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불교조계종신문
불교조계종삼화불교
본지는 불교조계종에서 발행되는 신문으로 부처님의 진리를 포교하여 세계인들의 마음에 평화를 구현하고 세계질서의 평화로운 세계 극락정토의 세계를 세우는 일에 역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92년 6월 22일 불교저널 창간호(12면)를 발행하였고 2007년 10월 11일 ‘삼화문화’학보를 발간하였다. 2002년 9월 ‘삼화불교신문’으로 제호를 변경하였고 2008년 8월에는 조계종삼화불교신문으로 제호를 변경하였다가 2012년 2월에 불교조계종신문으로 다시 제호를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15년 1월 현재 118호가 발간되었고 발행주기는 부정기적이다. 참고문헌 : 불교조계종신문 홈페이지 http://www.jogae ...
2025-07-09 17:53

1
불교재산관리법
1962년 군사정권에 의해 불교재산의 보호 명목으로 제정된 법률.
2025-07-09 17:47

1
북접남접
동학
동학교단에서 ‘북접(北接)’은 ‘北道中主人’에서 유래했다. 여기서 ‘북도’는 최제우가 머물러 있던 경주의 북쪽 즉 경상도 북부지역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최시형이 경상도 북부지역에서 활발한 포교활동의 공을 인정받아 최제우로부터 수여받은 직책이 ‘북도중주인’이다. 1880년대 이후 ‘북도’가 ‘북접’으로 바뀌게 되었고 최시형에 대한 호칭을 사용할 때 반드시 ‘북접’을 넣어서 사용되었다. 결국 최시형을 중심으로 한 당시의 ‘동학지도부’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남접'은 1984년에 처음 등장한 용어로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첫째는 삼남 지방에서 봉기했던 주도세력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2025-07-09 17:25

1
북방일육수
봉남교
북방일육수(北方一六數)란 역학(易學)의 수적 배열에서 북방(北方)은 일육(一六)이며 오행(五行)으로 수기(水氣)에 해당한다. 수(水)는 음(陰)이며 곤(坤)이다. 많은 신종교들에서 수운(水運)은 후천개벽운으로 풀이한다. 김봉남(金奉南 1898-1950 본명 天根 호 奉南)은 1937년 1월 부산 연화산에서 천상으로부터 물법을 전수받고 종전에 민간신앙과 불교에서 치성드리던 찬물의 복용이 보다 효율적인 치병의 방법이라 생각하고 이를 활용하게 된다. 환자에게 물을 주어 마시게 하면서 병자가 놀랄 정도로 큰 소리를 친다든가 주축(呪祝)을 한다든가 하는 것이었다. 환자들은 봉남이 주는 물은 봉남의 도력이 깃든 약수라고 생각했다. ...
2025-07-09 17:19

1
북두칠성
북두·북두성·칠성이라고도 부른다. 민간에서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예는 거의 볼 수 없으나 북두칠성에 대한 신앙은 매우 일반적이다. 아마 그것은 불교의 칠원성군(七元星君) 신앙이나 도교의 칠성신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북두칠성은 하늘을 상징하고 나아가 천체 기상을 관장하는 신으로 생각되고 있다. 하늘이 인간의 운명을 좌우한다는 생각에서 인간의 운명·숙명 그리고 인간의 재수를 관장하고 농사와 관계있는 비를 내리게 하는 신으로도 생각되고 있다. 이규보(李奎報)의 ≪노무편 老巫篇≫에 나오는 칠원은 칠원성군 곧 칠성을 뜻하는 것으로 무속에서는 적어도 고려 말에 칠성을 신으로 모셨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
2025-07-09 17:18

1
봉헌식
통일교회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종단의 결혼식 곧 축복식을 통하여 부부의 인연을 맺게 된 가정을 축복가정이라고 일컫는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축복가정을 원죄(原罪)가 없는 선의 혈통을 지닌 가정으로 이해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축복가정에서 자녀가 출생하게 되면 그 자녀는 원죄가 없는 선의 혈통을 지닌 유일신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가 태어난 날을 첫째 날로 계산하여 8일째 되는 날에 가정에서 봉헌식(奉獻式)을 행한다. 이러한 봉헌식은 신앙의 대상인 하나님이라고 부르는 유일신에게 선의 혈통을 지닌 유일신의 자녀를 봉헌하는 의미를 지닌다. 부모는 봉헌식을 통하여 유일신 하나님의 아들 딸로서 자녀를 양육할 것을 결의하 ...
2025-07-09 16:53

1
본성광명
선불교
선불교(仙佛敎)의 종지는 본성광명(本性光明) 홍익인간 제세이화이다. ①본성광명은 모든 사람들이 스스로에 깃든 하느님의 성품을 밝히라는 것이며 ②홍익인간은 온 세상에 두루 크게 이로운 사람이 되라는 것이며 ③제세이화는 뭇 사람들과 함께 이 세상을 참다운 하늘나라로 완성시키겠다는 것이다. 종지 가운데에서도 본성광명이 가장 근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7-09 15:03

1
보조지눌
불교
1158~1210년
2025-07-09 02:00

1
보정
대순진리회
대순진리회 선도부의 상급 임원
2025-07-09 01:58

1
보은집회
천도교
동학에 대한 탄압이 극을 달함에 제2교조 최시형을 중심으로 한 동학지도부는 삼례집회(1892년 11월)와 복합상소(1893년 2월)를 통해 교조신원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갔다. 그러나 오히려 탄압만 더욱 심할 뿐 아무 결실이 없자 해월 최시형은 각처에 발문하여 충청북도 보은 장내(帳內)로 도인들로 하여금 제회(齊會)케 하여 정부에 압력을 넣고자 하였다. 이에 13일부터 충청도·전라도·경상도를 비롯해 강원도와 경기도 등 각지에서 장내로 속속 모여들어 도인 2만 3천여 명이 집결하니 해월 최시형은 대도소를 설치하고 각 포의 대접주로 하여금 포내를 통할케 하였다. 각 포에서는 포기(包旗)를 게양하고 일정한 대오(隊伍)를 정하 ...
2025-07-09 01:5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