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단전호흡

|

단전(丹田)호흡은 도교의 양생술(養生術)에서 나온 것으로 기(氣) 철학을 바탕으로 하며 기수련에서 가장 기본적인 훈련법으로 제시된다. 도교 혹은 기수련에서는 인체에 3 곳의 내단전(內丹田)과 4 곳의 외단전(外丹田)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내단전을 의미한다. 내단전은 그 위치에 따라 다시 배꼽 아래(기해혈)의 하단전(下丹田) 가슴 중앙지점(단중혈)의 중단전(中丹田) 양 눈썹 중앙지점(인당혈)의 상단전(上丹田)으로 나뉜다. 하단전은 기의 축척과 순환 중단전은 감정 에너지 상단전은 우주에너지를 담당하며 그 성질을 각각 정(精) 기(氣) 신(神)으로 표현한다. 기수련의 원리는 하단전에 정(精)이 충만해야 중단전에 ...

2025-07-02 00:37

2

단군정수회

|

이춘상은 단군사상을 선양하고자 1964년 서울시 서대문구에서 단군사상에 조예가 깊은 김일권(金一權)과 결속하여 ‘정수회(正守會)’라는 이름의 단체를 발족하였다. 이들은 단군사상을 고무하는 강담회를 수시로 개최하였는데 얼마 후 김일권이 이탈하고 대신 대종교에 있던 신철호(申哲鎬)가 주간이 되어 1965년 10월부터 『정수회보(正守會報)』를 간행하여 일반인들에게 무료로 배포하였다. 그러나 1967년 이춘상이 정수회에서 손을 떼게 됨으로써 단체는 활동이 정지되었다. 그 뒤 단군숭령회에 소속되어 있던 강대길(姜大佶)이 다시 ‘단군정수회’라는 이름으로 개칭하고 종로구 공평로에 회관을 두고 활동을 시작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신 ...

2025-07-01 23:25

2

단군숭봉회

|

선불유야각의 창립자 계월주는 근대 이후 신종교 중 각세도계 증산계 단군계 등의 교단 인물들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리하여 그녀는 단군계 신종교인 무법대의 창립자 김구연과 만나 각세도남관에는 원방각단군탑을 세웠으며 1966년에는 증산교계 인물인 성조영을 만나 선불유야각을 세우기도 하였다. 아울러 그녀는 1967년 증산교계 교단인 정읍의 진동학제화교와 연합하여 단군숭봉회를 세웠다. 따라서 단군숭봉회는 단군계 신종교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성격면에서 증산계와 관련성도 밀접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신흥종교총람』(이강오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2025-07-01 22:58

2

다시떠오르기

|

아봐타 프로그램의 창시자인 해리 팔머(Harry Palmer)가 사람들로 하여금 스스로 의식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펴낸 책이다. 원제는 Resurfacing: Techniques for Exploring Consciousness이며 1997년에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의 청사진에 따라 살 수 있도록 의지를 깨우고 주의를 단련해서 스스로의 의식을 확장하고 결국에는 온전한 자기 자신을 발견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봐타 프로그램의 기초 과정에 해당하는 연습 과정이 제시된 워크북이다. 한국에서는 2000년에 출판되었고 아봐타 의식 개발 프로그램의 연습 교재로 활용되고 있다.

2025-07-01 19:17

2

니와노 닛쿄

|

입정교성회(立正佼成会)

니이가타현(新潟県) 출신으로 16세에 동경에서 쌀가게와 석탄상점에서 일했다. 석탄상점의 주인 이시하라 타로(石原淑太郎)는 역(易) 성명학 민간신앙에 조예가 깊어 그에게 크게 영향을 끼쳤다. 이후 독립하여 츠케모노(漬物)가게와 우유가게를 운영했다. 1932년에 딸의 병 치유를 위해 영우회(霊友会)에 입신했다. 이후 회장인 코타니 키미(小谷喜美)와 충돌하여 그가 포교한 나가누마 묘코(長沼妙佼 1889-1957)와 함께 독립하여 1938년에 대일본입정교성회(大日本立正交成会)를 발족하였다. 초대회장은 이시하라 타로(石原叔太郎)가 맡았다. 나가누마 묘코의 영능력에 의해 교단은 발전하였으며 1942년 동경 스기나미(杉並)에 본부를 ...

2025-07-01 02:13

2

김운운

|

한국불교법화본종

한국불교법화본종의 창종자 혜선(慧宣) 김운운(金云雲)은 1904년 10월 수원시 복수동에서 태어났다. 소년기를 주로 일본과 동남아에서 보내다가 1934년경 불문에 귀의한다. 1939년 신행회 본화회(本化會) 등을 만들어 법화운동을 펼쳤고 그것이 모체가 되어 친형인 김정운(金正雲)과 함께 대승불교법화회를 창설하였다. 1946년 2월 대승불교법화종을 창종하고 교령으로 추대되었다. 1960년 8월 13일 종단명을 한국불교법화종으로 개칭하고 재단법인 한국불교법화종유지재단을 설립하였다. 한국불교법화종은 1999년 한국불교법화본종으로 종단명이 다시 변경된다. → 한국불교법화본종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 ...

2025-06-30 23:15

2

성신신학

|

기독교

김백문은 한국의 신비주의 운동이 왜 계속해 서 후대로 이어지지 않는지를 고심한 끝에 그 이유 를 체험이 이론화되지 않아서라고 결론을 내리고, 1940년 4월에 개원한 ‘조선신학원’에 입학을 하였 다. 그러나 신사참배문제로 신학원을 계속 다니는 것이 어렵게 되자, 1943년 7월 경기도 파주군 섭절 리라는 곳으로 가서 독자적으로 1944년 6월 2일 ‘이 스라엘 수도원’을 세워서 자신의 신앙 체험을 가르 치게 된다. 그는 처음으로 자신의 신비체험 내용을 1954년 1월 3일 『성신신학』이라는 이름으로 출간한 다. 두 번째로 1958년에는 『기독교근본원리』가 출간되며, 마지막으로 1970년 10월 3일에는 『신앙인격 론』이 ...

2025-08-17 21:14

1

성신

|

통일교회

예수님은 후(後)아담으로서 참아버지로 온 분 이며, 참어머니로 온 후(後)해와인 여성을 맞이해 참 부모가 되어 인류를 구원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었 다. 그러나 유대인들의 불신으로 예수님은 십자가에 서 죽고 부활하여 영적(靈的)인 참아버지가 되어 영 적인 참어머니 성신(聖神)과 함께 영적인 참부모가 되어 인류를 영적으로 중생(重生)시켜 구원한다. 참 어머니 성신은 후(後)해와로서 타락(墮落)인간을 중 생시키는 영적인 참어머니이다. 타락인간은 영적 참 어머니인 성신을 받지 않으면 예수님 앞에 신부로 설 수 없다. 또한 성신은 여성신으로서 인간들에게 위로와 감동의 역사(役事)를 하며, 후해와로서 해와 가 지은 죄를 탕감복귀 ...

2025-08-17 21:11

1

성서의 열쇠

|

크리스천사이언스

원제목은 『과학과 건강: 성서의 열쇠(Science and Health with Key to the Scriptures)』이다. →과학과 건강항목 참조.

2025-08-13 15:49

1

선정원경

|

선도교

고경환(高旻煥)이 저술한 『선정원경』은 계명십조 육대보은(六大報恩) 오도수행요목(吾道修行要目) 육화명심(六和銘心) 등 선도교의 교의가 담겨져 있다. 그 중 육대보은은 천지보은·일월보은·부모보은· 사교보은(師敎報恩)·군왕보은·신농씨보은(神農氏報恩) 등을 제시하고 있다.

2025-07-14 00:52

1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