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21건
대한정토불교
→ 대한불교미타종 참조.
2025-07-07 13:51

0
대한정도교천궁전
교단명
2025-07-07 13:50

0
대한예수교침례회
이요한 목사에 의해 창립된 교단이다. 이요한은 1961년 권신찬과 유병언에 의해 시작된 기독교복음침례회(구원파)에서 활동하였으며 1971년 권신찬에게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러나 권신찬의 사위 유병언이 삼우트레이딩과 주식회사 세모를 운영하면서 재정을 불투명하게 하는 등 잡음이 일어나자 1983년 구원파에서 이탈하여 서초구 방배동 삼원빌딩에 서울교회를 세우면서 독립교단으로 출발하였다. 교세가 날로 늘어나자 1994년 12월 경기도 안양시 관양동에 새로운 교회를 건축하여 서울중앙교회로 이름을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성경 삼위일체 구원 그리고 교회에 대한 교리는 주류 기독교와 큰 차이기 없지만 종말에 대한 신조에서 7년 ...
2025-07-07 13:48

0
대한예수교장로회이삭교회
호생기도원 출신인 유재열이 신비체험을 경험하여 1965년 청계산 계곡에서 장막성전을 세웠다 1980년 유재열이 도미하자 오평호를 중심으로 교단 개혁을 시도했다. 교주 중심의 교단 체계를 폐지하였고 예장 지류 청담동 측의 도움을 받아 대한예수교장로회 이삭교회를 창립하였다. 유재열 귀국 후 오평호 목사는 추방되었고 교단 개혁은 중단되었으며 예수교장로회 측과 무관한 독자적인 대한예수교장로회 이삭교회 총회가 조직되었다. 지금이 말세의 끝이니 주의 심판이 있기 전 환란을 피할 밀실과 토굴을 준비하고 환란이 끝난 이후 다시 나와서 신천지를 이루고 신도들은 왕이 되어 각 고을을 다스린다고 한다.
2025-07-07 13:46

0
대한예수교오순절성결회
이 교단의 시초는 1947년 애향숙(愛鄕塾)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나운몽은 1940년 경북 김천의 용문산에 들어가 수도생활을 하던 중 1942년 성령을 체험하고 1947년 ‘애향숙’이라는 야학을 개설하여 그곳을 중심으로 오순절운동을 독자적으로 전개하였다. 애향숙 운동은 5가지 정신은 하나님 공경은 절대조건이며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며 흙에서 났으니 흙과 일생동안 벗하며 맡겨진 일에 충성하며 종신토록 배우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5가지 정신이다. 이러한 애향숙 정신을 표방되는 나운몽은 한국전쟁으로 피폐해진 사회분위기 속에서 신비체험과 기도를 강조하는 신앙운동으로 기독교신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용문산기도원과 ...
2025-07-07 13:23

0
대한신불교천우종
본종은 ‘신불(神佛)’이라는 종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무속신앙과 불교가 습합된 종단이다. 신불합덕(神佛合德) 조상천도(祖上薦度) 해원성불(解寃成佛) 영생불사(永生不死)를 종지로 하고 종조는 도선국사이며 『금강경』 『부모은중경』을 소의경전으로 한다. 매년 2회의 법계고시(法階考試)를 통해 승려들을 배출하고 있으며 무속인들에게도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996년 6월 1일 창종을 선포하였고 같은 해 10월 10일에 종단의 기관지인 천우종보(신문등록 제05385호)를 창간하였으며 12월 13일 대한불교종단총연합회에 가입하였다. 1998년 4월 17일 천우종보를 천우종신문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같은 해 8월 10일 대 ...
2025-07-07 13:20

0
대한승공경신연합회
대한경신연합회
대한승공경신연합회는 1950년대 후반 자유당 시절의 반공 분위기 속에서 설립된 경신회(敬信會)로부터 비롯되었다. 이 단체는 1960년대에 사단법인 대한정도회(大韓正道會)로 개명하였다가 1971년 1월 6일 대한승공경신연합회라는 명칭으로 문공부 제273호로 등록하였다. 이후 1997년 10월 17일 공보처로부터 사단법인 대한승공경신연합회를 승인받았다. 그리고 남북 화해의 분위기를 반영하여 ‘승공’을 빼고 2000년 7월 17일에 사단법인 대한경신연합회로 명칭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한승공경신연합회는 ‘전통적인 무속문화의 연구개발과 그 보존을 통해서 승공태세를 확립’하려는 목적을 갖고 설립되었는데 사단법인 대한경신 ...
2025-07-07 13:18

0
대한생활불교회
본회는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위한 사회 각 분야 포교교육 사회봉사 복지사업 국민윤리 선양 청소년선도 교육 등을 목적으로 1964년 1월 3일 김근용에 의해 불교생활연구소로서 설립되었다. 1965년 12월 20일 불교생활연구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1971년 12월 21일 사단법인 설립인가를 받는다. 1972년 6월 1일 부설 불교병원을 개원하고 1994년 3월 3일 제3대 회장으로 김덕수가 취임 부설 선문화대학 및 불교미술대학을 개원한다. 2002년 9월 1일부터 부평 외국인 노동자의 집을 운영 2007년 4월 13일부터는 속초 금강복지재단 사이버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본회의 주요사업으로는 불교포교 및 교육사업 사 ...
2025-07-07 13:16

0
대한불교화엄종포교원
1965년 10월 21일 김영석(韓永錫)의 주도로 창종된 대한불교화엄종(大韓佛敎華嚴宗)은 이듬해인 1966년 6월 21일 불교재산관리법에 의거하여 대한불교화엄종포교원(大韓佛敎華嚴宗布敎院)이라는 명칭으로 등록한다.
2025-07-07 13:14

0
대한불교화엄종
본종의 초대종정 한영석(韓永錫 浚海)과 한성안(漢性安)이 1932년 만월산 기슭에 약사사(藥師寺)를 창건하여 교화활동을 해오다가 해방을 맞아 인천시 신흥동 소재의 일본사원을 불하받음으로써 두 사찰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포교활동을 전개 종단의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65년 10월 21일 인천에서 한영석이 대승불교의 염불문(念佛門)을 별개(別開)하고 화엄지관(華嚴止觀)을 닦고자 대한불교화엄종을 창종하였다. 1966년 6월 21일 불교재산관리법에 의거하여 대한불교화엄종 포교원으로 등록하였다. 1969년 8월 14일 대한불교화엄종 종무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1973년 1월 22일 대한불교화엄종으로 명칭을 변경 ...
2025-07-07 13: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