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44건
궁을기
수운교
수운교의 교기는 궁을기(弓乙旗)이다. 직사각형의 황색바탕에 한 원과 그 속에 궁을영부()를 나타내어 만화귀일하는 지상천국을 상징한다. 직사각형은 사방을 의미하며 바탕의 황색은 중앙을 표시하고 자비와 평화를 뜻하며 원은 무극이니 불 천 심의 일원이며 영부는 좌우배궁의 판단할불()자이니 중심에 백십자이다. 좌우배궁(左右背弓)이란 좌에 있는 弓과 우에 있는 弓이 마주보며 합일한 것을 의미한다. 궁(弓)은 선(仙)이요 을(乙)은 불(佛)이니 선불이 합덕하고 천궁지을(天弓地乙)의 음양조화로 하늘과 땅이 열리고 닫히는 조화문이며 음양이 출입하는 길이요 만물이 생성하는 기틀로 천도의 원리를 담고 있다. 참고문헌 : 『수운교 진리』( ...
2025-06-03 15:28

1
궁궁을을
『정감록(鄭鑑錄)』 『격암유록(格庵遺錄)』 궁을가(弓乙歌:동학가사) 등에 있는 용어로 난세에 도피할 피난처를 나타내는 의미와 이로움을 얻게 된다는 뜻으로 사용. 최제우가 상제로부터 받았다는 영부(靈符)도 선약(仙藥)임과 동시에 그 형상이 궁궁이라 한 바 있음.
2025-06-03 15:21

1
군종교구
원불교
원불교 군종교구는 2006년 3월 24일 군종장교 공식 승인됨으로써 군부대내 공식적인 교화활동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원불교 군종교구는 현재 10개 교구 31곳의 지역에서 종교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군종장교를 비롯하여 군종교화를 전담하는 교무들과 교당교화를 아우르는 군 부대 근처의 교무들이 매주 군 장병들을 만나 원불교 교화 활동을 하고 있다. 원불교에서는 1966년부터 원불교 군종교무를 파견을 위한 대정부 교섭을 시작하였다. 결국 2001년 원불교 군종활동 청원서를 국방부장관에게 접수하였고 원불교에서는 2003년 특별교구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결국 2004년 군종교화 전담 교무를 파견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해오다가 ...
2025-06-03 15:17

1
국조전
선불교
선불교에서는 국조단군이 종교적인 차원을 넘어 엄연한 역사로 존재하는 한민족의 정신이고 뿌리이므로 국조전을 건립하여 민족정신의 구심을 세움과 동시에 선도문화의 부활을 이루고 민족통일과 인류평화를 이루고자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선불교의 국조전은 첫째 나의 뿌리를 찾는 곳이며 둘째 한민족의 기가 살아있는 곳이며 셋째 민족통일과 인류평화를 이루기 위한 곳이라고 말한다. 선불교의 국조전은 크게 본원국조전 수도국조전 제주국조전의 세 곳이 있다. 본원국조전은 2006년에 건립한 선불교 총본산의 중심건물로 국조를 모시는 단군성전이다. 국조전 천궁과 축복마당 신시촌 영성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원국조전에서는 누구나 참가하여 선불 ...
2025-06-01 23:46

1
국조단군전
용화세계미륵종
본 시설은 용화세계미륵종 덕화사에 있는 단군 제사 시설이다. 용화세계미륵종의 창종자 김월단(金月檀)은 갈라진 민족이 통일되고 해외동포까지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것은 단군성조라고 강조하고 단군전을 조성하고 단군상을 극진히 봉안하고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 『매일종교신문』(2009. 9. 25 http://www.dailywrn.com/)
2025-06-01 23:45

1
국조단군봉안회
국조단군봉안회는 각 지역에서 단군신앙을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된 단체들이다. 인천시 단군봉안회 대전시 단군봉안회 태백시 국조단군봉안회 등 지역별로 조직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조직은 각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자금을 형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독립된 회관을 갖지 못한 경우도 있다. 또한 대전시 단군봉안회의 경우 사단법인 국조단군봉안회에서 2015년 1월 15일 임시총회를 열어 법인 명칭을 ‘사단법인 단군정맥’으로 변경하는 등 단군봉안회의 명칭을 해체하고 새로운 양태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6-01 23:41

1
국제크리스찬연합
국제크리스찬연합은 정명석과 소위 신촌 5형제라 불리는 신도들과 함께 1982년 3월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된다. 처음에 그들의 명칭은 애천선교회 MS선교회였으며 이후 공식 명칭이 수차례 바뀌게 된다. 1989년에는 ‘청년대학생MS연맹’ 1996년에는 ‘국제크리스찬연합’으로 바뀌었으며 1999년 이후로는 줄곧 ‘기독교복음선교회’로 불렸다. 기독교복음선교회는 정명석의 고유한 신앙적 체험에서 나왔으며 한 때 통일교의 승공강사로 활동했던 이력 때문에 그들의 교리는 통일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의 하나님이다. 하나님은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이 그의 목적인데 인간의 무지로 말미암아 좌절됨으로써 한을 ...
2025-06-01 23:35

1
국제크리스찬교수협의회
통일교회
국제크리스찬교수협의회(國際크리스찬敎授協議會 The International Christian Professor’s Association)는 1981년 3월 28일 서울에서 40명의 한국 크리스찬 교수들에 의해 창립되었다. 국내외 크리스찬 교수들 간에 소속 교파를 초월하여 대화와 친목을 도모하고 국제적 협력과 교류를 증진시킴으로써 하나님의 뜻을 지상에 구현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협의회의 활동은 초교파적인 교회일치운동을 중심으로 한민족의 화합과 통일을 위해 무신론적 공산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연구하고 평화는 오직 사랑의 실천임을 역설하며 세계 평화운동도 전개하고 그 실천을 위해 여러 연구서들을 간행해 ...
2025-06-01 23:33

1
국제종교문제연구소
한국 및 해외 여러 종교들을 연구하는 학술단체로 1970년 1월 탁명환이 설립한 신흥종교문제연구소가 그 출발점이다. 1979년 5월 국제종교문제연구소로 확대되면서 해외종교들에 관한 연구도 시작하였다. 이 연구소는 신종교들에 대한 연구 이외에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종교들에 대한 비판적 역할도 함께 수행해오고 있다. 1999년 1월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하였으며 2013년 2월 연구소의 명칭을 ‘현대종교’로 바꾸면서 조직을 확대 개편하여 2015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사업으로는 공개학술강좌와 세미나를 실시하고 있으며 1982년 8월부터 월간 《현대종교》의 발행을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국의 신흥종교』 ...
2025-06-01 23:31

1
국제불교정법대학
대한불교미타종
본 대학은 대한불교미타종에서 운영하는 교양대학으로서 일반 신도들을 위해 불교 교리 및 관련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1989년 2월 10일에 설립되었고 소재지는 대한불교미타종의 총무원이 있는 서울 동대문구 휘경 1동 112-39 진영빌딩 301호이다. 현재 학장은 6대 총무원장을 역임한 이월정이다. 참고문헌 : 대한불교미타종 홈페이지(http://www.mitajong.or.kr/)
2025-06-01 23:2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