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44건
강시일
삼천교
삼천교(三天敎)를 창립한 고대오(高大五 1923-2005 호 蓮主)는 신앙의 대상으로 태상노군과 서황모를 모셨다. 그녀는 수차에 걸쳐 태상노군으로부터 토설로 강시(降施)를 받게 되는데 이를 기념하여 강시일로 정해 기념하고 있다. 강시일은 지상천국대법도기념강시일(11월 17일) 장오리자갑도수기념강시일(12월 31일) 사사춘만계갑도수기념강시일(12월 17일) 일출봉구변구토구합도수법도기념강시일(1월 7일) 등이 있다. 또한 매월 본궁ㆍ지법궁ㆍ용천궁 에서 강시의례를 진행한다. 본궁강시는 매월 7일 지법궁강시는 매월 9일 용천궁강시는 매월 17일이다. 참고문헌 : 「高大五의 三天敎」(김홍철『원광』 1989년 12월호).
2025-05-16 15:20

2
각세진경
천도교
의암 손병희(孫秉熙)가 저술한 천도교 경전. 문답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1890년 동학의 3대 교주가 되기 바로 전 해에 쓴 글로 동학적 사유를 체화하여 표현한 것. 내용 : 각세진경의 내용은 전부 16개 항목의 문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동학사상을 처음 접한 사람이 묻고 이에 대해 의암 손병희가 대답하는 형식이다. ‘하늘보다 높은 것이 없고 인간보다 더 비천한 것이 없다’는 기존의 통념을 가진 사람이 ① 시천주(侍天主)가 무엇이냐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시작해서 ② ‘성심이 한울에서 나왔다는 것[性心出於天]’이 무엇이냐에 대한 물음 ③ ‘한울은 높고 땅은 두터운 것[天高地厚]’이라는 통념에 대한 의문 ④ 성품(性) ⑤ ...
2025-05-14 11:52

2
각세도천지원리학회
각세도
이성재에 의해 설립된 각세도계의 한 분파인 각세도천지원리교의 초기 명칭.
2025-05-14 11:45

2
각세도서관
각세도
각세도계 분파의 하나로 신태제가 설립한 정도교의 초기 교단명칭.
2025-05-14 10:31

2
각세도삼대강령
각세도
각세도에서는 선교(仙敎)․불교(佛敎)․유교(儒敎)․야소교(耶蘇敎)가 깨달음의 경지에서는 모두 하나로 돌아간다고 주장한다. 곧 유교는 정일(精一)의 도(道)로서 마음을 온전히 하여 성품을 기르는[存心養性] 학(學)이고 불교는 귀일(歸一)의 도로서 마음을 밝혀서 성품을 보는[明心見性] 학이며 야소교는 수일(守一)의 도로서 마음을 바르게 하여 성품을 구하는[正心求性]의 학이라는 것이다. 이선평은 이와 같은 선불유야의 모든 원리를 총섭하는 깨달음을 기반으로 교(敎)․도(道)․진리(眞理)의 삼대강령을 제시하고 있다. 교는 바르고 진실된 도의[正眞道義]로서 널리 중생을 깨닫게[廣覺衆生]하자는 것이며 도는 영혼을 길러서[毓靈] 다함 ...
2025-05-14 10:29

2
각세도북관
각세도
한명하가 세운 각세도계 분파의 하나.
2025-05-14 10:28

2
금선기공
금선학회
금선학회는 민족 고유의 정통 선도를 발굴하고 복원해서 계승 발전시키려는 목적에서 1981년에 개원한 단체이다. 이 책에서 금선기공은 자연의 정기를 호흡하며 건강을 지키는 양생법으로 소개될 뿐 아니라 나아가 우주와의 합일을 지향하는 수련 체계로서 제시된다. 이 책은 현대인에게 금선기공 수련법을 소개하는 기본 지침서로서 1부에서는 기의 개념 기공의 역사와 원리 요가 등 다른 수련법과의 비교가 다루어지고 2부에는 소주천의 의미가 설명되며 3부에서는 금선기공 수행법의 핵심이 다루어지고 4부에서는 수련 체험기가 소개된다.
2025-06-03 17:48

1
금산사미륵불
대한불교 조계종
백제 법왕 1년(599)에 창건했다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모악산 기슭에 자리한 금산사는 신라 혜공왕 2년(766)에 진표율사(眞表律師)가 미륵불의 수기를 받고 중건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버린 금산사는 조선 인조 4년(1626)에 재건돼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금산사 내의 미륵전을 장륙전(丈六殿) 또는 용화전(龍華殿)이라 한다. 미래불인 미륵이 용화세계(龍華世界)에서 중생을 교화하는 것을 상징화한 불전이라고 할 수 있다. 미륵전 내부에는 본존불(높이 11.82m)과 좌우 협시보살상(높이 8.79m) 등 미륵삼존불이 안치돼 있다. 미륵삼존불은 조선시대에 복원하면서 거대한 소조불(흙으로 조성한 불상) ...
2025-06-03 17:44

1
금구해도
보화교
구해도(金龜海圖)는 보화교(普化敎)의 3대교주 김명환(金明煥)이 교주 김환옥(金煥玉 1896-1954 호 淸江)의 유지를 받아 하도(河圖) 낙서(洛書) 이후 김일부(金一夫)가 새로 발견한 역(易)의 도판을 완성한 것이라 한다. 김일부는 아이들이 ‘삼각산 제1봉에 봉황이 날아 춤을 추고 한강수 깊은 물에 용마하도(龍馬河圖)가 다시 나네’ 라고 동요 부르는 소리를 듣고 한강에 가보니 거북 등처럼 생긴 평판(平板)의 돌에 환영적(幻影的) 점이 음각처럼 나타나있었다. 일부는 이것을 보고 득리(得理)하여 마침내 낙서(洛書) 이후에 어떤 신리(新理)의 세계가 올 것을 예지하였고 또 연구 끝에 낙서에 있어서 인월세수(寅月歲首)를 묘 ...
2025-06-03 17:42

1
금강화신경
금강대도
금강대도 창시자인 토암 이승여(土庵 李承如)의 11경 28권 경 가운데 1932년(개도59년)에 열 번째로 반포된 것이 『금강화신경(金剛化身經)』이다. 장이 구분되지 않은 채 전체 1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3100여자로 이루어져 있다. 토암은 『금강화신경』의 처음 구절에서 “서로 자뢰한지 이십여 년 만에 금강으로써 삼경의 도근과 삼기의 도체를 믿어 우계(금천)에서 자취를 발하니라(相資二十餘年에 以金剛으로 三庚之道根과 三奇之道體를 信而發跡於牛溪也-니라).”라고 하여 우계(牛溪:우복동 금강대도 총본원이 위치 한 금천리 옥화촌)에 금강으로 화신하여 이 세상에 출세함을 밝히고 있다. 참고문헌 : 『대성경』(이승여 금강인쇄소 ...
2025-06-03 17:3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