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북창비결
도교
저작 시기는 불분명하나 현재 필사본으로 전한다. 소장본에 따라 내용은 조금씩 다르지만 제강(提綱) 편에서 종지(宗旨)의 핵심을 제시한 후 폐기(閉氣)·태식(胎息)·주천화후(周天火候)의 세 단계로 내단 수련법을 설명한다. 폐기는 단전호흡을 말한다. 정좌하고 앉아 눈은 콧등을 콧등은 배꼽을 향하게 하고 호흡하며 들이쉬는 숨은 면면히 하고 내쉬는 숨은 미미하게 하여 신기(神氣)가 단전에 머물게 한다. 이로써 몸 안의 모든 구멍인 백규(百竅)가 서로 통하게 된다고 한다. 태식은 폐기에 능하게 된 후 코나 입이 아닌 피부로 호흡하는 수련법이다. 이는 뱃속의 아이가 탯줄을 통하여 호흡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주천화후는 단전에 모 ...
2025-07-09 17:28

0
북애자
북애(北崖)는 별호이고 본명은 미상이다. 조선후기 숙종연간의 인물로 추정되며 『규원사화(揆園史話)』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규원사화』는 고조선을 세운 단군(檀君) 왕검(王儉)으로부터 단군 고열가(古列加)에 이르기까지 47대 단군의 재위기간과 치적을 기록한 책으로 대종교(大倧敎)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서문에서 그는 자신이 과거에 떨어진 선비로서 전국을 방랑하던 중 어떤 산골에서 청평(淸平) 이명(李茗)이 쓴 『진역유기 震域游記』를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책을 지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명은 고려 공민왕 때 청평산에 머물렀던 선가(仙家)의 인물로 추정된다. 오늘날에는 『규원사화』의 내용을 ...
2025-07-09 17:20

0
보국불교염불종
본종은 신라 원효이후 계승되어온 염불종의 종풍을 이어 1991년 이청봉(李晴峰: 1925~2007)과 김윤보(金允保: 1941~2007)의 주도로 창종되었다. 석가세존의 자각각타(自覺覺他) 각행원만(覺行圓滿)한 근본교리를 봉체하고 종조의 종풍을 선양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 전법도생(傳法度生)함을 종지로 한다. 또한 우상 형식 가면불교에서 현실적으로 안심입명(安心立命)하고 구세제중(救世濟衆)하는 정법불교와 통합불교 일불제자(一佛弟子) 선교양종의 종파와 법맥을 초월하여 순수한 부처님의 마음과 말씀을 알기 쉽게 포교하고 염불정토사상을 생활대중불교화하며 진실한 염불수행(念佛修行)만이 성불도생(成佛度生)하고 일체 모든 중생이 성 ...
2025-07-09 01:52

0
보광
보천교
『보광(普光)』은 보천교 간부 이성영이 보광사를 통해서 발간한 국한문 혼용의 교양 잡지로 『보광』(창간호)(1923.10) 『보광』(제2호)(1923.12) 『보광』(제3호)(1924.1) 『보광』(제4호)(1924.3) 등 총 4회 발간되었다. 『보광』은 보천교 기관지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보천교에 대한 세간의 비판을 불식시키고 지면을 통해 대중에게 교리를 알리기 위해 창간되었다. 『보광』의 논조는 보천교의 사상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식을 보여주었으며 개조론이나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보광』창간호(보광사 1923.10) 『보광』제2호(보광사 1923. ...
2025-07-09 01:50

0
보경육대요령
원불교
원불교 초기교서의 하나로서 1932년(원기17)에 4×6판 양장본 100쪽으로 발행되었다. 4월 1일에는 국한문 혼용으로 발행했고 동년 5월 1일에 한글 전용으로 인쇄되었다. 《육대요령》이라고도 약칭한다. ‘보배경전’이라는 존명(尊名)이 부여된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원불교에서는 보배로 삼을 만한 가치가 있는 매우 귀중한 초기교서로 평가된다.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개교표어를 표제에 명시한 《육대요령》은 “1장 인생의 요도 사은사요 2장 공부의 요도 삼강령 팔조목 3장 훈련편 4장 학력고시편 5장 학위등급편 6장 사업고시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핵심적인 교리강령을 집약하여 구조와 체계를 갖추어서 최초 ...
2025-07-09 01:47

0
보경
금강대도
금강대도의 제2대도주 청학 이성직(靑鶴 李成稙)은 1949년(개도77년) 17개의 경문(靈運經 明敎章 大聖師父寶誥 大聖師母寶誥 大聖師母寶誥 道聖師父寶誥 道聖師母寶誥 十聖寶誥 太上大通經 保身益化呪 樂觀呪 通心靈異經 成願經 金剛眞言 關聖帝君應合三才經 文昌帝君鎭心魔經 孚佑帝君修鍊經)을 내려 주어 이 경문을 봉독(奉讀)하며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후 제3대도주 월란 이일규(月鸞 李一珪)는 1984년에 덕성사부보고(德聖師父寶誥) 덕성사모보고(德聖師母寶誥)를 내려 주어 현재는 19개의 경문이 있다. 이러한 경문이 담긴 책이 『보경(寶經)』이다. ‘보경’은 금강대도의 신앙의 대상인 대․도․덕성사건곤부모와 삼성제군(관성제군․문창제 ...
2025-07-09 01:44

0
보결
금강대도
금강대도의 제2대 도주인 청학이 제중포덕의 한 방편으로 처음 보결을 만들었다. 1937년 처음으로 38부(符)의 보결을 주사(朱沙)로 인쇄하여 보급하였고 1941년 1949년 1951년 등 질병이나 전란 등으로 사회가 어지러울 때마다 보결을 내려 제자들을 안심시켰다고 한다. 보결에는 ‘대겁보제(大劫普濟)’ ‘무병장수(無病長壽)’ ‘소재멸액(消災滅厄)’ 피병란(避兵亂) 축사(逐邪)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환자는 그것을 태워 냉수에 타서 마시고 건강한 사람은 붉은 주머니에 넣어서 왼쪽 가슴에 차도록 하여 악한 질환과 흉한 겁운을 예방케 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 『도성적편년』(금강대도) 『금강대도 종리학 연구론』(이재헌 ...
2025-07-09 01:43

0
법정사
대한불교불승종
1969년 건립된 본 사찰은 원래 대한불교천태종 소속 사찰이었으나 1997년 대한불교불승종 창종자 설송의 제자인 하문이 주지가 되면서 대한불교불승종 사찰이 되었다. 참고문헌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www.grandculture.net
2025-07-09 01:14

0
법일주
수운교
수운교 교인의 의무 중에 다섯 가지 정성을 다 바쳐 실행해야하는 오관(五款)이 있다. 이 오관에는 주문봉송 청수봉전 기도봉행 법일(法日)참배 기공덕미 납부 등이 있다. 이 중에 일요일 마다 법회당에 출석하여 법회에 참예하는 것을 법일참배라 한다. 이 법일참배시에는 본주문 7회를 봉송하고 이어서 법일주 7회를 봉송한다. 법일주란 ‘시천존 조화궁 영세무량 만사통령’ 14자이다. 법일주는 본주문의 13자인 ‘시천주 조화정 영세불망 만사지’와 대비되는데 일제 탄압시에 동학의 본주문을 말할 수 없는 시대 상황 속에서 본주문 대신에 이 법일주를 만들어 송주했다고 한다. 따라서 ‘시천주(侍天主)’를 ‘시천존(侍天尊)’으로 ‘조화정( ...
2025-07-09 01:12

0
법일수련
무극대도
강승태(姜昇泰)가 창립한 무극대도(無極大道)의 매월 3일 13일 23일에 진행되는 수련.
2025-07-09 01: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