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성정원

|

우주일주평화국

우주일주평화국의 조직기구 중 하나로서, 평화국의 제반 정무 및 행정 업무를 주관한다. 이 교단에는 이 밖에도 교육기구인 성민원(聖民院), 종교기구인 성례원(聖禮院), 입법기구인 성의원(聖議院), 사법기구인 성법원(聖法院)이 있다. 이들 기구는 모두 1인의 원장과 그를 보좌하는 사무총장을 두었다.

2025-09-05 10:10

0

성적편년

|

금강대도

『성적편년(聖蹟編年)』은 금강대도의 제1대도주인 토암 이승여(土庵 李承如)와 연화대도의 제1대 도주인 자암 서의복(慈庵 徐宜福)의 성적(聖蹟)을 엮어 도사(道史)를 기록한 전체 1권으로 되어있는 경전이다. 1874년(개도1년, 갑술) 이토암의 탄생부터 1934년(개도61년, 갑술) 열반에 들기까지와 그 이후 제자들이 삼년상(三年喪)의 예를 올리고 복제를 입은 것까지의 도사를 기록했다. 특히 『성적편년』에는 삼년상의 복제를 입은 제자들의 명단을 일일이 열거하고 그들의 사진을 찍어 동판(銅版)으로 인쇄 하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성적편년』(금강대도, 1956) 『금강대도 종리학 연구론』Ⅱ(이재헌, 미래문화사, ...

2025-09-05 10:04

0

성적타락

|

통일교회

통일교회 교리에 의하면, 인간시조 아담과 해와가 뱀의 유혹에 넘어가 선악과(善惡果)를 따먹고 타락했다는 성경의 내용은 성장기간에 있던 아담과 해와가 뱀으로 비유된 천사장 누시엘의 성적(性的)인 유혹에 넘어가 행음(行淫)함으로써 하나님의 자녀의 자격을 잃고 사탄의 주관 하에 떨어진 것을 의미한다. 선악과는 해와를 비유한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로서 해와의 성적인 사랑을 의미한다. 성적타락은 영적타락(靈的墮落)과 육적타락(肉的墮落)의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천사장 누시엘이 성장기에 있던 해와를 성적으로 유혹하여 영적(靈的)인 불륜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누시엘과 해와가 영적으로 타락하게 되었고, 타락한 해와가 다시 ...

2025-09-05 10:01

0

성적제강

|

금강대도

『성적제강(聖蹟提綱)』은 금강대도의 제1대도 주인 토암 이승여(土庵 李承如)와 연화대도의 제1대 도주인 자암 서의복(慈庵 徐宜福)의 성적·성행·성훈을 모아 놓은 경전이다. 토암의 사후에 이토암과 서자암의 탄생 이후부터의 성적에 관련된 모든 자료를 봉추 유치흥(峰秋 兪致興) 등 여러 제자들이 수집하여 1권으로 완성했다. 그 안에 제자들의 사진과 일제에 의해 훼철되기 이전 당시 여러 건물들이 동 판으로 인쇄되어 편집되었다. 전체 25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글장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포항탄강적(浦項誕降蹟), 석도탄강적(石島誕降蹟), 마전간고적(麻田艱苦蹟), 포항구려적(浦項遘癘蹟), 체성풍후적(體聖豊厚蹟), 내간거우적(內艱居 ...

2025-09-05 09:05

0

성재

|

금강대도

대개 겨울(음력 12월)에 10일간 전도인이 총 본원에 모여 수련하는 공부의 과정이다. 1946년 제 2대 도주 이청학이 처음 열어 주었다. 청학은 “성재(誠齋)의 정성은 조금도 잡념이 없이 진실되게 닦는 것을 말함이라. 그러기에 일만가지 경문을 외우는 것이 한결같은 마음을 보존하는 것만 같지 못하니라.”고 말하였다. 흔들림 없는 마음, 즉 정신 통일의 중요성을 말하는 것이다. 열흘 동안 ‘정기단좌(正氣端坐), 제거잡념(除去雜念), 내경불출(內境不出), 외경불입(外境不入)’, 즉 ‘몸을 바르게 하여 잡념을 제거하고, 마음속의 생각이 밖으로 나가지도 않으며, 밖의 사물이 마음 안에 들어오지도 않도록 함’으로써 정성으로 진 ...

2025-09-05 08:56

0

성일의식

|

천진교

김연국이 창립한 천진교에서 매주 일요일에 행하는 의식.

2025-09-05 08:48

0

성인의식

|

성인의식(成人儀式)은 문자 그대로 성인의 자격을 부여하는 의식을 말한다. 이 의식을 거쳐야 비로소 한 사람의 온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인정된다. 예로부터 민족·종족·집단별로 다양한 성인의식이 시행되어 왔으며, 세계 각 지역의 성인의식에 관한 풍부한 인류학적 자료가 축적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성인의식으로는 유교식 의례로 거행된 관례(冠禮)가 있다. 조선시대부터 『가례(家禮)』의 보급과 함께 양반층을 중심으로 관례를 거행하는 풍습이 점차 확산되어 나갔다. 그러나 사회 전체로 볼 때, 조혼(早婚)의 풍습으로 인해 관례는 대체로 혼례(婚禮)의 과정 속에 흡수되어 시행되었고 독립된 의례로는 정착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 ...

2025-09-05 08:46

0

성업봉찬사업

|

원불교

봉찬사업은 성업봉찬회·기념사업회 등의 이름으로 여러 차례 행해졌다. 성업봉찬 사업은 소태산 열반(1943)후 제1대의 마감을 기념한 1953년의 ‘제1대성업봉찬사업’, 개교반백년을 기념한 1971년의 ‘개교반백년기념사업’, 제2대의 마감을 기념한 1991년의 ‘대종사탄생100주년기념성업’, 정산종사의 탄생 100년을 기념한 2000년의 ‘정산종사탄생100주년기념사업’, 개교 100년을 기념하기 위한 2016년의 ‘원불 교100년기념성업봉찬사업’ 등이다. 성업봉찬사업은 소태산의 구세경륜을 시대사회적인 과업으로 전개하고 교단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는 의미에서 보본사업의 중요한 틀을 이루고 있다.

2025-09-05 08:30

0

성약시대

|

통일교회

통일교회에서는 구약과 신약의 관계가 예언과 성취의 관계를 갖는다고 말한다. 구약에는 장차 오실 메시아의 모습과 그가 하실 하나님나라 창건을 위한 다양한 일들이 언급되어 있다. 특히 메시아가 강림할 때에 이스라엘백성들로부터 영광을 받게 될 것이라는 영광의 메시아론이 있고, 이와 반대로 많은 고난을 받게 될 것이라는 고난받는 메시아론이 있다. 그런데 예수그리스도가 탄생할 때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영광의 메시아를 고대하였고 고난당할 메시아를 생각하지 않았다. 그 결과 예수그리스도는십자가에 처형당하는 비극을 낳고 말았다. 초기기독교의 제자들에 의하여 예수그리스도의 삶이 재조명되면서 고난당한 메시아사상이 확립되었다. 무지와 불신으 ...

2025-09-05 08:25

0

성신사모일

|

전도관

박태선의 사망은 전도관 신앙자들에게 신앙 의 시련이기도 했지만, 새로운 신앙을 결단하게 한 시점이다. 이 때문에 이날 모든 전도관(천부교)인들 은 모두 기장 신앙촌에 모여서 특별한 집회를 열고 박태선의 묘지에 참배함으로써 창교자의 유업과 종 교적 이상 실현의 결의를 다진다. 박태선의 묘지는 기장 신앙촌 내에 있고, ‘하나님 동산’이라고 불리며 1년 중 성신사모일에만 공개된다.

2025-08-17 21:12

0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