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금강지권
대한불교진각종
금강지권(金剛智拳)은 법신비로자나불의 인상(印相)으로서 통상 지권인(智拳印)이라고 한다. 양손 각각의 엄지손가락을 싸고 네 손가락을 접은 상태[金剛拳]에서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펴서 오른손 검지의 끝과 맞닿게 하고 오른손으로 감싸는 형태이다. 여기에서 오른손은 법신불을 상징하고 왼손은 수행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법신불과 수행자가 하나가 되는 것을 상징한다. 이러한 금강지권은 대한불교진각종의 삼밀관행법(三密觀行法)에서 신밀(身密)에 해당하는 수행법이다. → 삼밀관행 참고문헌 : 『밀교대사전』(밀교대사전편찬회 법장관 1969) 대한불교진각종 홈페이지(http://www.jingak.or.kr/)
2025-06-03 17:37

7
금강륜상
대한불교진각종 항목체계 : 의례/상징/문화예술
금강륜상은 대한불교진각종의 교리와 수행의 상징으로서 금강계구회만다라(金剛界九會曼茶羅)를 원으로 표현하고 그 가운데 5불(佛)을 표시하고 있다. 내부의 5륜(五輪)과 외부 대원(大圓)은 육대(六大)를 상징하는데 내부 5륜은 각각 지(地)․수(水)․화(火)․풍(風)․공(空)을 외부 대원은 식(識)을 상징한다. 내부 4선은 대만다라(大曼茶羅) 삼매야만다라(三昧耶曼茶羅) 법만다라(法曼茶羅) 갈마만다라(羯磨曼茶羅)의 사만(四曼)을 상징하고 내부 5륜은 신밀(身密) 내부 4선은 구밀(口密) 외부 대원은 의밀(意密)을 상징한다. 또한 내부 5륜은 각각 옴․마․니․반․메를 외부 대원은 훔을 나타내어 육자대명왕진언을 상징하고 있다. 참 ...
2025-06-03 17:17

7
금강도
토암 이승여는 1910년 강원도 금강산에서 충청도 계룡산으로 남천포덕을 하였다. 처음에는 관성신앙을 내세워 포덕을 하다가 최초로 이름을 내세운 것은 1922년 일본불교의 이름을 빌어 진종동붕교(眞宗同朋敎)라고 한 것이 처음이다. 1926년에는 ‘관성교지부’ 간판을 걸고 관성제군의 소상을 봉안하기도 하였다. 약 1년간 관성교지부로 있다가 1927년에 마침내 ‘금강도총본부’ 간판을 걸었다. ‘금강(金剛)’이라고 한 이유는 토암이 금강산에서 대도를 자각하여 처음부터 ‘금강도사(金剛道師)’라고 불렸기 때문이며 불교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금강대도’로 개칭을 하게 된 것은 1962년 문교부의 종단 통합 지시에 의하여 단군계 ...
2025-06-03 17:16

7
금강대학교
대한불교천태종
본교는 충청남도 논산군 상월면 상월로 522에 위치한다. 본교는 불교정신과 천태종의 중창이념 아래 참된 인간성 전문적 지식 창조적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자신을 완성하고 국가와 세계의 발전에 공헌하게 함으로써 지혜와 자비가 차별 없이 모두에게 충만한 이상세계의 실현함을 건학이념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교육 목표는 첫째 자신의 참 성품을 찾아 사회를 선도․봉사하는 유능한 지도자 양성 둘째 정보 활용 능력을 갖추고 창의적인 안목과 열정으로 변화에 대처하는 전문인의 양성 셋째 뛰어난 외국어 실력과 국제적 소양을 겸비한 세계인 양성이다. 2002년 11월 7일에 개교하여 동년 11월 16일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대학설립 ...
2025-06-03 17:15

7
극원철학
원종교
김중건은 스스로 자신의 사유을 ‘극원철학’이 라고 사용했다. 특히 극원(極元)은 주렴계가 태극도 설에서 말한 태극과 흡사하다는 점에서 김중건의 극 원철학은 유(儒)
2025-06-03 16:58

7
규원사화
유학적 입장의 역사는 존화주의와 사대사상에 젖어있다고 비판하면서 고기와 비기를 참고하여 서술한 역사서이다. 이 책의 구성은 서문·조판기(肇判記)·태시기(太始記)·단군기(檀君記)·만설(漫說)로 구성되어 있다. 「조판기」와 「태시기」에서는 환인(桓因)이라는 일대주신(一大主神)이 천지를 개창하고 환웅천왕(桓雄天王 일명 神市氏)이 태백산에 내려와 신정을 베푸는 과정이 서술되어 있다. 「단군기」에서는 환검(桓儉)으로부터 고열가(古列加)에 이르는 47대의 왕명과 재위기간 그리고 각 왕대의 치적이 서술되어 있다. 「만설」에서는 우리나라가 만주를 잃어버린 뒤 약소국으로 전락한 것을 개탄하면서 부강한 나라가 되기 위한 세 가지 조건을 ...
2025-06-03 16:54

7
귀화절
각세도
각세도 도조인 이선평의 사망일인 1월 17일
2025-06-03 16:52

7
귀계정례
각세도천지원리교
각세도천지원리교의 의례 중 상례에 해당하는 의례.
2025-06-03 16:28

7
궁을기
수운교
수운교의 교기는 궁을기(弓乙旗)이다. 직사각형의 황색바탕에 한 원과 그 속에 궁을영부()를 나타내어 만화귀일하는 지상천국을 상징한다. 직사각형은 사방을 의미하며 바탕의 황색은 중앙을 표시하고 자비와 평화를 뜻하며 원은 무극이니 불 천 심의 일원이며 영부는 좌우배궁의 판단할불()자이니 중심에 백십자이다. 좌우배궁(左右背弓)이란 좌에 있는 弓과 우에 있는 弓이 마주보며 합일한 것을 의미한다. 궁(弓)은 선(仙)이요 을(乙)은 불(佛)이니 선불이 합덕하고 천궁지을(天弓地乙)의 음양조화로 하늘과 땅이 열리고 닫히는 조화문이며 음양이 출입하는 길이요 만물이 생성하는 기틀로 천도의 원리를 담고 있다. 참고문헌 : 『수운교 진리』( ...
2025-06-03 15:28

7
군종
대한민국 군종은 이승만 정권시기인 1951년 기독교 종군목사제 형식으로 시작되어 개신교 천주교 불교가 참여한 제도가 설치되었고 2006년 12월부터 원불교의 종교활동도 인가되었다. 군종 장교들은 군인이지만 각 종교 대표 성직자로서 군대 내에서 예배 미사 법회 등의 종교의식과 성찬식 수계식 등을 거행하며 교리와 예전 교육 상담 등 성직 임무를 담당한다. 따라서 각 종교의 관례에 따라 업무를 집행하며 군종장교도 고유의 명칭을 따라 개신교는 군목 천주교는 군종신부 불교는 군종법사 원불교는 군종교무라고 부른다. 병의 경우 군종병으로 통칭하며 상담활동 종교행사 보좌 등을 담당한다. 현행 군종제도는 병사들의 종교의 자유를 위해 설 ...
2025-06-01 23:5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