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교운공사
증산교본부
교운공사(敎運公事)란 증산 강일순이 자기의 이상과 교의에 의한 후천의 선도자가 될 신생종단이 탄생될 도수(度數)를 획정하였다는 내용이다. 이 과정은 4단계를 거치게 된다. 1단계는 증산이 ‘먼저 난법(亂法)을 낸 뒤에 진법(眞法)을 내리라’하여 27년의 난법도수를 정하였다는 것이다. 1909년으로부터 1936년까지 27년간 수많은 교파의 분열이 천양만태로 벌어진다. 2단계는 이런 난법 중에 후일의 준비가 있게 된다. ‘서전서문과 대학경일장하를 많이 읽으라’는 말이나 ‘무진동지에 기두(起頭)한다’는 말이나 ‘의통(醫統)을 전하라’는 말 등이 모두『대순전경』이 간행되는 등 진법의 토대가 준비될 일을 암시하는 것이라 했다. ...
2025-05-31 23:43

7
교리실천도해
원불교
1962년(원기47)부터 프린트판으로 보급되다가 1986년(원기71)에 48개의 항목으로 보충하여 발행했다. 중심항목은 다음과 같다. 대종사 게송 정산종사 게송 교리도 개교의 동기 사중보은 사요실천 삼학공부Ⅰ 삼학공부Ⅱ 팔조 교강 9조 상시응용 6조 공부 최초법어 생활의 6대 강령 법위 신분검사 삼동윤리 세계 평화의 3대 요소 대종사의 십상 교화도 불타의 팔상과 수행상 대인군자 진퇴의 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6년(원기71)판에서 보충된 중심항목은 다음과 같다. 삼학공부(그 3) 삼학공부(그 4) 삼학공부(結) 세계평화의 4대 운동(그 1) 세계 평화의 4대 운동(그 2) 여래의 3대원 세계평화 3대 제언 등이다 ...
2025-05-31 23:28

7
광화연합도관
오방불교의 교주였던 김선기는 1930년경 계룡산 신도안에 있던 ‘대화교(大華敎)’의 신도를 규합하여 광화연합도관을 창립하였다. 본부는 전북 완주군 운동하면 가천리에 두었다. 대화교는 원래 손은석(孫殷錫)이 창립하였는데 초창기에는 동학의 분파로 ‘제우교(濟愚敎)’를 만들어 포교하다가 1920년 교명을 용화교로 바꾸었다. 그러다 1923년 윤경중(尹敬重)을 교주로 받들어 교명을 ‘대화교(大華敎)’로 바꾸고 교리도 불교적인 것으로 고쳤다. 대화교는 미륵불을 신앙하면서 교도가 급증하여 한때 5만의 신도를 거느렸고 교세가 만주에까지 퍼져 수십만 원의 사재로 만주의 토지를 구입하기도 하였으나 간부들의 자산낭비와 만주토지가 장작림( ...
2025-05-31 23:17

7
광제창생
동학계 신종교
최제우가 동학을 창립하면서 보국안민(輔國安民) 포덕천하(布德天下)와 함께 내세운 창교이념. 이 세상의 모든 사람을 널리 구제한다는 의미.
2025-05-31 23:09

7
광명봉천미륵진법회
광명봉천미륵진법회 창립자는 임종연이다. 임종연은 1953년 4월 25생으로 일찍이 도에 뜻을 두고 연구하다가 1981년에 경기도 광명시에서 본교를 창립 했다. 988년 1월 경기도 임진각 망배단에서 유령제 ․ 대천제 ․ 대치성을 거행했고 1988년 10월에는 서울 탑골공원에서 대천제 ․ 대치성을 드렸다. 또 1988년 12월에는 계룡산에서 세계평화기도 ․ 구국기도 ․ 남북통일기도 ․ 대천제 ․ 대치성을 드렸다. 이후 각지에서 이와 동일한 의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1991년 12월 종로 3가 금진각에서 민족 뿌리와 역사정립 민족종교부활의 구심점을 찾기 위한 모임을 갖기도 하는 등 많은 활동을 했으나 신앙대상은 영화해상 미 ...
2025-05-29 01:07

7
관정
원래는 고대 인도에서 제왕의 즉위나 태자책봉식에 행하던 의례인데 천하를 다스리는 성군이 되라는 의미에서 사대해(四大海)의 물을 국왕이나 태자의 정수리에 뿌려서 축복하는 것에서 유래한다. 이것이 불교에 수용되어 정착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석가탄신일의 관불의례(灌佛儀禮)이다. 불교의 여려 종파 중에서도 특히 밀교에서 관정이 중시되며 밀교의 관정을 비밀관정(秘密灌頂) 이를 줄여서 밀관(密灌)이라고 한다. 관정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것으로 결연관정(結緣灌頂) 수명관정(受明灌頂) 전법관정(傳法灌頂) 등이 있다. 결연관정은 출가나 재가 혹은 그 대상에 관계없이 어느 부처를 본존으로 모실 것인지를 정하는 의식이다. 투화득불(投 ...
2025-05-29 00:46

7
관음종복지재단
대한불교관음종
본 재단은 대한불교관음종을 창건한 태허조사의 설립이념을 계승하여 2001년 정관을 정하고 인허가하여 서울복지원 비영리 법인으로 설립되었다. 열린 복지를 통해 다양한 사회통합서비스 강화 지속적인 맞춤식 복지사업의 연구를 통한 사회협력 강화 지역사회 복지서비스를 통한 행복소통의 체계 확대 인재육성을 통한 인적지원의 개발 및 교육 확대를 설립 목적으로 한다. 주요 사업은 소년소녀가장 지원 사업 조손가정 지원 및 위기가정 지원 사업 장애인 인권증진 사업 노인복지 푸드 뱅크사업 등을 행하고 있다. 2015년 현재 이무웅을 대표이사로 하고 황우종 서성정 김상기 이문희 정주교 최경희 등이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참고문헌 : 대한불교 ...
2025-05-29 00:44

7
관음장학회
대한불교관음종
대한불교관음종에서 행하는 사회 사업.
2025-05-29 00:43

7
과학적무신론(Scientific Atheism)
서양에서 계몽주의 이후 기독교 신 관념을 부 정하는 무신론은 포이어바흐
2025-05-24 19:21

7
공생공영공의주의
통일교회
통일교회 역사관에 의하면 인류의 역사는 하나님의 구원섭리에 의해 원시사회로부터 씨족사회 봉건사회 군주사회 민주주의사회를 거쳐 이상사회(理想社會)인 공생공영공의주의(共生共榮共義主義) 사회로 진입한다고 한다. 공생공영공의주의 사회란 하나님을 중심으로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살고 함께 번영하며 함께 윤리적인 생활을 하는 사회이다. 재림(再臨) 메시아를 중심으로 비로소 시작되어 하나님의 창조목적을 완성한 사회이다. 이는 민주주의 공산주의 등의 세속적인 이념과 대비되어 사용된다. 공생(共生)은 이상사회의 경제적인 측면으로서 하나님은 모든 인간에게 균등한 환경과 평등한 생활조건을 주기 원한다는 관점에서 자유와 함께 평등을 중 ...
2025-05-24 19:0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