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44건
국역원효성사전서
대한불교원효종
본서는 대한불교원효종의 종조 원효성사(元曉聖師)의 저작을 국역한 것으로 총 6권으로 이루어졌다. 제1권은 조명기(趙明基)의 감수로 『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이종익 역) 『열반경종요(涅槃經宗要)』(이영무 역) 『양권무량수경종요(兩卷無量壽經宗要)』(조명기 역)를 수록하고 있으며 1987년 2월 15일 발행되었다. 제2권은 조명기의 감수로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이종익 역) 『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김상조 역)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상․중(한길로 역)을 수록하고 있고 1987년 6월 20일 발행되었다. 제3권은 조명기의 감소로 『금강삼매경론』하(한길로 역) 『진역화엄경소(晉譯華嚴經疏)』(김지견 역) ...
2025-06-01 01:50

1
국선명상협회
세계국선도연맹
국선도 명상 수련법을 현대인의 요구에 맞게 보급하고 수련 인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2010년에 세계국선도연맹 산하에 설립된 기구이다. 국선도에서는 인간과 자연은 모두 기본적으로 기의 변화에 따라 생성 소멸한다고 보고 단전호흡을 통해 대자연의 생명력인 원기를 얻는 수련 체계를 수립하였다. 특히 세계국선도연맹에서는 많은 현대인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에 주목하여 국선도의 기체조나 호흡 명상 등을 통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현실 세계로부터 의식을 떼어놓음으로써 마음이 내면을 향하게 하고 기운을 정화시키며 자연 치유력을 증진시켜서 심신의 건강을 되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국선명상협회를 설립하였다.
2025-06-01 01:46

1
국선도무예협회
국선도의 수련은 기(氣)를 모으고 전신으로 순환시키는 등 내공을 바탕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지향하는 심신수련법이다. 국선도무예협회는 이렇게 내공으로 모아진 힘을 밖으로 표출하는 기화(氣化) 수련에 집중해서 외공을 수련하고 널리 보급하기 위해 설립된 사단법인 단체로서 내공 위주에서 무예로의 발전을 도모한다. 2008년에 청산거사의 제자인 청원(靑元) 박진후를 중심으로 창립되었으며 사라져가는 민족 고유의 무예 전통을 되살리고자 한다.
2025-06-01 01:41

1
국사찾기협의회
1975년 이유립 박창암 안호상 문정차아 임승국 등과 함께 창립. 이들은 박창암이 운영하던 ‘자유’지를 기관지로 하여 수많은 논문들을 연재하였다. 그리고 남산시립도서관에서 젊은 학도들에게 민족사강좌를 무료로 열어 수많은 젊은이들에게 민족정신을 고취시켰다.
2025-06-01 01:22

1
구인사창건기념일
대한불교천태종
대한불교천태종의 총본산 구인사는 상월 박준동(朴準東 1911-1974)에 의해 건립되었다. 1935년 음력 2월 현재의 구인사 범당 지점을 잡아 정지하고 음력 3월에 상량하여 소법당 외에 방 8칸 주방 2칸의 요사채를 완공하였다. 이어서 음력 5월 5일 단오에 구인사(救仁寺)로 명명하고 이날을 구인사 창건기념일로 정하였다. 2015년은 구인사 창건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참고문헌 : 대한불교천태종 홈페이지(http://www.cheontae.org/)
2025-06-01 01:00

1
구인기도봉
원불교
원불교 교조인 박중빈의 가르침에 따라 최초 아홉 명 제자들이 전남 영광군 백수읍의 구수산 중 아홉 개 산봉우리에 각각 올라가서 “모든 사람의 정신이 물질에 끌리지 않고 물질을 사용하는 사람이 되어 주기”를 기도한 장소이다. 중앙봉을 중심으로 옥녀봉ㆍ마촌앞산봉ㆍ촛대봉ㆍ장다리봉ㆍ대파리봉ㆍ천기동뒷산봉ㆍ밤나무골봉ㆍ설래바위봉으로 정했다. 구인기도봉은 상황에 따라 바뀌기도 했다. 예컨대 해안지대라서 밀물일 때는 하천이 범람하여 건너기 어려우므로 촛대봉과 마촌앞산봉 대신 눈썹바위봉과 상여바위봉이 추가되었다.
2025-06-01 00:57

1
구월산
아사달산(阿斯達山)·궁홀(弓忽)·백악(白岳)·증산(甑山)·삼위(三危)·서진(西鎭) 등으로도 불린다. 구월산이라는 이름은 이 산이 소재하는 구문화현(舊文化縣)의 고구려 시대 지명인 궁홀 또는 궁올(弓兀)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것이 궐구(闕口)를 거쳐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고 한다. 이와 달리 단군(檀君)이 9월 9일에 아사달에서 승천한 데에서 그 이름의 기원을 추적하기도 한다. 일설에 의하면 단군이 평양으로부터 구월산으로 수도를 옮기고 수천 년간 나라를 다스렸다고 한다. 이 산에 깃든 단군신앙을 보여주는 유적이 곳곳에 있으며 단군의 신도읍지라는 장당경(藏唐京) 환인(桓因)·환웅(桓雄)·단군의 세 성인을 모신 삼성사(三聖祠) ...
2025-06-01 00:55

1
구원파
신 구약성경 참고문헌 : 『교회용어사전 : 교파 및 역사.』(가스펠서브 2013 생명의말씀사) 「세월호 운영주체 구원파거론-대한예수교침례회와는 무관」(『이코노미TV』 2014.4.22). 「구원파’와 관련한 ‘대한예수교침례회’의 입장문」(『일요서울』 2014.5.20). 「서울 시민을 위한 박옥수 목사 성경 세미나」(『경향신문』 2010.4.19.). 「세월호 참사와 한국교회의 ‘침목’」(권혁률 『기독교사상』 667 2014).
2025-06-01 00:53

1
구서
삼성궁
삼성궁에서는 신선도의 계율이라고 하면서 신도들로 하여금 삼륜(三倫) 오계(五戒) 팔조(八條) 구서(九誓)를 지키게 한다. 그 가운데 구서는 ①효(孝) ②우(友) ③신(信) ④충(忠) ⑤손(孫) ⑥지(知) ⑦용(勇) ⑧염(廉) ⑨의(義)이다. 참고문헌 :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6-01 00:45

1
교화단
원불교
원불교 교조인 박중빈이 대각 이듬해(1917) 10인 1단의 단(團) 조직 방법을 제정하고 진실하고 신심 굳은 9명의 제자(이재풍·이순순·김기천·오창건·박세철·박동국·유건·김광선·송규)를 선정하여 조직한 것이 시초이다. 단장 1명과 중앙 1명 단원 8명 등 모두 10명으로 1개의 단을 구성한다. 단장은 하늘을 상징하고 중앙은 땅을 상징하며 단원은 각각 팔방(乾·艮·坎·震·巽·离·坤·兌)을 상징한다. 따라서 단은 펴서 말하면 시방(十方)을 대표하고 거두어 말하면 시방을 하나로 합한 이치이다. 단장은 중앙과 단원들을 지도하고 중앙 및 단원들은 각각 하위 단의 단장이 되어서 시방세계(十方世界) 모든 사람을 두루 교화하는 조직 ...
2025-06-01 00:1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