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사자밥

|

사자밥은 염라대왕의 명으로 죽은 사람의 영혼을 데리러 온다고 믿어지는 저승사자를 잘 대접함으로써 편하게 모셔가 달라는 뜻이 담긴 음식이다. 장례 시에는 수시(收屍)를 걷고 나면 사자밥을 차리는데 사자밥은 보통 대문 앞이나 마당 뜰에 차린다. 메 3그릇 나물 3그릇 동전 3개 짚신 등을 조그만 상 또는 채반 등에 차린다. 밥은 요기로 신은 먼 길을 가는데 갈아 신으라고 돈은 영혼을 부탁한다는 의미로 저승사자에게 주는 뇌물이다. 예서(禮書)에는 사자밥을 차린다는 기록이 없으므로 민간전승의 신앙이다. 사자밥에 날 된장이나 날 간장 등 짠 반찬을 올리기도 하는데 이는 저승사자가 짠 것을 먹어 갈증을 느껴 물을 마시는 동안이나마 ...

2025-07-09 20:11

0

사인여천

|

천도교

사인여천은 천도교(동학) 2대 교주 해월 최시형이 교조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侍天主) 사상을 보다 확대하여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한 교리개념이다. 천도교(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는 사람은 누구나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시천주 사상에 따라 조선시대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의 신분제를 부정하고 인간의 평등을 주장하였다. 최제우는 1860년 4월 5일 천도교(동학)을 창도한 직후 자신의 집안의 두 명의 여자 몸종을 하나는 수양딸로 다른 하나는 며느리로 삼았다. 이러한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을 계승한 해월 최시형은 사인여천의 개념으로 확대시켰다. 최시형은 1864년 10월 28일 스승 최제우의 탄신일을 맞아 경북 포항 검곡(劍谷)에 ...

2025-07-09 20:05

0

사이언톨로지

|

사이언톨로지는 미국의 공상과학 소설가 론 허버드(1911-1986)의 자신이 개발한 심리치료기법인 ‘다이어네틱스’(Dianetics)를 토대로 형성되었다. 다이어네틱스는 어디팅(auditing)이라는 상담기법을 이용하여 반응심(reactive mind)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비이성적 두려움 심인성 질병 등을 치유하고자 한다. 반응심 속에 저장된 부정적 기억의 흔적을 단계별로 소멸시켜 오직 이성심(rational mind)만이 남는 ‘정화’(Clear)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어디팅’을 계속하면 ‘정화’ 단계를 넘어 ‘자신과 주위환경을 완전히 통제하게 된다고 한다. 한편 사이언톨로지는 다이어네틱스를 영적 치유 ...

2025-07-09 20:04

0

사이버종교

|

신종교학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등장과 확산은 단순히 개인의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었을 뿐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영역에 걸쳐 전반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사이버 공간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다양한 정보와 사람들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종교 영역을 보더라도 한국의 인터넷 사이트에는 이미 수많은 기성종교의 홈페이지와 종교관련 커뮤니티를 비롯하여 전자·사이버·인터넷 교회 사이버 법당 사이버 교당 사이버 추모관 등이 운영되고 있다. 종교조직의 경우 사이버공간은 해당 종교의 주요교리를 소개하고 신도들을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의례를 제공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발전했으며 동시에 ...

2025-07-09 20:03

0

사과

|

내용도교의 사유에는 인간이 태어날 때 정해진 수명이 있다고 한다. 정해진 인간의 수명은 그가 행한 일상에서 선과 악에 따라 수명이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한다. 인간의 선악의 행위를 관찰하고 이를 경신일에 신에게 보고하는 신이 바로 사과신(司過神)이다. 이 사과신은 인간의 몸속에 존재하면서 그 개인의 선악을 감시하는 삼시(三尸)와 부엌에서 가족의 선악을 감시하는 조왕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사과신에 대한 사유를 가장 분명히 보여주는 책으로는 『공과격』과 같은 민중도교의 권선서들이다.

2025-07-09 19:30

0

사강육륜

|

모악교

사강 육륜은 여처자(余處子 1887-1954)가 창립한 모악교(母岳敎)의 교의중 하나이다. 4강은 ①군위신강(君爲臣綱) ②부위자강(父爲子綱) ③부위부강(夫爲婦綱) ④사위제강(師爲第綱)이다. 6륜은 ①군신유의 ②부자유친 ③부부유별 ④붕우유신 ⑤장유유서 ⑥사제유의(師第有義)이다. 참고문헌 : 『범증산교사』(홍범초 도서출판 한누리 1988)

2025-07-09 19:29

0

사강육륜

|

명부전

사강육륜은 선도계 신종교 명부전의 교리로 사강은 부위자강(父爲子綱)․부위부강(夫爲婦綱)․국위민강(國爲民綱)․사위제강(師爲弟綱)이고 육륜은 부자유친(父子有親)․부부유덕(夫婦有德)․국민유의(國民有義)․사제유도(師弟有道)․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이다. 참고문헌 : 「함승국의 명부전」(김홍철『원광』1990. 5) 『한국민족종교총람』(한국민족종교협의회 1992)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7-09 19:28

0

사강령

|

태극도,대순진리회

태극도와 대순진리회에서 제시하는 사강령은 안심(安心)ㆍ안신(安身)ㆍ경천(敬天)ㆍ수도(修道)이다. ①안심: 안심은 사람의 행동기능을 주관하는 것이 마음이니 편벽됨이 없고 사사(私邪)됨이 없이 진실하고 순결한 본연의 양심으로 돌아가서 허무한 남의 꾀임에 움직이지 말고 당치 않는 허욕에 정신과 마음을 팔리지 말고 기대하는바 목적을 달성하도록 항상 마음을 안정케 하라는 것이다. ②안신: 안신은 마음의 현상을 나타내는 것은 몸이니 모든 행동을 법례(法禮)에 합당케 하며 도리에 알맞게 하고 의리와 예법에 맞지 않는 허영에 함부로 행동하지 말라는 것이다. ③경천: 경천은 모든 행동에 조심하여 상제님 받드는 마음을 자나 깨나 잊지 말 ...

2025-07-09 19:27

0

사강

|

보천교

1922년에 보천교 간부 이상호(李祥昊)가 차경석의 허락 하에 ‘보천교(普天敎)’라는 교명으로 조선총독부에 종교적 공인을 신청하였다. 당시 제출했던 보천교 핵심 교의를 사강(四綱) 또는 사강령(四綱領)이라고도 한다. 사강은 일심(一心)·상생(相生)·해원(解冤)·거병(袪病) 등이다. 참고문헌 : 『보광(普光)』창간호(보광사 1923.9) 『범증산교사』(홍범초 도서출판 한누리 1988) 「보천교」(이강오『전북대학교논문집』제8집 전북대학교 1966)

2025-07-09 19:21

0

빛과소리연구소

|

물질과 정신을 통합하는 새로운 미래 문명을 모색하는 단체인 ‘미래를 내다보는 사람들의 모임’(미내사 클럽)에서는 심신의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가져왔으며 그 가운데 빛과 소리가 심신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해왔다. 2003년부터 미내사클럽 산하에 빛과 소리가 명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조직이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으며 2004년에는 취산국제신과학심포지엄이 ‘소리와 소리치유’를 심포지엄 주제로 삼아 개최되었다. 미내사클럽의 빛과소리연구소에서는 빛과 소리를 이용한 첨단 기기들을 이용해 명상 전후 참여자들의 인체의 오라와 뇌파와 신체 에너지장의 변화를 기록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으며 빛과 소리 명상 체험실을 운 ...

2025-07-09 19:20

0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