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동곡약방

|

증산계

동곡약방(銅谷藥房)의 동곡(銅谷)이란 지명은 예전에 도예지가 있던 까닭에 그릇골이라 불리다가 구릿골이라 하였고 이를 한자로 옮기면서 구리 ‘동(銅)’자와 골 ‘곡(谷)’자를 써서 붙여진 이름이다 동곡약방은 1903년 당시 김제군 금산면 청도리 하운동 김형렬의 집에 머물던 강일순이 1908년 동곡마을에 살던 김준상 아내의 발에 난 종기를 치료한 후 김준상의 방 한 칸을 빌려 사람들을 치료하기 시작한 것이 시작이었다. 강일순은 동곡약방에서 많은 사람들의 병을 고치며 천지공사(天地公事)를 하고 1909년 39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러므로 강일순이 천지공사를 벌였다는 동곡약방은 강일순의 사상과 활동이 구체적으로 발현된 곳이다. ...

2025-07-07 16:32

8

도학교

|

도학교 창립자인 최수정은 천도교의 최린(崔麟)을 따라 일본으로 건너가 천도교 동경교구장으로 있다가 귀국하여 천도교를 탈퇴하고 새로운 종교를 구상했다. 그래서 그는 동양의 유(儒)·불(佛)·선(仙) 삼교를 체(體)로 하고 서양의 신학·철학·과학의 3학을 용(用)으로 합일한 동서정신문화를 하나로 하는 종교를 만들었다. 이후 그는 동학에서 흩어진 교인들과 방계교단들의 인물과 무속계통의 인물을 규합하여 1959년 충남 계룡산 신도안에서 도학교를 창립했다. 1971년 최수정의 사망으로 이 교는 소멸되었다. 참고문헌 : 『한국신흥종교총람』(이강오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2025-07-07 16:20

8

도통

|

인희선도태백원

도통은 인희선도 도반들에게 인희선도를 효율적으로 알리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내용은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김용국이 강원도 홍천군 산골에서 태어나 金相哲(김상철) 이라는 이름으로 동두 초등학교에서 교편생활을 하던 중 도인(道人)의 안내로 수도를 하다 스승과 이별하기까지의 내용이다. 제2부는 인희(仁僖)라는 역호(曆號)와 함께 仁僖課業(인희과업) 三大目標(삼대목표)를 부여받고 하산할 때까지의 내용이다. 제3부는 법명을 김용국(金龍国)으로 개명하고 인희선도(仁僖仙道)를 세상에 알리는 내용이다. 참고문헌 : 『도통-인희선도도통기』(김대원 인희선도태백원 2002)

2025-07-07 16:15

8

도종사

|

세계국선도연맹

세계국선도연맹에서는 국선도의 도맥을 이은 최고지도자의 직위를 도종사라고 한다. 국선도 계열의 단체들은 스승이 제자에게 수련법을 계승하는 내림도법으로 선도가 이어져왔다고 보는데 도맥을 누가 이어받았는가에 대한 견해차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누어진다. 세계국선도연맹에서는 9700여년 전 천기도인으로부터 무운도인 청운도인 청산도인을 거쳐서 현재의 도운선사 허경무에게 도맥이 이어진다고 본다. 1999년에 도운 허경무가 세계국선도연맹을 창설하여 도종사의 직위에 취임하였다.

2025-07-07 15:30

8

덕당국선도

|

덕당 김성환이 1970년에 청산거사의 문하로 들어가 민족 고유의 수련법인 국선도를 익히고 1971년 선도원을 개원한 것을 덕당국선도의 설립 연원으로 삼는다. 덕당국선도에서는 일반인이 일상생활 속에서 국선도 수련을 통해 심신을 강화시켜서 건강한 삶을 누리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생활선도(生活仙道)를 지향한다. 덕당국선도의 수련법은 조신법(調身法) 조식법(調息法) 조심법(調心法) 조식법(調食法) 조정법(調精法) 조리법(調理法)등의 육조법(六調法)을 바탕으로 하며 행공(行功) 수련 단계는 중기단법부터 진기단법 조리단법에 이르기까지 6단계로 구성된다.

2025-07-07 14:11

8

대한승공경신연합회

|

대한경신연합회

대한승공경신연합회는 1950년대 후반 자유당 시절의 반공 분위기 속에서 설립된 경신회(敬信會)로부터 비롯되었다. 이 단체는 1960년대에 사단법인 대한정도회(大韓正道會)로 개명하였다가 1971년 1월 6일 대한승공경신연합회라는 명칭으로 문공부 제273호로 등록하였다. 이후 1997년 10월 17일 공보처로부터 사단법인 대한승공경신연합회를 승인받았다. 그리고 남북 화해의 분위기를 반영하여 ‘승공’을 빼고 2000년 7월 17일에 사단법인 대한경신연합회로 명칭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한승공경신연합회는 ‘전통적인 무속문화의 연구개발과 그 보존을 통해서 승공태세를 확립’하려는 목적을 갖고 설립되었는데 사단법인 대한경신 ...

2025-07-07 13:18

8

대한불교해동달마종

|

1995년 3월 15일 죽암의 주도로 창종된 본 종은 석가세존의 자각각타(自覺覺他) 각행원만(覺行圓滿) 근본교리를 봉체하고 충효사상 민중불교 생활불교 사상을 연구하고 실천하여 평화복지토록함을 종지로 한다.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모시고 『천수경』 『반야심경』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한다. 1995년 3월 15일 본종의 총무원 천룡선사를 개원하였고 1998년 5월 20일 해동달마종 포교원을 개원하였다. 2001년 3월 15일 문공부에 등록하였고 2002년 1월 5일 해동달마종 승가대학을 개원하였으며 2004년 11월 14일 천룡선사 미륵불 점안법회를 봉행하였다. 본 종의 주요행사로는 부처님오신날 관음법회 지장법회 약사법회 ...

2025-07-07 13:04

8

대한불교태선종

|

1995년 10월 대공 장선덕의 주도로 창종된 본 종은 석가모니불의 근본교리와 선의 본바탕인 『금강경』을 봉지하고 전법도생(傳法度生) 견성성불(見性成佛)함을 종지로 한다. 본존불은 석가모니불이며 소의경전은 『금강경』과 『아미타경』이다. 1987년 10월 대구 덕암사를 창건한 이래 1995년 3월 대구 태선사를 창건하였고 1999년 10월 10일 대한불교태선종을 창종하였다. 2008년 현재 산하기관으로 태선대학원 불교자원봉사회 전국신도회가 있다.

2025-07-07 13:01

8

대한불교천태종

|

『법화경』이 소의경전(所依經典)이며 그 외 대소승 경전과 논소(論疏)들을 수용한다. 참고문헌: 『마하지관』(천태지의강설

2025-07-07 11:49

8

대한불교천지종

|

1997년 일공 덕산의 주도로 창종된 본 종은 석가세존의 자각각타(自覺覺他) 각행원만(覺行圓滿)한 교리를 봉체하며 직지인심(直旨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 전법도생(傳法度生)함을 종지로 한다. 석가모니불을 교조로 하며 『금강경』 『묘법연화경』 『불설대부모은중경』을 소의경전으로 하고 기타 경전연구 및 염불 지송은 제한하지 않는다. 1997년 창종과 더불어 종헌 종법을 시행하였고 1998년 초대 종정 일공 덕산이 취임하고 비영리법인으로 등록하였다. 1999년 세계불교승왕청에 등록하였고 2007년 티베트 룸범린포체를 초청하여 마정수기법회를 안양포교원에서 봉행하였다. 2008년 현재 종정 일공 원로원장 대성 종회의장 혜광 등이 ...

2025-07-07 11:10

8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