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삼덕교오계

|

삼덕교

허욱(許昱 1887-1939 호 南松)이 창립한 삼덕교(三德敎)의 계율은 오계(五戒)가있다. ①마음을 속이지 마라. ②척 짓지 마라. ③남 잘되게 하라. ④반반(半飯)의 은혜라도 갚으라. ⑤언덕(言德)을 잘 가져라 등이다. 참고문헌 : 「허욱의 삼덕교」(김홍철 『원광』 1987년 8월호).

2025-07-09 21:20

1

삼대종지

|

선불교

선불교의 삼대 종지는 본성광명 홍익인간 이화세계이다. 본성광명은 스스로 분별의식에서 벗어나 밝음을 회복하여 내 안에 깃든 하느님의 성품을 밝히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선불교에서는 누구나 밝고 참된 인간의 본성을 깨울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 홍익인간은 신성을 밝혀 온 세상 만물을 두루 살리고 이롭게 하는 사람을 뜻하며 선불교는 홍익인간이 되어 언제 어디서나 나눔과 봉사로써 세상 속에 홍익을 실천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이화세계는 진리와 이치대로 되어져 모두가 행복하고 평화로운 세상을 뜻하며 선불교에서는 깨달음의 대중화 홍익의 생활화를 위한 문화혁명 프로젝트인 도방을 통하여 선도문화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 세 ...

2025-07-09 21:15

1

삼계대순 개벽공사

|

대순진리회

대순진리회의 종단명칭에서 특별히 ‘대순(大巡)’이라는 용어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대순진리회요람』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전경』구절을 언급하여 설명하고 있다. 첫째는 여러 신성·불·보살들이 구천에 하소연함으로써 상제께서 친히 지상에 강림하였다는 사실이고 둘째는 강세하신 상제가 천지공사를 통해 전무후무한 진리의 도(道)를 선포하였다는 사실이고 셋째는 상제의 진리를 좇는 모든 신앙인들은 포덕천하를 통해 그 진리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또한 ‘천지의 대순’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대순의 의미를 살펴볼 때 이것을 종합하는 의미로서 ‘삼계대순 개벽공사’의 뜻을 지닌다고 본다. 참고문헌 : 『전경』(대순진리회 교무부 1 ...

2025-07-09 21:00

1

삼계

|

인도교

인도교(人道敎: 초기 天人道)를 창립한 채경대(蔡慶大)는 창립초기인 1922년경부터 교단의 기강을 확립하기 위해 삼계ㆍ오잠을 제정 발표했다. 삼계는 약법삼장(約法三章)이라 하는 것으로 ①난법난도자(亂法亂道者: 법과 규율을 어지럽히는 자) ②음양부정자(陰陽不正者: 남녀 간 풍기를 문란하게 하는 자) ③사위감행자(私僞敢行者: 사사로움을 도모 하는 자)를 경계한 것이다. 채경대는 특히 음양부정자를 크게 경계하여 본사(本司)의 취사(炊事) 마저도 남자(陽氣司)들이 맡아서 하게하고 여자(陰氣司)들은 주방(廚房)에 들어서지도 못하게 했다. 참고문헌 : 『범증산교사』(홍범초 도서출판 한누리 1988) 『증산교사』(이정립 증산교본부 ...

2025-07-09 20:56

1

붕어명당

|

이경간은 1930년 전남 함평군 해보면 창서리에서 태어나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농사를 지었다. 19세 때 돈벌이를 위해 평안도에 갔다가 정신병에 걸렸다. 다행히 백선생이라는 사람을 만나 병을 치료받았다. 월남하여 부산에 살면서 정신병환자를 보고 자신도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 1951년 계룡산 신도안 용동리에 있는 부어명당이라는 터에 붕어명당이라는 정신수양원을 개설했다. 그는 종교심을 통해 병을 치료하기 위한 요법으로 정신 · 기합 · 안찰 · 노동 · 자연 등이 있었다. 정신은 종교심을 불어넣어서 마음의 안정을 주고 집념을 버리게 하는 것. 기합은 포악하고 파렴치한 행동을 하여 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환자에게 위협으로 ...

2025-07-09 19:14

1

불천심일원

|

수운교

수운교 신앙의 출발점은 부처님과 하날님의 관계를 어떻게 규명하느냐는 것인데 불(佛)과 천(天)이 하나라는 것을 핵심적인 교리로 한 것이 바로 불천심일원(佛天心一圓)이다. 수운교 신앙은 1860년 득도 시에 체험했던 초기동학의 시천주(侍天主)신앙이 그 후 불교적 요소와의 구체적인 만남을 통해 불천(佛天)의 묘법이 합일하는 신앙으로 발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불천묘법의 통일은 유불선의 실질적인 결실인 동시에 시천주한 사람이 갖게 되는 신앙의 열매로 풀이된다. 이런 불천묘법의 사상에서 나온 핵심 용어가 바로 ‘불천심일원’이다. 후에 이를 수운교의 종지로 명문화한 것은 1970년판에 나온 『수운교경전』이 처음이다. 초기에는 ...

2025-07-09 19:12

1

불자필람

|

불교일반 감로법회

1931년 6월 경북 예천의 용봉교당(龍鳳敎堂)에서 최취허(蓮邦最就墟)에게 불교에 처음 입문한 사람들을 위한 불교의례문의 편찬을 의뢰받은 안진호(安震湖)는 한 달 만인 7월에 초고를 완성한다. 원고를 받은 최취허는 권상로(權相老)와 김태흡(金太洽)에게 교정을 받고 그해 12월에 발간한다. 근대 발전된 활자본의 의례서로서 한글까지 병기된 것이어서 발간 2년 만에 품절될 정도로 당시 불교계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한 인기에 힘입어 안진호는 1935년 『불자필람』의 체제와 내용을 계승한 『석문의범(釋門儀範)』을 간행한다. 『불자필람』은 상·하 2편과 부록으로 구성되며 상편은 조석종송(朝夕鍾頌)을 시작으로 비구니팔경법(比丘 ...

2025-07-09 19:06

1

불아종령

|

불아신궁

김재경은 1954년 각세도에서 이탈하여 대전시 문화동에서 단군을 중심으로 한 교단인 불아신궁을 창립하였다. 그는 스스로 단군의 계시를 받는다고 하면서 모든 신명 가운데 단군정명(檀君精明)을 불아종령(불亞宗靈)이라고 불렀다. 앞으로의 세상은 신인합발하는 시대 즉 불아세계가 오게 되므로 이 시대를 만드는 불아신명의 칙유(勅喩)를 받아서 인간에게 전하는 것이 교주인 심전법사(心田法師:김재경)의 임무라 했다. 참고문헌 : 『한국민족종교총람』(한국민족종교협의회 1992) 『한국신흥종교총람』(이강오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7-09 19:05

1

불교총지종사회복지재단

|

불교총지종

본 재단은 부처님의 자비사상의 사회적 회향을 위해 사회복지사업법의 규정에 의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함을 목적으로 1999년 5월 29일 설립되었다. 주요사업으로는 사회복지실설의 지원 및 위탁운영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조사 연구 및 교육 홍보 사회복지 자원봉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국내외 사회복지 단체와의 교류 협력 기타 사업 등이다. 2015년 현재 노인복지 시설로서 기로원 흥국사 만다라 요양원이 있으며 아동복지시설로는 괴산 청소년 수련원 바라밀 지역아동센터가 있고 영아복지 시설로 강남구립 초록어린이집 강남구립 일원어린이집 등이 있다. 참고문헌 : 불교총지종 홈페이지 http://www.chongji.or.kr/

2025-07-09 17:55

1

불교조계종학림

|

불교조계종삼화불교

본 학림은 불교조계종삼화불교 산하의 교육기관으로서 불교정신에 입각하여 깊은 학문적 연구와 실천적 응용방법을 연구하는 전법수행총림이다. 창조적인 지혜와 덕을 겸비하고 자아완성을 지향하여 국가와 민족 및 인류사회에 공헌할 스님 및 전법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화합 정진 전법의 교훈아래 보살도의 실천을 통한 불국토건설의 이상세계 실현을 교육의 지표로 삼고 있다. 학교연혁은 1989년 7월 3일 대한불교조계종 삼화학원 삼화불교대학 설립공고로부터 시작한다. 1990년 3월 대한불교조계종 불교방송대학으로 불교학부 유아교육학부의 4년제로 개교하였고 같은 해 4월 대한불교조계종 삼화불교대학으로 개명한 ...

2025-07-09 17:54

1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