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63건
가야보인법
도교
시해란 육신으로부터 혼백이 빠져나와 자유롭게 활동한 뒤 다시 돌아가는 기술로 도교 수행법의 하나이다. 수행에 능숙하게 되면 신체까지 선거(仙去)할 수 있다고 한다. ≪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에는 최치원의 외척인 승려 현준(玄俊)이 당나라에서 시해법을 배워 ≪보사유인지술(步捨游引之術)≫이라는 책을 저술하자 최치원이 다시 현준에게서 그 법을 배워 ≪가야보인법≫을 지은 것으로 소개되어 있다. 보(步)는 혼백이 걸어 나감을 사(捨)는 육신을 내버려둠을 유(游)는 천지간을 자유자재로 떠돎을 인(引)은 5백 년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 지상에 남겨두었던 육신을 끌어올려다가 혼백과 합침을 의미한다. ‘가야’는 최치원이 만년에 기거하던 ...
2025-04-25 15:06

5
귀밝이
대보름 새벽에 청주(淸酒) 한 잔을 데우지 않고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고 한다. 유롱주(牖聾酒) 이명주(耳明酒) 이롱주(耳聾주) 치롱주(治聾酒)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귓병을 낫게 하는 치롱술을 사일(社日 입춘 뒤 다섯 번 째 戊日)에 마셨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대보름에 마시는 풍속으로 변화하였다.
2025-06-03 16:49

4
권호중
태종보화교
태종보화교(太宗普化敎)를 창립한 권호중(權呼中 1912-1992)은 1912년 3월 13일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사양리에서 권병민(權柄敏)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를 따라 보천교에 입도했고 22세 되던 1933년 김환옥을 따라다니며 보화교를 포교했다. 김환옥이 사망하고 김명환이 보화교의 교권을 잡자 그와 뜻이 맞지 아니하여 그곳을 나왔다. 전국을 돌아다니다가 1969년 전라북도 김제군 금산면 용화동에서 태종보화교를 설립 했다. 1978년에는 동곡약방자리에 서천대법계 천계탑(天階塔)을 본뜬 도솔천탑(兜率天塔)을 쌓기도 했다. 그 뒤 김향님과 합세하여 증산대도일화장이라는 간판을 걸고 활동하다가 1992년에 사망했다. 그 ...
2025-06-03 16:26

4
권병덕
천도교
권병덕은 18세(1885년)에 자신에게 한학을 가르치고 있던 임약호(任弱鎬)의 권유를 받아 동학에 입도했고 이듬해 상주군에 있던 최시형을 찾아갔다. 이 때 최시형은 수도 정진하는 방법을 일일이 설명물해 주며 영부(靈符)를 친히 써주었다. 1893년 2월 광화문 복합상소시 자신의 집을 본부로 쓰도록 하였고 봉소로 참가했다. 동학혁명 때 손병희와 함께 6만 여명의 동학군을 이끌고 보은 청주 상주 등지의 전투에 참가하였고 1906년 9월 시천교로 들어갔다가 1916년 8월에 천도교로 다시 복귀했다. 1919년 2월 25일경 손병희 오세창을 만나 3.1운동 계획에 찬동하여 민족대표로서 서명할 것을 동의했다. 3.1운동으로 투옥 ...
2025-06-03 15:49

4
권명희
태극정기도원
권명희는 1931년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에 일본으로 건너갔다. 1939년(9세) 때 통령(通靈)이 되었고 1943년(13세)에는 백발의 할아버지가 나타나서 자신을 마을 뒷산으로 끌고 갔는데 깨어보니 실제로 자신이 뒷산에 있는 것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1947년(17세)에 접신통령(接神通靈)이 되어 가출하여 이후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기도 및 수련생활을 하였다. 1954년(24세)에는 대전 구봉산(九峰山)에서 100일간 칡뿌리만 캐먹으며 기도를 하고 그 뒤 신도안에 들어가 돌탑을 쌓고 기도와 수도생활을 계속하다가 1956년(26세) 대전 구봉산에서 태극사(太極寺)를 창립하였고 1973년에는 증평으로 ...
2025-06-03 15:47

4
궁을경
상주동학교
궁을경은 궁을(弓乙)과 동학의 의미 천도(天道) 회복의 원리 유도(儒道)와의 관계 등을 문답식으로 풀이한 것이다. 질문자는 김주희고 답하는 이는 하날님이란 점에서 최제우의 동경대전 서술법을 구사하고 있지만 최제우와 달리 간접화법을 사용하고 있다
2025-06-03 15:25

4
궁을가
동학
창작연대는 미상으로 작자는 김주희(金周熙)라는 설과 용호대사(龍虎大師)가 지은 것을 김주희가 장편으로 개작하였다는 설이 있다. 궁을가는 4.4조로된 장편가사로 1행이 끝날 때 마다 ‘궁궁을을 성도로다’를 후렴구를 반복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가사는 4.4조로 되어 있으며 4음보 1행으로 총 341행이다. 궁을가를 지성으로 부르면 외병이 침범하지 못하고 성궁성궁(成弓成弓) 성도(成道)하면 온갖 허깨비들이 스스로 멸망한다고 하였다. 궁을가는 궁을에 대한 설명보다는 ‘궁궁을을 성도로다’의 반복을 통한 궁을가 자체의 신통력을 강조하고 있다. 이 외 궁을신화가(弓乙信和歌) 궁을십승가(弓乙十勝歌) 궁을전전가(弓乙田田歌) 등 ...
2025-06-03 15:23

4
군종
대한민국 군종은 이승만 정권시기인 1951년 기독교 종군목사제 형식으로 시작되어 개신교 천주교 불교가 참여한 제도가 설치되었고 2006년 12월부터 원불교의 종교활동도 인가되었다. 군종 장교들은 군인이지만 각 종교 대표 성직자로서 군대 내에서 예배 미사 법회 등의 종교의식과 성찬식 수계식 등을 거행하며 교리와 예전 교육 상담 등 성직 임무를 담당한다. 따라서 각 종교의 관례에 따라 업무를 집행하며 군종장교도 고유의 명칭을 따라 개신교는 군목 천주교는 군종신부 불교는 군종법사 원불교는 군종교무라고 부른다. 병의 경우 군종병으로 통칭하며 상담활동 종교행사 보좌 등을 담당한다. 현행 군종제도는 병사들의 종교의 자유를 위해 설 ...
2025-06-01 23:51

4
국태민안기원법회
한국불교여래종
한국불교여래종에서 행하는 신앙의례의 하나.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6-01 23:47

4
국선도강해
세계국선도연맹
세계국선도연맹에서는 민족 고유의 심신수련법인 국선도의 도맥이 무운도인 청운도인 청산도인으로부터 도운선사 허경무에게 전수되었다고 본다. 이 책은 국선도의 최고지도자인 도종사 도운 허경무가 강의했던 내용을 글로 펴낸 책이며 국선도의 수련을 위한 입문서이자 회원 지도를 위한 지침서이다. 국선도의 연원 및 사상의 개요와 국선도 수련의 원리 국선도 단전호흡법 입문호흡 중기단법 건곤단법 원기단법 수련에 대한 해설 그리고 기혈순환유통법 내기전신행법(기신법) 등 국선도 수련법의 주요 내용이 상세한 해설과 함께 실려 있다.
2025-06-01 01:3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