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98건
대진대학교
대순진리회
대순진리회의 3대 중요사업 중 하나인 교육사업 일환으로 1984년 학교법인 대진학원을 설립하고 1992년에 개교한 종립대학교.
2025-07-05 19:22

0
대종학원
대종교
나철에 의해 중광된 대종교는 일제의 탄압에 의해 주된 거점을 만주로 옮기게 된다. 이때 대종교 시교사로 만주에서 포교활동을 전개하던 윤세복은 환인현의 동창학교 무송현의 백산학교 북만주 밀산현의 대흥학교 영안현의 대종학원을 세우고 교육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간다. 그러나 1920년대 일본군의 경신토벌과 지속적인 탄압으로 대종교의 포교활동이 위축되면서 교육사업도 재개하지 못하다가 1934년 3월 하얼빈에 선도회를 설치하는 것을 시작으로 발해의 고도인 영안현 동경성에 총본사를 이전하면서 1936년 3월 총본사 안에 대종학원을 설립하였다. 대종학원은 초등부와 증등부 여자야간부가 설치되었으며 교과과정은 정규학교과정 이외에도 종 ...
2025-07-05 19:20

0
대종사약전
원불교
내제는 《대종사약력(大宗師略歷)》이라 했다. 24.5cm×17.5cm의 불법연구회 전용갱지 52쪽의 단권에 국한문 혼용 펜글씨 초고이다. 연호를 ‘대정(大正)’ 등 일기(日紀)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1943년(원기28) 6월 박중빈이 열반하고부터 1945년(원기30) 8월 해방까지의 작품으로 보인다. 이 책은 전권을 11장으로 나누고 편년체에 일화를 곁들여 서술하고 있다. 목차에 의하면 ①탄생 ② 유시(幼時) ③발심 ④구도 ⑤입정(入定) ⑥오도(悟道) ⑦불법기연(佛法機緣) ⑧불교혁신 ⑨접화(接化) ⑩건설 ⑪입적(入寂) 그리고 연보표(年譜表)를 부록하고 있는데 집필은 건설 부분의 중간에서 멈추고 있으므로 미완성본이다.
2025-07-05 19:19

0
대종사성탑
원불교
박중빈의 성해(聖骸)를 봉안한 탑으로서 원불교 중앙총부에 위치하고 있다. 1943년(원기28) 박중빈이 열반한 후 일제의 불허로 인해 전북 익산시 금강동 장자산 공동묘역에 임시 안장한 성해를 1949년(원기34) 4월 25일 새로 조성한 성탑에 안치한 것이다. 송림 사이에 계단을 조성한 고대(高臺)에 화강암으로 높이 90cm 직경 100cm의 원형 비신을 만들어 성해를 안치했다. 총 높이는 749cm로 기단부는 지대석과 6급 기단 및 수화 탑갓은 옥개 5급 상륜부는 법륜대와 연화봉으로 구성했다. 전통적인 석탑양식을 수용하면서도 연꽃ㆍ일원상 등의 문양이나 형태 등을 통해 원불교적 특징을 표현하고 있다. 성탑의 옆면과 뒷면 ...
2025-07-05 19:18

0
대종사성비
원불교
박중빈의 생애와 업적을 기린 추모 비석. 제명(題銘)은 ‘원각성존소태산대종사비명병서(圓覺聖尊少太山大宗師碑銘竝序)’이다. 대종사성탑(大宗師聖塔)과 구분하여 ‘성비’로 불린다. 전북 익산시 원불교 중앙총부 안쪽의 대종사성탑 동남쪽에 위치하며 제1대 성업봉찬사업의 일환으로 1953년(원기38) 4월 26일 세워졌다. 성비의 총 높이는 583.7cm인데 전통비석과 마찬가지로 지대석(地臺石)을 포함한 기단부(基壇部)와 비신(碑身) 그리고 비갓(碑笠)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기단부는 총 5단으로 제1단의 지대석 위에 제2단의 하대 제3단의 중대 제4단의 상대 제5단은 비신을 받는 수화(受花)이다. 성비의 비신 4면에 음각된 비 ...
2025-07-05 19:17

0
대종사 십상
원불교
십상의 각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관천기의상(觀天起疑相): 박중빈이 7세경부터 우주의 이치와 세상의 모든 일에 대해 스스로 큰 의심을 일으켜 깊은 사색에 잠겼다. ②삼령기원상(蔘嶺祈願相): 11세 되던 해 어느 날 문중 시향제에 참석했다가 산신(山神)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산신을 직접 만나 모든 의심을 해결하리라는 희망으로 삼밭재 마당바위를 오르내리면서 기도를 5년간 계속했다. ③구사고행상(求師苦行相): 16세 되던 해 봄 처가에 방문했다가 고대소설 《조웅전》의 주인공이 도사를 만나 성공하고 소원을 이루었다는 이야기를 듣고부터 도사를 만나기 위해 온갖 고행을 거듭했다. ④강변입정상(江邊入定相): 20세에 접어들면서 “장 ...
2025-07-05 19:15

0
대종사
원불교
소태산 대종사의 약칭. 일원의 진리를 크게 깨친 후천개벽 시대의 주세성자라는 뜻. 또는 삼계도사·사생자부라는 뜻이다. 원불교에서도 소태산 대종사에게만 대종사의 칭호를 부치고 그 외에는 정산 종사 대산 종사 등과 같이 종사라고만 한다. 원불교에서는 소태산 대종사가 법회석상에서나 또는 제자들을 대해서 설한 법문을 당대의 제자들이 기록한 것을 종합 편찬하여 〈정전〉과 함께 대종사의 가르침이 담긴 경전을 〈대종경〉이라 하여 원불교의 기본경전으로 받들고 있다. 대종교에서 성통공완(性通功完:대각성불과 같은 뜻)한 사람을 높이어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대종교에서도 교조 나철에게만 대종사란 존칭을 사용하고 그 다음의 2세·3세 교주등 ...
2025-07-05 19:13

0
대종사
대종교
대종교의 호칭은 교단의 직책을 의미하는 호칭과 개인의 성직의 단계를 칭하는 양태로 구분되어 있다. 그 중 개인의 성직단계를 칭하는 호칭으로 교호와 품계가 있다. 교호는 대형 도형 철형 신형 등으로 불리며 품계는 종사와 대종사 등이 있다. 종사와 대종사는 개인적인 성직의 최고단계를 칭하는 것으로 대종교에서 대종사는 홍암 나철이 유일하게 ‘신형 대종사’로 칭해지고 있다.
2025-07-05 19:12

0
대종문화연구원
대종문화연구원은 구인식에 의해 창립된 단군관련 사상과 역사에 대한 연구단체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본회에서는 1976년 단군시대로부터 전해오는 천왕도(天王道)의 교리를 풀이한 저술인 『천왕도』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자자는 구인식이라는 점에서 주로 구인식 개인을 중심으로 연구활동을 전개한 단체일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매일경제』(1976. 11. 3.)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7-05 19:11

0
대종교총본사
대종교
대종교총본사는 교단의 중앙기구로 대일각 원로원 삼일원 종무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산하에 도본사 시교당 및 수도원을 두고 있으며 연구기관으로 종학연구원을 두고 있다.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 2동 13-78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2025-07-05 19: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