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서왕모

|

서왕모는 도교에서 최고위의 신으로 여러 신선들을 거느리고 있다. 서왕모의 궁전은 곤륜산(崑崙山) 정상에 있으며 천계와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곤륜산 밑에는 약수(弱水)라는 강이 흐르고 있어 인간이 건널 수 없다. 서왕모는 신선들의 우두머리로서 뭇 신선들은 서왕모의 반도(蟠桃 삼천년에 한번 열린다)를 먹고 장생불사의 신선이 되었다. 서왕모는 절세의 미녀로 혹은 산발한 요괴로 그려지기도 한다. 손에는 원시천존에게 받은 만능의 부적을 지니고 있다. 서왕모는 중국의 여러 황제들을 돕기도 하였고 선술(仙術)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견우와 직녀를 갈라놓은 것은 천제이지만 그들이 칠월칠석에 만나게 해주는 신이 서왕모라고도 한다.

2025-07-13 23:33

1

서세동점

|

기독교

근대 산업화에 성공한 서구열강은 17세기 인도와 동남아에 이어 19세기에는 일본 중국 조선 등 극동지역까지 밀고와 개항과 통상을 요구하고 각종 이권을 챙기며 세력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근대적 군비로 무장한 서구 문명이 동양을 점령해 식민지로 만들거나 우월한 입지를 형성한 현상을 서세동점이라 한다. 서구열강의 군사적 압박에 문호를 개방하게 된 동양이 서구 근대 문명의 영향 하에 놓이게 된 서세동점의 흐름은 정치 경제적 영역 뿐 아니라 문화 종교 영역에서도 나타났다.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침략은 서양종교인 기독교가 우월하고 개화된 문명의 종교로 간주되고 서구 정신이 동양의 정신세계까지 점령해가는 것을 수반했다. 이러 ...

2025-07-13 23:31

1

서상근

|

증산교서상근파

증산교서상근파(甑山敎徐相根派)를 창립한 서상근(徐相根 ?-1962)은 일찍이 보천교에 입도하여 보천교의 노동단체인 기산조합장(己産組合長)을 역임했다. 힘이 장사로서 차경석(車京石)을 호위하던 사람인데 차경석과 의견이 맞지 않아 보천교를 떠나서 입산수도 끝에 수운 최제우의 신명계시를 받았다고 하면서 비밀리에 증산교를 포교하였다. 8.15해방 후에는 전라북도 김제군 금산면 청도리 산위에 집을 짓고 산전을 이루어 생활했는데 그를 도인이라 하여 따르는 사람이 많았다. 이들을 세칭 증산교서상근파라고 했다. 1962년 사망했다. 뒤를 이은 김향님이 ‘증산성지동곡약방’이라 개명했다. 그의 신앙의 대상은 상제로서의 증산 강일순이었다. ...

2025-07-13 23:29

1

서산

|

불교

인물

2025-07-13 23:27

1

서북청년단

|

기독교

북한에서 사회주의 정부수립 이후 월남한 지주 집안 출신의 청년들이 주축이 되어 1946년 11월 30일 서울 YMCA 회관에서 이북 각 지역 청년단을 통합하여 결성한 ‘서북청년회’가 정식 명칭이다. 중앙집행위원장으로 선우기성(鮮于基聖)을 선출하고 ①조국의 완전 자주 독립 쟁취 ② 균등사회의 건설 ③ 세계평화에 공헌 등의 강령을 내세웠다. 그러나 서북청년단은 북한에서의 기득권을 뺏긴 회원들의 공산주의에 대한 분노와 적대감을 활용하여 우익정치인이나 기업가의 자금을 받아 반공투쟁 선봉세력으로서 좌익색출과 공격 등에 주력했다. 1947년 3·1절 좌우익 남대문충돌사건 부산극장사건 조선민주애국청년동맹사무실점령사건 정수복검사암살사 ...

2025-07-13 23:26

1

서방정토

|

서방극락정토(西方極樂淨土)라고 하고 줄여서 서방(西方) 극락(極樂)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정토(極樂淨土)라고도 한다. 서방정토는 이 세계에서 서쪽으로 십만억 불토(佛土)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아미타불(阿彌陀佛)이 상주하며 설법하는 곳으로서 일체의 고통이 없고 자유로우며 안락함이 가득하여 모든 중생이 왕생하기를 소망하는 이상향이다. 아미타불의 극락정토를 설한 대표적인 경전으로 『무량수경(無量壽經)』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아미타경(阿彌陀經)』이 있는데 이 세 경전을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이라고 한다. 원래 불교에서 정토 즉 이상세계는 미륵보살의 도솔천(兜率天) 아촉불(阿閦佛)의 묘희국정토(妙喜國淨土) 아미타불의 서 ...

2025-07-13 23:22

1

생삼사일

|

금강대도

국가와 스승과 부모의 은혜는 같은 것이니 똑같이 섬겨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는 의식부모(衣食父母)요 스승은 심성부모(心性父母)이며 어버이는 골육부모(骨肉父母)이니 의식부모의 은혜는 입혀주고 먹여 주는 것이며 심성부모는 가르치고 이끌어 주는 것이며 골육부모의 은혜는 낳고 길러주는 것이다. 그만큼 세분의 은혜가 깊고 또 어느 한쪽도 기울어짐이 없이 똑 같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버이에게 효(孝)를 다하고 나라에 충(忠)을 다하며 스승을 섬김에 성경(誠敬)을 다하면 인간의 도리는 그 안에 모두 들어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성훈통고 편집본』(금강대도 2000) 『건곤부모님과 금강대도의 진리』(이재헌 미래문화사 2003) ...

2025-07-13 22:56

1

생명의 실상

|

생장의 가(生長の家)

타니구치 마사하루는 와세다 대학을 중퇴하고 신도계 신종교인 오오모토교(大本敎)의 교주보(教主輔) 데구치 오니사부로(出口王仁三郎)의 언설인 『영계모노가타리(霊界物語)』의 구술필기 전담은 물론 교단기관지의 편집주간을 맡았다. 그러나 국가로부터 제1차 탄압이 일어난 1922년 오오모토교를 탈퇴했다. 이후 철학 및 종교적인 방황을 하던 중 1929년 신의 계시를 받아 당시 유행하던 신사고(New Thought)류의 성공철학을 전 세계에 선포하고자 뜻을 세웠다. 다음 해인 1930년에 ‘생장의 가’라는 잡지에 신도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의 제 종교에 현대과학을 더하여 생명의 실상을 완성했다. 이후에도 진리적 언어의 힘에 의한 ...

2025-07-13 22:53

1

생명의 서

|

천존회

1993년 간행된 『생명의 서』는 상경(上經) 입신육도(入神六道) 1~3장 하경(下經) 성신십천(聖神十天) 4~12장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모행룡 천존의 수행과정과 상계 천존의 계시 그리고 천존회의 주요 과정들이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 『생명의 서』(천존회편집부 언립 1993) 『한국종교연감(1996∼1997)』(한국종교사회연구소 1997.)

2025-07-13 22:52

1

새종교원

|

교단명

2025-07-13 22:46

1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