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민영인
금강대도
인물
2025-07-08 21:54

1
민속종교
민속종교는 엘리트 계층에 의해 형성 유지된 상층문화에 속한 종교가 아니라 대중 전통에 의해 형성 유지된 기층문화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상층문화가 외래적 성격이 강한 반면 기층문화는 그 나라의 고유성을 강하게 드러낸다. 한국 민속종교의 예로는 성주신 조왕 조상신 삼신 터줏대감 측신 등을 모시는 가신신앙(家神信仰) 마을에서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동제(洞祭) 무당을 중심으로 하는 무속(巫俗) 등을 들 수 있다. 동학(東學)처럼 민중이 신종교 성립의 주체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민속종교의 요소들은 자연스럽게 신종교의 성립에 기여하며 중요한 부분으로서 전승된다.
2025-07-08 21:52

1
민속불교
불교
민속불교는 재래의 민속이 불교의 다양한 요소를 수용하여 변화 발전하는 문화 현상이다. 민속의 입장에서 불교를 수용할 때 민속불교라 하고 불교가 주체일 때는 불교민속이라고 하는데 엄밀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민속불교는 민간 전승의 습속 속에 불교가 수용되어 있는 신앙양식 또는 생활양식이다. 불교민속은 불교가 민간신앙적 요소 또는 민간 전승의 습속을 수용하고 있는 신앙양식 또는 생활양식을 가리킨다. 개념상으로는 구분할 수 있으나 실제의 현상을 놓고 민속불교인가 불교민속인가를 명확하게 나누기는 쉽지 않다. 불교는 인도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역을 경유하여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다. 이 과정에서 불교의 사상과 신앙·문화 등은 다양한 ...
2025-07-08 21:52

1
민간신앙
민간신앙은 교리 체계와 공적인 종교 조직을 갖추어 종교로 인정되는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대중의 관습의 차원에서 유지되고 있는 믿음을 총칭한다. 특정 종교에 속하지는 않지만 대중에 의해 존속되는 점복(占卜) 금기(禁忌) 주술(呪術) 등의 현상 특정한 사회 집단에 의해 지속되는 가정신앙 동족신앙 마을신앙 그리고 무속신앙(巫俗信仰)이 민간신앙의 범주에 든다. 무속신앙은 세습무 강신무를 통한 지식 전수 방식 단골이라는 나름의 신도 조직을 갖고 있으나 넓은 의미의 민간신앙에 속한다. 민간신앙은 새로운 종교가 출현하는 바탕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천도교 대종교 증산교를 비롯한 유수의 신종교들이 태동하는 과정에서 민간신앙의 여러 ...
2025-07-08 21:50

1
미타법보
대한불교미타종
→ 대한불교미타종 참조.
2025-07-08 21:50

1
미주선학대학원대학교
원불교
원불교 해외교화를 위한 교역자 양성과 미국내 교화 활성화를 위해서 설립한 원불교 교육기관으로 대학원과정으로 운영된다. 미주선학대학원대학교는 2001년 미국 펜실베니아주 정부 교육국(PDE)으로부터 원불교학과ㆍ선응용학과 석사과정 프로그램으로 인가를 받았으며 2002년 미국 연방정부의 국세청으로부터 세금면제 혜택을 받는 비영리단체로 인가를 받아 9월 원불교학과 5명 선응용학과 7명이 등록하고 수업을 시작했다. 2003년에는 Middle State 고등교육기관 협의회(MSCHE)로부터 정식 인증 후보 자격을 받았으며 2004년에는 해외 유학생에게 학생비자(I-20)를 발급할 수 있는 자격을 인정받았다. 2004년 제1회 졸업 ...
2025-07-08 21:49

1
미신
미신이라는 말은 상대적으로 규정되는 용어이다. 우리나라에서 근대에 과학 개념이 소개되었을 때 미신은 과학에 대조되는 개념으로 설정되었다. 종교 영역의 경우에 일제강점기 당시 종교로서의 위상을 인정받았던 기독교 불교 유교의 경우에는 합리성을 지닌 신앙으로 여겨진 반면에 종교로 인정받지 못한 신앙은 미신으로 취급되었다. 1970년대 이후 전통적인 풍습 특히 무속을 미신으로 보는 사회적 인식이 강화되었고 지금도 유지되고 있다. 한편 종교에 적용되는 것보다 넓은 의미에서 일반적인 건전한 상식으로 판단하여 합리적·과학적인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없는 생활 지식을 믿거나 실천하는 것을 미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025-07-08 21:48

1
미륵하생신앙
『미륵하생경』을 중심으로 하는 신앙이다. 말겁의 시대에 도솔천에서 미륵이 인간 세상에 하생하여 민중을 구제한다는 신앙을 말한다. 미륵신앙은 수나라시기부터 알려지기 시작해 당나라시기에 신앙되기 시작했고 미륵하생신앙은 중국에서는 원나라시기에는 미륵하생신앙을 중심으로 민란들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청나라까지 이어진다. 대표적인 것이 백련교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기 절간 노예인 무적의 미륵운동 만적과 만소의 궐기가 있었고 조선 숙종시기에 승려 여환과 무녀들의 비밀결사가 미륵신앙을 내세워 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민중들에게 미륵은 혼란한 세상을 구제할 구세주로 신앙되었다.
2025-07-08 21:47

1
미륵종불입행원
→ 무상교 참조.
2025-07-08 21:43

1
미륵불영원회
정인표(鄭寅杓)가 창립한 태인미륵불교의 초기 이름.
2025-07-08 21:3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