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강진구

|

대종교

대종교 중진으로 중광제현(重光諸賢)의 한 사람. 독립운동가.

2025-05-16 15:35

7

강용구

|

대종교

강용구는 1896년 충남 부여에서 강우(석기)의 삼남으로 출생하였다. 호는 단야(檀野)이다. 사립 천흥(天興)학교를 거쳐 1915년에 군산공립농업학교를 졸업하였으며 곧 동양척식주식회사 강경지점에 취직하였으나 1916년 사직하고 홍산공립보통학교 촉탁 교원이 되었다. 1918년 부형이 있는 북간도로 건너가 잡화상을 운영하다가 1920년에 귀국하여 서울에서 숙박업을 하기도 했다. 그의 형 강철구가 군자금 모금을 위해 강용구의 집을 거점으로 삼았으며 또한 그를 연락책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강용구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대종교에 입교하여 1921년 참교가 된 이래 1922년 남일도본사 계리감정(計理監正) 1923년 계선시교당(桂善 ...

2025-05-16 15:24

7

강길룡

|

단군성조수도원

강길룡은 1921년 경상북도 함양에서 출생하였다. 일찍이 종교인들이 말하는 도통에 관심을 가지고 도인들을 찾아다니다가 지리산에서 수도하던 한취봉과 대구의 운주도인이라는 사람에게서 단군신앙에 대한 지론(旨論)과 심기수련요법을 배웠다고 한다. 그는 또한 부산에서 신백일이 포교하는 물법계 교단인 ‘도덕수련원(이후 대한도교로 개명함)’에 입교하여 물법·타골(打骨)·안찰·단식·주송수련에 의해 병자를 치료하는 법술을 얻고 신기의 발현과 점의 효험 등을 체험하였다고 한다. 이후 1960년 대한도교로 개칭한 도덕수련원에서 이탈하여 1962년 경남 마산 평화동 10번지에 단군신앙을 중심으로 하는 ‘단군성조수도원’을 창립하였다. 그의 병 ...

2025-05-16 14:38

7

가정과 건강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원서는 1943년에 출판된 『당신의 가정과 건강(Your Home and Health)』이다. 국내에서는 1950년에 시조사에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이 저서는 총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로 건강과 행복한 가정의 토대는 신앙에 있음을 제시하면서 건강 유지법 간호 부부관계 자녀교육 등을 다루고 있다. 저서 내용의 많은 부분은 1905년에 출판된 엘렌 지 화이트의 『건강생활의 지혜(The Ministry of Healing)』에서 언급된 것이다.

2025-04-25 15:12

7

가이헤이칸

|

대종교

나철은 계몽운동가 외교가 종교지도자로서 한국근대사에 큰 자취를 남겼다. 그는 일제의 침략에 의해 국운이 위협받던 1905년 6월부터 1909년 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대일외교항쟁을 전개하였다. 마지막 4차 도일(渡日) 때 가이헤이칸에서 백두산계 도인 두일백을 만나 극적인 종교체험을 하고 종교지도자로 변모하게 된다. 가이헤이칸이 속한 홍고구(현 분쿄구)는 도쿄의 중심부로 리쿠기엔[六義園] 유시마신사[湯島神社] 문인과 묵객의 자취가 많은 유서 깊은 지역으로 재일한국유학생 최대 거점이기도 했다. 가이헤이칸은 1935년 다이에이칸[太榮館]으로 개명했고 1954년에는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건물을 새로 지어 현재도 영업중이다. 도 ...

2025-04-25 15:11

7

용호도량

|

수운교

수운교 본전인 도솔천궁을 중심으로 광덕문 용호문 보화문 성덕문의 4대 문안의 내원정토를 용호도량 또는 청정용호도량이라고 한다. 이 용호도량은 후천 새 세상 5만년으로 들어가는 만화귀일처이다. 용호도량은 일룡만호(一龍萬虎)의 대 도량이다. 일룡은 한 분이신 수운천사를 상징하고 만호는 수운천사의 사은으로 일심동령이 된 1만 선인군자를 상징한다. 수운교에서는 교인에게 도호를 내릴 때에 범 호(虎)자로 수여한다. 교인 한 사람 한 사람이 범이 된다. 그래서 후천 시대에는 용과 호가 상응하는 용호 상응시대가 된다고 한다.

2025-04-02 19:21

7

성수신앙

|

봉남교

많은 종교들에서 물을 신성한 존재로 파악, 신앙의 대상화하기도하고, 신앙의 방편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신을 청하는 청신법(請神法), 물로써 몸을 청결하게 하는 정신법(淨身法), 물로써 잡귀를 물리치는 축마법(逐魔法), 물로써 신에 제공하는 공양법(供養法), 물로써 병을 고치는 치병법(治病法) 등이 있다. 물 신앙은 한국 민간신앙에 널리 퍼져있고 종교들에도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민간신앙의 용신·수신·정화수, 동학의 기수일원(氣水一元)의 본체론에 의거한 청수치성(淸水致誠)·부수치병(符水治病), 증산계와 일부계의 일육수운도(一六水運度)에 의한 선후천 교역의 원리, 기독교의 성수·세례·침례, 불교의 법수·청수 등 ...

2025-08-13 15:53

6

성민원

|

우주일주평화국

우주일주평화국의 조직기구 중 하나로서 성민(聖民)의 교육과 각종 문화운동을 주관한다. 성민이란 대한일주평화국에서 신도를 일컫는 말로서 이 교단의 건국취지문에 따르면 ‘신조와 요강과 헌장에 공명하고 성민의 의무와 본분에 충실할 것을 서약하고 등록을 신청한 사람’으로 되어 있다. 이 교단에는 이 밖에도 종교기구인 성례원(聖禮院) 입법기구인 성의원(聖議院) 행정기구인 성정원(聖政院) 사법기구인 성법원(聖法院)이 있다. 이들 기구는 모두 1인의 원장과 그를 보좌하는 사무총장을 두었다.

2025-07-14 01:57

6

성명명도관

|

원융도

→ 원융도 참조. 참고문헌 : 『朝鮮의 類似宗敎』(村山智順 저 최길성․장상언 공역 계명대학교출판부 1991)

2025-07-14 01:52

6

성경

|

금강대도

1994년 봄에 창간되어 2015년 현재 47호까지 나와 있다. 중요한 내용으로는 4대 도주의 ‘성경교단(誠敬敎壇)’ 1·2·3대 도주의 성경(聖經)에 대한 강해 제자들의 수행기 개도백년사 종리 연구 도인들의 신앙생활수기인 성경문예 총본원과 지방본분원 소식 기타 도우회 소식 외부 학자들의 기고 등이다. 그리고 특별한 도사(道史)가 있을 때에는 그것을 특집으로 하는 특별게재도 있다. 『성경』지는 일반 도인과 각 공공기관 종교학자들에게 배부되고 있어 금강대도의 교화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참고문헌 : 『성경(誠敬)』(금강대도 1994)

2025-07-14 01:01

6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