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44건
고유제
유교
고유제(告由祭)는 집안에 큰 일이 있을 때 조상에게 그 사유를 아뢰기 위해 사당에서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줄여서 고유(告由)또는 고제(告祭)라고도 한다. 『주자가례(朱子家禮)』의 규정에 따라 시행되었다. 일종의 제례라고 할 수 있으나 사시제(四時祭)나 기제(忌祭) 등 정기적인 제사에 비해 간략하게 진행된다. 곧 제물(祭物)을 진설하지 않고 술과 과일만을 올리며 사당에서 바로 지내므로 신주(神主)를 정침(正寢 사랑방)에 모셔 오는 절차도 생략된다. 자손이 벼슬을 제수(除授)받았거나 사당에 모셔진 조상이 추증(追贈 죽은 뒤에 벼슬을 올려주는 일)되었을 때 적장자(嫡長子)를 낳았을 때 관례(冠禮)나 혼례(婚禮)를 치를 때는 ...
2025-05-24 18:52

2
고두예배
국제도덕협회(일관도)
국제도덕협회(일관도)에서 신앙 대상에 예배할 때 이마가 손 등에 가까이 닿도록 하는 절. 참고문헌 : 국제도덕협회(일관도) 홈페이지(http://www.ilgwando.org/)
2025-05-24 18:47

2
계벽천도도수문
삼천교(三天敎)
고대오(高大五)가 창립한 삼천교(三天敎)의 기본경전 중 하나.
2025-05-24 17:41

2
계룡해인승
삼신도
1984년 삼신도를 창립한 김석렬은 ‘한세계인류성도종’의 창립자인 정근철과 협력하여 『일신경』·『백의민족의 함성』·『기독교의 유일신 신앙 비판』·『계룡해인승』 등의 저술을 출판하였다. 이 저술들의 주된 내용은 외래사상을 배척하고 우리민족의 위대성과 민족주체성을 고양시키기 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5-24 17:36

2
계례
유교
계례(筓禮)는 유교의례 가운데 하나로 여자가 성년(成年)이 되었을 때 쪽을 쪄서 비녀를 꽂아줌으로써 어른이 되었음을 공인하는 의식을 말한다. 주자(朱子)의 『가례(家禮)』에서는 관례(冠禮) 아래에 계례 항목을 두고 그 절차를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따르면 여자가 혼인을 하기로 결정되었거나 미혼이라 하더라도 15세가 되면 계례를 시행하는데 어머니가 주인이 되어 친척 중에 어질고 예법에 밝은 부인을 주례(主禮)로 모시고 의식을 진행하며 주례가 비녀를 꽂아주고 자(字)를 지어주면 주인이 계례자(筓禮者)를 데리고 사당에 가서 조상에 고한 다음 손님을 대접하는 잔치를 베풀어 절차를 마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계례는 조선시대에 ...
2025-05-24 17:22

2
계단경
용화미륵불교연구회
서승영(徐承永)이 창립한 용화미륵불연구회(龍華彌勒佛敎硏究會) 대표적 경전. 강일순의 강림의 소리 즉 예언을 묶은 경전.
2025-05-24 17:18

2
경천교
정광덕 김주희이 동학사상에 근거하여 본교를 창립했다. 그러나 1908년부터 정광덕은 본 교단을 항일운동단체로 만들려 했고 김주희는 이에 결별을 선언하고 속리산으로 운둔해 있다가 1915년 상주군 은척면에서 ‘동학교본부’를 창립했다. 이 교는 1912년까지 존속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멸되었다.
2025-05-24 17:06

2
경룡암
정소아(일명 鄭白蓮華)는 1914년 11월7일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면 자산리에서 출생하여 19세 때 오빠를 따라 일본 오사카(大阪)에 건너가 살다가 1946년에 귀국하였다. 그녀는 신기(神氣)가 있어 여러 곳을 돌아다니다가 33세 때에 강신무가 되어 굿과 점업을 하면서 무당생활을 하였다. 1958년 단군(檀君)의 계시를 받았다고 하면서 단군성조봉안연합회를 조직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문동에 경용암(京龍庵: 일명 天宮)이라는 건물을 짓고 포교활동을 시작하였다. 정소아는 무당으로서 부처님을 모시고 보살의 행세를 하는 한편 불단(佛壇)에 단군을 봉안하고 단군의 계시를 받는다고 하였다. 한편에는 단군신명의 계시를 받는다는 김백룡( ...
2025-05-24 17:01

2
겨레얼
전통문화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겨레얼살리기 국민운동본부에서 발간하는 회보.
2025-05-22 23:42

2
건강법전
각세도천지원리교
각세도천지원리교(覺世道天地原理敎)의 경전 중 하나. 이성재(李成宰)가 오랫동안의 한의사 경험과 도조의 계시를 받아 엮은 건강관리의 처방들.
2025-05-22 22:3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