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8

대한불교법화종유지재단

|

대한불교법화종의 초기 법인 등록명.

2025-07-07 09:14

0

대한불교법화종

|

1960년 김갑열(金甲烈 正覺 惠一)에 의해 창종된 불교계 종단.

2025-07-07 09:11

0

대한불교법천종

|

1996년 6월 혜정 구판용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대평등 대화합 대평화 대자유를 선호하며 시대상황에 밀려 타 종교로 인해 잃어버린 민족성을 회복하고 상구보리 하화중생과 자리이타의 근본교의를 실천함을 종지로 한다. 원효대사를 종조로 하며 소의경전으로는 『법화경』이며 그 외 대승경전의 지송은 제한치 않는다. 1996년 6월 창종 이래로 2001년 1월 자비회를 구성하였으며 같은 달 초대 총무원장에 혜보 이귀순이 취임하였다. 2008년 현재 종정은 구판용이며 총무원장은 이귀순이고 소속사찰은 10곳 신도는 430명이다.

2025-07-07 09:08

0

대한불교법인종

|

2001년 1월 1일 벽담 김원식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중생을 깨닫게 하고 성불을 실현시키는 것을 종지로 한다. 『금강경』과 팔만대장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며 종조는 일붕 서경보이다. 2001년 1월 1일 창종하여 초대 종정에 김원식이 추대되었고 2002년 2월 1일 사단법인 용화법인회를 등록한다. 2008년 현재 총무원장은 태웅 만오이며 산화기관으로 용화법인회 한국전통불교예술연구원 한국선서화연구원 불역학술연구원 전통가례의범교육연구원 등이 있다.

2025-07-07 09:07

0

대한불교법상종지

|

대한불교법상종(미륵불교)

유제봉(柳濟鳳)이 최선호(崔善湖)와 함께 김형렬(金亨烈)의 미륵불교를 이어받아 대한불교법상종(大韓佛敎法相宗)이라 했는데 이 교파에서 발행한 책이다. 1975년 대한불교법상종 발행 국판 294쪽이다. 내용 구성은 앞에 금산사미륵불상 사진과 미륵삼층전 서문 목차 본문 순으로 되어있다. 본문은 총 54절로 일련번호가 붙여있다. 1. 미륵존불상. 2. 미륵삼층전. 3. 진표율사영상. 4. 서문. 5. 차례. 6. 진표율사행적. 7. 점찰선악업보경 상하편. 8. 미륵상생경 원책. 9. 법상종 연혁. .... 13. 미륵존불에 대한 전심(傳心). .... 19. 우각도금인미륵불표. .... 24. 법상종 종훈. 25. 미륵십선도. ...

2025-07-07 09:05

0

대한불교법상종

|

대한불교법상종(大韓佛敎法相宗)을 창립한 유제봉(柳濟鳳 1870-1954)은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아곡리에서 출생했다. 1921년에 김형렬이 서울에서 ‘미륵불교진흥회’를 만들 때 참석했고 김형렬이 사망하자 교명을 ‘용화계’로 고쳐 활동했다. 그러다가 1951년 12월에 최선호(崔善湖)를 만나 ‘미륵불교’를 부흥시킬 것을 상의하고 최선호집에 머물면서 종교 활동을 전개했다.『대한불교법상종지(大韓佛敎法相宗旨)』라는 책을 보면 ‘김형렬이 유제봉에게 법계를 전하고 사망한 뒤에 2대 화상이 된 유제봉은 계속하여 불사를 하다가 1954년 최선호의 부인 최선애(崔善愛)에게 선사로부터 받은 법계를 전하고 사망했다’고 되어 있다. 최선애 ...

2025-07-07 09:03

0

대한불교법상종

|

본종은 1969년 김영동의 주도로 창종되었다. 미륵불을 주불로 하며 인도의 무착(無着)을 연원조(淵源租)로 중국의 현장법사를 원조(源祖)로 하고 신라의 유가종조(瑜伽宗祖)인 태현(大賢)을 개종조로 신라 말 진표(眞表)율사를 중흥조(中興祖)로 하여 그 종지와 법통을 계승하고 있다. 1969년 3월 15일 전북 금산사에서 대한불교법상종 포교원을 만들었고 1970년 2월 20일 대한불교법상종포교원이라는 명칭으로 불교단체 등록을 한다. 1977년 2월 20일 대한불교법상종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04년 12월 사단법인 대한불교법상종을 설립하였다. 2005년 3월 21일 이사회를 개최하여 이사장에 해월 상임이사에 도일이 선임 ...

2025-07-07 09:01

0

대한불교법사종

|

1994년 11월 11일 창종된 본종은 법사 종단이다. 본종은 미래불교의 선포는 재가불자들의 활동 여하에 달려있다는 진단하에 출가승들에 비해 일선생활현장에 깊숙이 침투하여 불교를 포교할 수 있는 법사들이 중심이 되어 호국불교 생활불교 현대불교의 3위일체를 갖추고 한국불교 및 세계불교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창종되었다. 『유마경』 『승만경』 『묘법연화경』 『금강경』을 소의경전으로 하고 기타 경전연구 및 지송은 제한하지 않는다. 1994년 11월 11일 창종 선포식 이래 1994년 11월 22일 제19차 세계불교도우회 한국대표단으로 참석하였으며 1995년 3월 11일에는 일본 고베지진 피해 재일동포를 위문하고 위문품을 전 ...

2025-07-07 08:58

0

대한불교법륜종

|

2006년 7월 11일 석탄공(釋呑空)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태고보우(太古普愚)를 종조로 하며 청허휴정(淸虛休靜)를 중흥조로 한다. 석가모니불의 자각각타한 각행원만의 근본정신을 봉체하고 종조의 선교쌍수의 통불교적인 종풍을 전법도생함을 종지로 한다. 소의경전은 『화엄경』과 『금강경』이다. 2006년 7월 4일 대한불교법륜종 창종을 선언하였고 같은 해 7월 11일 인천 보화정사(普化精舍)에서 창종선포식을 봉행하고 초대 종정에 석탄공(釋呑空) 초대 총무원장에 석법주가 취임하였다. 창종자 석탄공은 한국불교법륜종 총무원장을 지낸 인물인데 그의 약력은 다음과 같다. 1958년 19세의 나이로 충남 공주 갑사에서 이대의를 은사로 ...

2025-07-05 21:05

0

대한불교미타종

|

1943년 8월 18일 권홍(權弘 1915-2005 월공벽암)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역대조사들의 유통염불신앙의 법맥을 계승하여 함허선사를 종조로 왕생미타문(往生彌陀門)을 세워 전법도생(傳法度生)하고 나무아미타불 6자 명호 염불과 경으로 미타종을 신행하며 타력 염불신앙을 종지로 한다. 주불로는 아미타불을 좌보처 관세음보살 우보처 대세지보살의 삼존불을 봉안하며 소의경전은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불설관무량수경(佛說觀無量壽經)』 『불설무량수경(佛說無量壽經)』 『화엄경』 『열반경』이다. 1942년 3월 10일 본종의 창종자 월공벽암이 충북 단양군 가곡면 대대리 산 69번지에 본종의 총본산인 봉암사를 창건한다. 그리고 ...

2025-07-05 21:02

0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