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군웅신

|

무속의 장군신은 한 인물이 죽은 다음에도 생전의 개별적 정체성을 유지한 채 신격화된 인물신이다. 이에 비해 군웅신은 생존한 어떤 장군과 같은 구체적인 인물이 신격화된 것이 아니라 추상적인 장수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군웅신은 일정한 삶의 영역이나 집단의 액과 살을 물리치는 신으로 이승뿐만 아니라 저승에서도 그 역할이 지속된다.

2025-06-01 23:50

7

국제불교포교사대학

|

대한불교삼론종

1992년 7월 15일 개교한 대한불교삼론종 산하의 교육기관. 참고문헌 : 『한국불교총람』(대한불교진흥원 2008)

2025-06-01 23:28

7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단월드

단월드를 창립한 이승헌은 1999년에 학교법인 ‘한문화학원’을 설립하고 2002년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를 설립 2003년에 개교했다. 2008년에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건학 이념으로 하며 뇌 교육학과 국학과 평화학과 등이 설치되어 있다. 뇌 교육학과는 뇌 활용 학습 과학 전공 두뇌 계발·상담 전공 뇌 융합 콘텐츠 개발·평가 전공의 3개 전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학과는 선도 사상·문화 전공 역사·천손 문화 전공 자연 치유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화학과는 홍익 정치·사상·문화 전공 평화 지도자 전공 NGO·글로벌 협력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대학교 부설 교육 ...

2025-06-01 01:53

7

국사당

|

국사당(國祀堂)이라고도 쓴다. 현존 국사당의 건립 연대는 확실치 않다. 다만 건축 양식이나 진열하고 있는 무신도의 신격 조선왕조실록에 남산의 산신을 목멱대왕에 봉했다는 기록이 나오고 목멱신사(木覓神祠)에 관련된 기록이 있어 조선시대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 국사당은 서울 남산 꼭대기(지금은 팔각정이 위치)에 지어진 건물이었다. 그러나 1925년 일본인들이 남산 기슭에 조선신궁(朝鮮神宮)을 지으면서 국사당이 자기들의 신사보다 높은 곳에 있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이전을 강요하면서 결국 지금의 위치(인왕산 서록)로 이전되었다. 이전 장소를 인왕산 기슭으로 택한 것은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그곳에서 기도했다고 전해 ...

2025-06-01 01:20

7

국무

|

국무는 국행제(國行祭)인 기우제를 집전하고 명산대천에서 왕실의 축복을 기원하며 내행제(內行祭)인 치병의례 등을 주관하였다. 고려시대에 국무가 주관한 대표적인 무속의례는 별기은(別祈恩)이다. 고려 명종 때 별례기은도감(別例祈恩都監)의 설치와 함께 시작된 별기은제(別祈恩祭)는 명산대천에서 왕실의 축복을 기원하는 제의로서 주로 불교나 도교적 행사로 거행되었다. 그러나 고려 말 14세기에 이르러서는 무당을 앞세운 국행제로 변모하게 되면서 국무가 의례를 집례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고려 때에도 무풍배척(巫風排斥)의 정책은 수시로 시행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음사(淫祀)로 규정되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국무의 존폐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 ...

2025-06-01 01:18

7

국교대학

|

대한불교유마종

대한불교유마종에서 1994년 2월 10일 설립한 교육기관.

2025-06-01 01:15

7

구령주

|

광화교

광화교의 창립자인 김치인은 도를 닦던 중 진산(鎭山) 태고사에서 남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던 이운규의 장남인 부련(夫蓮) 이용래(李龍來)를 만나 구령주를 받았으며 이를 정심으로 수행하고 득도하여 1888년 오방불교를 창시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이 주문은 광화교의 창립자의 득도와 관련하여 중요한 주문이 된다. 그런데 구령주는 이미 도교의 경전 중 하나인 『옥추경(玉樞經)』에 전해오고 있던 것으로 그 내용은 “天尊이 言하사 身中九靈을 何不召之하시니 一曰天生이며 二曰無英이며 三曰玄珠이며 四曰正中이며 五曰孑丹이며 六曰回回이며 七曰丹元이며 八曰太淵이며 九曰靈童이라 召之則吉하고 身中三精하니 何不召之리오 하시니 一曰台光이며 二曰爽靈 ...

2025-06-01 00:36

7

구갑비장경

|

인도교

인도교의 경전. 교조의 생애 언행 사상 교단의 약사를 기록해 놓은 문헌.

2025-06-01 00:26

7

교회지남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교회지남(Church Compass)』는 1916년에 4.6배판으로 표지 없이 8면의 형태로 창간호를 발행했다. 1941년 3월호까지 발행하고 일제의 강압으로 폐간되었다가 같은 해에 8월호와 12월호를 표제를 『敎會指針(교회지침)』으로 변경하여 발행했지만 또 다시 폐간되었다. 1945년 해방 후 12월호부터 발행했으나 1951년에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7월호를 발행하고 휴간되었다. 1951년 12월호를 일본에서 발행했고 1952년 5월호부터 국내에서 다시 발행하기 시작해 2015년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25-06-01 00:23

7

교재

|

삼령교

현도철이 창립한 삼령교(三靈敎)의 경전. 교조 연혁 2세 교주 연혁 유불선의 원리 대장축문 회생문 무림축문 용황문 칠성문 등으로 되어있음.

2025-05-31 23:46

7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