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마니산 참성단

|

단군계

참성단(暫城樓)의 종교사적 의의는 역사적인 사실 여부를 떠나 우리나라 역사의 출발인 고조선의 시조 단군이 제천(察天)하던 장소였다는 전승에 있다. 그러므로 참성단은 천신(天神)인 환인과 연결되는 계보를 가지고 있는 단군이 제천을 통해 하늘과 지상을 연결하여 주는 매개로서 기능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적이다. 마니산(摩尼山) 참성단(塹城壇)은 단군(檀君)이 하늘에 제사를 올리기 위해 지은 제단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평양의 단군사 황해도 문화현 구월산의 환인 환웅 단군을 모신 삼성사(三聖祠)와 단군조선의 도읍지 당장경이 잘못 전해진 결과라는 장장평(莊莊坪) 강화 마니산 참성단(塹星壇)과 삼랑성(三郞城) ...

2025-07-07 23:14

1

마고문화

|

고대신앙

중국에서 한족(漢族)문화 국가가 탄생하기 이전 동아시아에서는 동이족(東夷族)을 중심으로 모계적 전통의 마고문화가 번성했다는 주장이 있다. 재야사학계의 일각에서는 14000~12000년 전에 발해만과 산동반도 사이에 존재했던 묘도군도(廟島群島)를 마고문화의 발상지로 보기도 한다. 이후 오랫동안 고대 동아시아인들은 모든 정치적 종교적 주권이 마고여신에게서 나오는 것으로 믿었다고 한다. 마고문화의 흔적은 한국에서 가장 뚜렷하게 보존되어 왔지만 조선중기 이후부터 남성유학자들의 탄압으로 말미암아 급격히 쇠퇴하였다고 주장된다. 제주도에는 마고할미 신화라는 형태로나마 현재까지 그 흔적이 남아 있다.

2025-07-07 23:11

1

동학회중앙본부

|

『동경대전』『용담유사』 『동경대전 연의』 『용주선생봉명서』 『해월선생 법설주해』『금병산도솔천』『동도전서」 『통훈가사』등이 있다.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한국종교학회 1985)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류병덕·양은용 원광대학교종교문제연구소 1997) 「동학회중앙본부」(김홍철 『원광』 1990.10)

2025-07-07 17:37

1

동학혁명백주년기념

|

동학농민혁명 백주년을 2년 앞둔 1992년 6월에 동학농민혁명백주년기념사업회를 창립한 후 보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기념사업을 추진해 나가기 위하여 1993년 7월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법인을 설립하였다. 이 사업회에서는 그동안 왜곡되고 축소되어온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대의를 바로 세우고자 노력해 왔다. 기념논총 상하권(1560페이지)을 발간하고 조형물 등을 설치하였다.

2025-07-07 17:35

1

동학혁명기념식

|

천도교

1894년 전라도 고부의 동학접주 전봉준(全琫準 1854~1895) 등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종교적 성격과 정치개혁의 성격을 띤 민중혁명운동을 기념하는 의식이다. 동학의 창시자 최수운은 동학을 창도하여 포교활동을 전개하다 양반 지배층의 반발로 체포되어 1864년 참형(斬刑)을 당하고 말았지만 그의 가르침은 계속 번져 그 후 30년 동안에 전국적인 확산을 가져오게 되었다. 동학혁명은 민중들의 자발적인 혁명운동이며 근대 한국 신종교 사상의 뿌리가 된다. 이를 기념하여 천도교에서는 매년 3월 21일 동학혁명기념일이며 최시형의 탄신일인 이 날에 천도교의절에 맞추어 거교적인 기념식을 거행한다. 의식순서는 ...

2025-07-07 17:34

1

동학혁명

|

손병희/천도교

손병희/천도교

2025-07-07 17:33

1

동학학회

|

천도교

동학에 대한 학제간 학술연구 및 학술발표와 회원간의 학문적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학술단체이다. 동학사상에 대한 철학적․사상적 연구를 통하여 한국사상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학문적 기여를 하며 동학사상의 현실화․구체화 과정인 동학혁명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하여 자주적 민(民)의 형성 사회형성 국가형성의 정신을 연구하여 세계 속의 한국사회를 건설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목적하는 학술단체이다. 이 학회에서는 2000년 『동학학보』 창간호 발간을 시작으로 꾸준히 발행되고 있다. 현재는 매년 4회씩 발행하고 있으며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가 되어 한국사회에서 동학의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게 되었다.

2025-07-07 17:31

1

대한불교대승종

|

본종은 1988년 5월 28일 도암 박성도의 주도로 창종된 불교종단이다. 불조 석가세존의 근본교리를 봉대하여 전법도생을 생활화하고 상구보리 광도중생하며 국태민안과 인류평화를 위하고 생활불교로서 전 세계를 불국정토화함을 기본교리로 하고 있다. 1988년 5월 28일 강원도 태백산 범패사에서 대한불교대승종을 창종하고 1990년 6월 9일 총무원을 포항으로 이전하였다. 같은 해 9월 대승종 박성도 미륵선종(彌勒禪宗) 손혜인 아미타종 김월하 3인이 모여 대한불교대승종으로 통합하고 종정에 박도암 부종정에 김월하 종단 대표로 손혜인을 추대하며 창종일을 미륵선종의 창종일인 1985년 4월 8일로 하기로 합의한다. 1993년 3월 1 ...

2025-07-05 20:32

1

대한불교대각종

|

1996년 10월 1일 석만청(釋萬淸)의 주도로 창종된 본종은 석가세존의 자각 대각 각행 교와 선을 봉제한 고구려 순도화상의 승풍을 선양하며 전법도생과 자타일시성불도를 종지로 한다. 창종 이후 1997년 6월 9일 미암사 대웅전 낙성기념 대법회를 개최하였고 2003년 2월 8일 서울 대각정사 개원 법회를 봉행하였다. 2005년 2월 3일에는 계향산 산신축제를 개최하였고 동년 4월 24일 미암사에 세계 최대 와불을 조성하고 점안법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동년 10월 2일에 33층 불사리탑을 건립하였다. 2008년 현재 교세는 소속 사찰 485곳 승려 516명(남자 228명 여자 288명) 신도 282630명(남자 22030 ...

2025-07-05 20:06

1

성주

|

원불교

성주는 소태산이 직접 지어 제자들이 독송하게 한 주문으로 ‘거래각도무궁화 보보일체대성경(去來覺道無窮花 步步一切大聖經)’과 ‘영천영지영보장생 만세멸도상독로(永天永地永保長生 萬世滅度常獨露)’ 두 주문구가 합해져서 후일에 성주라는 이름의 주문이 되어 주로 영혼천도를 위한 주문으로 사용된다. 성주(聖呪)의 내용은 ‘영천영지영보장생 만세멸도상독로 거래각도무궁화 보보일체대성경(永天永地永保長生 萬世滅度常獨露 去來覺道無窮花 步步一切大聖經)’이다. 성스러운 주문이라는 뜻인 이 주문은 그 뜻이 ‘영천영지영보장생’은 ‘영원한 하늘과 영원한 땅 곧 하늘과 땅이 영원하므로 그 속에 사는 모든 만물이 영원히 장생을 보존한다’는 의미이다. ‘만세 ...

2025-09-05 10:12

0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