己和得通)선사를 종조로 삼고 역대조사들이 전승해오던 염불신앙의 법맥을 계승하여 아미타불의 서원인 나무아미타불 육자명호 염불로 명심견성 정토왕생 발원과 상구보리 하화중생심으로 전법도생 불국정토 호국안민을 종지로 삼는다. 소의 경전은 정토삼부경이고 기타 경전연구와 염불지송은 제한하지 않는다. 본종의 역사를 보면 1999년 4월 15일 대한불교무량종을 창종하였고 같은 해 9월 1일 서울 종로의 무량정사에서 창종을 선포한다. 2000년 1월 18일 지리산 칠보정사를 총본산으로 지정하였고 같은 해 4월 20일 총무원을 부산시 괴정동의 ...

2025-07-05 20:51

7

대한도교

|

대한도교(大韓道敎)를 창립한 신백일(申白一 1922-?)은 1922년 경상남도 창령에서 태어나 경찰직에 있다가 병에 걸려 고생하던 중 물법치료를 하던 도교의 김덕태(金德泰 여)를 찾아가 물법치료를 받고 병이 나았다고 한다. 물법의 신비를 체험한 그는 입산수도를 계속하다가 1957년경에 부산시 우암동에 집을 마련하고 치료를 실시하였다. 태상노군(太上老君)을 외우게 하면서 찬물을 먹이고 단식을 시키며 타골(打骨)과 안찰법(按擦法)을 병행했다. 또한 환자에게 자성(自性)을 반조하고 전죄(前罪)를 참회하게 하며 삼강오륜과 도덕을 실천하게 하는 것 등이다. 1959년에는 부산 감천동으로 이전하여 도교수양원이란 간판을 걸고 병자들 ...

2025-07-05 19:42

7

대종사 십상

|

원불교

십상의 각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관천기의상(觀天起疑相): 박중빈이 7세경부터 우주의 이치와 세상의 모든 일에 대해 스스로 큰 의심을 일으켜 깊은 사색에 잠겼다. ②삼령기원상(蔘嶺祈願相): 11세 되던 해 어느 날 문중 시향제에 참석했다가 산신(山神)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산신을 직접 만나 모든 의심을 해결하리라는 희망으로 삼밭재 마당바위를 오르내리면서 기도를 5년간 계속했다. ③구사고행상(求師苦行相): 16세 되던 해 봄 처가에 방문했다가 고대소설 《조웅전》의 주인공이 도사를 만나 성공하고 소원을 이루었다는 이야기를 듣고부터 도사를 만나기 위해 온갖 고행을 거듭했다. ④강변입정상(江邊入定相): 20세에 접어들면서 “장 ...

2025-07-05 19:15

7

대종교영암시교당

|

환중교(桓衆敎)의 이칭

2025-07-05 19:00

7

대종교

|

근대기 국내 최초의 단군신앙에 대해 대종교에서는 1904년 백두산을 중심으로 단군교를 포명한 백봉이라고 하였으나 일부에서는 1890년 평안남도 일대에서 단군신앙을 포교한 김염백의 신교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김염백의 신교가 이후 정통의 맥으로 이어지지는 못한 것으로 보이나 김염백의 신교에 입교한 사람 중에 한명윤(韓明允)이 자신의 집에 교단을 설치하고 스스로 교주가 되어 포교하였다. 한명윤은 신도들과 더불어 3월 15일 단군어천절과 10월 3일 단군개천절에 제사를 올리고 매 일요일마다 예배를 하되 술을 마시고 춤을 추는 것을 의절(儀節)로 삼았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 교단을 무교(巫敎)라고 비판하였으므로 한명윤은 1916 ...

2025-07-05 18:52

7

대종교

|

하상역은 김항의 10대 제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1885년경 김항이 충남 논산군 두마면의 국사봉 아래서 사람들을 모아놓고 정역을 가르칠 때 이일수(李一守)·김계화(金桂花)·김용봉(金龍鳳) 등과 함께 공부를 했다. 김항이 사망한 후 하상역은 2대 교주가 되었으나 김항을 신격화하고 윷판원리로 정역을 해석하는 등의 이유로 다른 제자들과 분란이 일어나자 1909년 독립하여 서울 선동에서 대종교를 창립하게 된다. 김항 생존시 교단의 공식 명칭이 존재하였는지 여부는 확실히 알기 어려우나 ‘무극대도’라는 호칭으로 불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종교는 당시 ‘무극대종교’라는 호칭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영가무도교’라고도 칭해진 것 ...

2025-07-05 18:37

7

대종교

|

대종교 경전을 ‘종경(倧經)’이라고 한다. 종경은 크게 ‘신전(神典) 보전(寶典) 보감(寶鑑)’으로 분류된다. 신전에는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이 있고 각각 조화경 교화경 치화경으로 간주된다. 보전에는 『신리대전』 『신사기』 『회삼경』 『진리도설』 『구변도설』 『삼법회통』 등이 있다. 그리고 보감은 역대 선철의 명저를 의미한다. 참고문헌 : 『대종교 요감(우리정통종교)』(권태훈 대종교총본사 1991) 『대종교 중광 육십년사』(대종교종경종사편수위원회 대종교총본사 1971) 『대종교원전자료집 – 대종교신원경』(한국신교연구소 편 선인 2011) 『한국의 종교현황』(문화체육관광부 2012) 『한국종교의 의식과 예절』 ...

2025-07-05 18:35

7

대종경

|

원불교

박중빈의 언행록으로 총 15품 45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962년(원기47)에 완정하여 《정전》과 합본 《원불교교전》으로 편찬 발행했다. 《대종경》 15품의 내용을 특징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서품:원불교 창립과 관련한 서설적 법어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소태산의 대각과 불교의 연원 초기교단의 저축조합과 방언공사 등이 언급되고 있다. ②교의품:교리 대체를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서 유ㆍ불ㆍ선 삼교의 주체 일원상 신앙과 수행 용심법 도덕문명 종교와 정치 등이 주로 언급되어 있다. ③수행품:수행에 관련된 법설들로서 일상수행의 요법 삼학수행 동정일여의 무시선과 내외정정 수승화강의 원리 기질수양과 심성수양 등이 거론되 ...

2025-07-03 17:43

7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