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삼강오륜
단민회
단민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강륜(綱倫)은 삼강오륜(三綱五倫)이 있다. 삼강(三綱)은 ①남의 것을 욕심내지 말라 ②남을 해(害)하지 말라 ③남을 위하여 일하라이며 오륜(五倫)은 ①부자자효(父慈子孝):아버지는 자애롭고 자녀는 효도한다 ②부화부순(夫和婦順):남편은 화합하고 아내는 순종한다 ③형우제공(兄友弟恭):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손한다 ④붕우유신(朋友有信):벗 사이에는 신용이 있어야 한다 ⑤애국애족(愛國愛族):나라를 사랑하고 민족을 사랑해야 한다.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7-09 20:53

0
삼강오륜
삼강오륜의 삼강은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어버이와 자식(父爲子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하고 오륜은 부모와 자식 간에는 자애와 섬김을 다하며(父子有親) 임금과 신하 간에는 의리가 있고(君臣有義) 남편과 아내 간에는 분별 있게 각기 자기의 본분을 다하고(夫婦有別) 어른과 어린이 간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長幼有序) 친구 사이에는 신의를 지켜야 한다(朋友有信)”는 것이다. 이 윤리지침은 조선에 들어 온 이후 세종시대에 윤리적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의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하는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찬하였고 정조 시대에는 『삼강행실도』에 『이륜행실도』를 덧붙여 『 ...
2025-07-09 20:52

0
삼가족연원제
보화교
삼가족연원제(三家族淵源制)란 보화교(普化敎) 교주 김환옥(金煥玉 1896-1954 호 淸江)이 6.25한국전쟁 후에 정읍군 칠보면이 공비의 출몰로 교인들의 왕래가 어렵게 되자 1952년 본부를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태화동으로 옮기고 다음해에 새로운 제도 개편을 단행하였다. 이중에 하나가 ‘천지인삼가족연원제(天地人三家族淵源制)’이다. 즉 장남은 정읍도장 중남은 백암도장 소남은 원평도장을 맡도록 하여 세 도장의 교화책임자로 임명했다. 가족중심의 제도를 만든 것이다. 그는 이 세집 살림을 천지인삼가족연원제 또는 삼남삼녀에 의한 ‘육자분산법(六子分散法)’ 또는 ‘삼인일도법(三人一度法)’이라 하였다. 이와 같은 연원제 밑에는 ...
2025-07-09 20:51

0
삶의 오대 원리
동사섭
동사섭은 개인적 차원의 행복을 넘어 공동체의 행복을 지향하며 ‘삶의 오대 원리(五大原理)’는 이상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5가지 조건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공동체 오요(理想共同體 五要)’라고도 불린다. 5 가지 행복의 중요 조건은 다음과 같다. 정체(正體: 나를 앎) 대원(大願: 모두의 행복을 원력으로 세움) 수심(修心: 마음을 닦음) 화합(和合: 좋은 관계를 맺음) 작선(作善: 자신의 역할을 다함)이다. 동사섭 프로그램은 이 원리를 배우고 실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2025-07-09 20:50

0
살풀이
살풀이란 살을 푼다는 본래의 의미 외에도 춤이나 장단을 가리키기도 한다. 살풀이춤 살풀이장단이 그것이다. 살풀이춤은 무속이나 교방(敎坊) · 권번(券番)의 예기(藝妓) 또는 전문예인을 통해서 전해졌다. 무속의 굿판에서 전해지고 있는 살풀이는 대개 그 지역마다의 굿장단에 따라 각기 특징이 있어서 경기도 지역의 도살풀이 장단이 다르고 영남 동해안 지역의 살풀이 장단이 다르다. 호남지방 기방(妓房) 계열의 전문예인들의 살풀이춤은 기방무를 무대화시킨 것으로 한성준에 의해 완성되어 한영숙에게 전해졌고 무속 살풀이로는 긴 수건을 들고 추는 경기 도당(都堂)굿의 도살풀이 지전뭉치를 양손에 들고 추는 진도 씻김굿 살풀이 짧은 수건이나 ...
2025-07-09 20:49

0
살
살은 곧 악한 귀신의 것이다. 살을 풀기 위해서는 살풀이를 한다. ‘살이 가다’는 별로 부딪치지 않았거나 대수롭지 않게 건드렸는데도 공교롭게 상하거나 깨진 경우를 말한다. ‘살을 맞다’나 ‘살이 오르다’는 초상집이나 혼인집 제사집에 갔다가 갑자기 탈이 났을 경우 악귀의 침범을 받았다는 말이다. ‘살이 내리다’는 독살 궂은 기운이나 악한 귀신의 짓이 떨어져 나간 경우를 말한다. 살풀이는 흉살(凶殺)을 피하기 위한 굿으로 장단과 춤의 의미로도 쓰인다.
2025-07-09 20:48

0
산업진흥운동
허욱은 1910년 나라가 일제에 합병되자 보국안민(輔國安民)을 위해 문중의 청년들을 모아 자기 마을에서 남녀개로(男女皆勞) 공동취사(共同炊事) 문맹퇴치(文盲退治) 등의 구호를 내걸고 산업진흥운동을 전개하였다. 큰 성과는 없었으나 이 운동의 결과 이 마을에 직조공장이 생겨 10여 년간 운영되기도 했다.
2025-07-09 20:47

0
산업계
1923년 11월 28일에 창간된 조선물산장려회의 기관지 『산업계(産業界)』는 1924년 9월 통권 5호를 끝으로 폐간되었다. 편집과 발행인은 유성준(兪星濬)이고 국판 월간지로 조선물산장려회(朝鮮物産奬勵會)에서 산업 장려 국산품 애용 소비절약 등 물산장려운동을 효과적으로 선전·계몽하기 위해 발행하였다. 1923년 1월 20일에 개최된 조선물산장려회 창립총회에서 보천교경성진정원 직원 고용환 보천교충남진정원장 임경호 등이 이사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4월 30일 제1회 정기총회에서는 보천교경성진정원 부장 주익이 이사로 선출되었다. 또한 보광사(普光社) 인쇄부가 조선물산장려회의 기관지 『산업계』의 인쇄를 담당하였으며 고용환과 ...
2025-07-09 20:46

0
산악숭배
고대인의 세계관에서 산은 천상과 지하세계를 매개하는 세계의 중심으로 인식되었다. 산은 그 자체로 신성한 것으로 인식되어 성지(聖地)가 되거나 신격화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제우스와 신들이 거주하는 올림포스산 고대 인도에서 신들이 거주한다고 여겨진 메루산 불교의 수미산(須彌山) 중국의 오악신앙(五岳信仰) 유대교에서 모세가 십계를 받은 시내산 기독교에서 예수가 십자가에 매달린 골고다 언덕 이슬람교에서 메카의 북동에 있는 아라파트의 언덕 등이 성스러운 산의 예이다. 한국에서도 환웅(桓雄)이 태백산 신단수로 내려왔다는 단군신화나 김수로가 하늘로 올라간 구지봉(龜旨峯)에서 산악숭배를 볼 수 있다. 마을마다 주산(主山)에는 산신령 ...
2025-07-09 20:45

0
산신제
고대로부터의 산악신앙에서 유래하여 가장 보편적인 신앙의례로 정착하였다. 환웅이 하늘로부터 수많은 무리를 거느리고 하강한 곳이 산(태백산)고 나라를 세워 백성을 다스린 단군왕검이 산신이 되었다는 기록은 산악신앙의 유구한 역사를 말해준다. 고대 이후 각 왕조에서는 오악 삼신산 등의 산에 공식적인 사전체제(祀典體制)로 제사를 지냈다. 오늘날에는 산신제가 지역 또는 마을 단위의 소규모 행사로 축소되면서 지역민 보호와 안녕 추구로 목적이 바뀌게 되었다. 산의 주인인 산신령은 산신 산신할아버지 산할아버지 할아버지 산신령님 신령님 산왕 산왕산신 산군 산령 산귀신 등으로 불린다. 산신도에는 호랑이의 변화신인 신선이 호랑이 등 위에 앉 ...
2025-07-09 20:4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