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선민사상

|

선민(選民)은 특정민족이나 집단이 신(神)이나 신적 존재에게 선택되어 다른 민족에 비해 우월한 지위를 가진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그러한 믿음을 선민의식 또는 선민사상이라고 한다. 유대교에서 여호와가 이스라엘 민족을 선택하여 계약을 맺었다는 사상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사상에는 정치적인 성격이 현저하게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제국주의적인 요소를 지니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배달사상 또는 단군 숭배사상도 이와 유사하게 한민족의 자긍심을 강조한다. 하지만 자신의 선민성(選民性)을 강조하기보다는 하늘의 직계 후손이라는 천손(天孫)사상을 띠고 있다는 특색이 있다. 실제로 『삼국유사』의 환웅설화 속에는 부지자의(父知子意)라 하 ...

2025-07-14 00:34

8

서백일

|

용화교

용화교(龍華敎)를 창립한 서백일(徐白一 1893-1966 호 眞空 ․ 玄武)은 1893년 1월 6일 전라남도 구례군 문천면 금정리에서 부친 서광진(徐廣振)과 모친 경주 김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11세 때 선엄사에 들어가 수도생활을 하고 1931년 전라남도 구례군 간문면 구고미라는 곳에서 ‘금산사미륵불포교소’라는 간판을 걸고 포교하였다. 1933년에는 본적지에 구성사를 지었으며 1947년에는 지리산에 상불사를 짓고 ‘용화교’라는 간판을 걸었다. 1950년에는 전주 완산동에 원각사(圓覺寺)를 완주군 우전면에 남일사(南一寺)를 세워 원각사에는 여수좌 100명 남일사에는 남수좌 100명을 두었다. 이어 김제군 금산면 청도리 산 ...

2025-07-13 23:24

8

삼진귀일

|

대종교

삼진귀일의 개념은 대종교 경전을 관통하고 있지만 특히 『삼일신고』와 『회삼경』에서 그 내용을 볼 수 있다. 삼진귀일(三眞歸一)의 말뜻은 ‘세 가지 착함으로 하나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삼일신고』에 따르면 세 가지 착함은 성(性: 성품)·명(命: 목숨)·정(精: 정기)을 말한다. 『회삼경』 귀일(歸一)편에 따르면 하나로 돌아간다는 것은 한얼(一神)이 된다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삼일신고』의 ‘삼일신고서(三一 참고문헌 : 『대종교경전총람』(강천봉 엮음 대종교총본사·대종교출판사·흥업단 1996) 『대종교 한얼글』(대종교 한얼글 편수위원회 엮음 대종교총본사 1990)

2025-07-12 00:48

8

삼육대학교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1906년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미국인 선교사 윌리엄 스미스가 평안남도 순안에 선교본부를 두고 남녀공학인 의명학교(義明學校)를 설립했다. 의명학교는 “재림교회 안에 있는 청년 남녀의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보통과 4개년 고등과 3개년의 인간을 받은 근대적 중등교육기관이었다. 1931년 의명학교에서 분리한 신학과를 토대로 서울에 조선합회신학교가 설립되었다. 1949년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공덕리(현재 노권구 공릉2동)로 학교를 이전하고 학제를 본과 특과 방청과로 구분했다. 1951년 삼육신학원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1954년 대학령에 의한 4년제 각종 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1961년 정규4년제 대학으로 인가를 받아 ...

2025-07-12 00:07

8

삼단신앙체계

|

증산교본부ㆍ증산법종교ㆍ삼덕교 등 증산계 10여개 교파에서 단군-수운-증산을 하나로 이어 계통을 대는 신앙체계를 형성 하고 있다. 원래 증산교의 기본사상은 증산이 하늘에서 내려온 상제(上帝)라 본다. 그러기 때문에 증산의 절대 유일 신앙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다 8.15 해방 후 우리 국조 단군을 신앙하는 사회분위기가 형성되고 또『대순전경』등에 ‘이 시대는 원시반본(原始返本) 하는 시대라 혈통 줄이 바로 잡히는 때니 환부역조(換父易祖)하는 자와 환골(換骨)하는 자는 다 죽으리라’는 가르침에 따라 우리 시조신과의 연맥을 대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본 것이다. 국조신인 단군이 천부(天符)와 인삼개(印三個)로 홍익인간과 제세이화 ...

2025-07-09 21:07

8

사대신기

|

환중교

환중교의 창립자 이선동은 오랜 수도 이후 계룡천진전에서 『천부경』과 『삼일신고』를 봉독한 결과 우주창조의 원리인 태극을 한울로부터 받았다고 한다. 특히 그는 지감법 조식법 금촉법의 삼법을 터득하였고 더불어 네 가지의 신비한 기술도 터득하였는데 그것을 사대신기라고 한다. 사대신기는 문신기(들어서 아는 것) 견신기(보아서 아는 것) 행신기(행함으로써 아는 것) 지신기(저절로 아는 것)이다. 참고문헌 : 『한국민족종교총람』(한국민족종교협의회 1992)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7-09 19:42

8

불법연구회창건사

|

원불교

송규가 집필하여 1937년(원기22)부터 2년간 《회보》에 발표한 글로 박중빈의 탄생부터 1927년(원기12)까지의 원불교 역사에 대한 기록이다. 국한문 혼용으로 1975년(원기60)에 결집된 《원불교교사》의 저본이 되었다. 목차를 중심으로 보면 제1장 대종사의 탄생 제2장 대종사의 유시와 발원동기 제3장 대종사의 구도 정성과 고행 제4장 입정(入定) 상황 제5장 출정과 대각 제6장 대종사 불법(佛法)에 대한 내정 제7장 대종사 현 사회를 보신 첫 감상 제8장 공부인의 첫 집회 제9장 단원(團員)의 첫 조직 제10장 대종사의 교화 방법과 본회 기성조합 제11장 방언역사(防堰役事)와 회실(會室)건축 제12장 단원의 기도 ...

2025-07-09 18:02

8

불법연구회규약

|

원불교

⑴ 1924년(원기9) 4월 29일(음) 전북 익산 보광사에서 개최했던 불법연구회 창립총회 때 채택했던 규약. 이때 채택되었던 규약은 총 6장 22조로 구성되었다. 제1조 “본회는 불법연구회라 칭한다” 제2조 “본회는 정신을 수양하며 사리를 연구하며 작업을 취사하기 위해 신ㆍ분ㆍ의ㆍ성을 세우고 불신ㆍ탐욕ㆍ나ㆍ우를 제거하기로 목적한다”로 되어 있다. 교단 통치제도로는 서무부ㆍ교무부ㆍ연구부ㆍ상조조합부ㆍ농업부ㆍ식사부ㆍ세탁부 등 7부를 두도록 되어 있고 총재 1인 회장 1인 부장ㆍ평의원ㆍ간사 약간 인을 두도록 했다. 정기총회ㆍ임시총회ㆍ평의원회ㆍ월례회 등 4종의 회의를 두고 유지는 의연금ㆍ입회금ㆍ연년금(年捐金)ㆍ농작 식리금 등으 ...

2025-07-09 18:02

8

불법시생활 생활시불법

|

원불교

원불교 교리를 실천적 측면에서 지침이 되도록 제시하여 불법이 곧 생활이요 생활이 곧 불법이니 불법과 생활을 일치시키자는 것이다. 이를 활용면에서 보면 불법으로써 생활을 빛내고 생활 속에서 불법을 닦는다는 뜻이다. 불법을 생활화한다는 것은 일원상 진리를 생활화한다는 것이다. 일원상 진리를 생활화한다는 것은 불법인 불생불멸과 인과보응을 생활화하는 것이며 일원상 진리로써 생활하고 생활 속에서 일원상 진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2025-07-09 17:58

8

법류니

|

대한불교보문종

대한불교보문종에서는 불교역사상 최조의 비구니였던 대애도니(大愛道尼)를 종조로 하고 신라 때의 비구니 법류니(法流尼)를 중흥조로 삼고 있다. → 대한불교보문종 참조.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종교문제연구소 1997) 대한불교보문종 보문사 홈페이지 http://www.bomunsa.or.kr/

2025-07-09 00:44

8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