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0

대조천지교

|

대한천지교라고도 한다. 총본산은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매촌리에 소재한 구국사(求國寺)이다. 인근 시설로 대창양로원을 운영하고 있다. 주로 사할린에 강제 징용되었던 동포들이 귀국하여 생활하고 있다. 구국사는 국태민안과 남북통일 세계 및 인류 평화를 위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특히 대조천지교는 남한과 북한 하늘과 땅이 하나가 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구국사는 대보당(大寶堂) 대웅전(大雄殿) 천지전(天地殿)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지전 내부는 탱화로써 주불을 삼고 지황대제(地皇大帝)와 천황상제(天皇上帝)가 배치되어 있으며 좌우에 12협시보살이 그려져 있다. 오른쪽에는 단군 영정이 왼쪽에는 사명·서산·원효 대사의 영정이 ...

2025-07-03 17:42

8

대전새일교회

|

여호와 새일교단은 1965년 이유성 목사에 의해 시작되었다. 1915년 황해도 신계군에서 출생한 이유성은 17세 때 처음 기독교에 접하게 되었다. 해방 후 월남한 그는 1955년 고려신학교에 입학하여 다니다가 1957년 종교체험을 하고 신학공부의 필요성을 더 이상 느끼지 않아 신학교를 중퇴하였다. 1961년 침례교 목사 안수를 받았고 1964년 9월 24일 계룡산 숫용추에 천막을 치고 부흥회를 개최하였다. 이 때 새일수도원을 짓기 시작하여 이듬해에 완성하였다. 그 뒤 여러 차례에 걸쳐 신비체험을 하였으며 특히 1967년 8월 15일 이후 그의 입에서 나오는 말들을 제자들이 그대로 기록하여 여러 권의 책으로 만들었는데 이 ...

2025-07-03 17:38

8

대승불교법왕종

|

본종은 1988년 11월 14일 만선(최명도)에 의해 불국토 건설을 목표로 창종되었다. 본산은 경상북도 영천군 신령면의 한광사(閑光寺)이다. 본종은 중앙조직으로 종정 휘하에 원로원 총무원 호법원 교육원 등이 있으며 언론활동으로는 월간지 『연합불교』를 발행한다. 그리고 교육사업으로서 불교무술사회교육원과 무술연수원을 운영하고 있다. 본종에서는 본존불로서 석가모니불을 모시고 있으며 중요 의례로서는 음력 4월 8일의 석탄일 음력 2월 15일의 열반일 음력 7월 15일의 우란분절 음력 12월 8일의 성도일 매 음력 24일 관음재일이 있다. 한편 본종의 총본산 한광사 경내에는 보물 제675호인 영천 화남동 삼층석탑과 보물 제676 ...

2025-07-03 17:08

8

대순전경

|

증산교본부

증산 강일순(甑山 姜一淳)의 언행을 수록한 증산계 교단의 경전. 내용 : 1929년 이상호(李祥昊)·이정립(李正立) 형제가 증산의 교설과 행적을 수집 정리하여 편찬한 책으로 증산교본부의 기본경전임과 동시에 증산계 교단의 대표적인 경전 중 하나이다. 이들 형제는 강일순의 생전 제자들을 만나 강일순의 가르침과 활동 내용을 수집하여 1926년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를 출판했고 그 뒤 내용을 대폭 수정·보완하여 1929년 『대순전경』이라는 제목으로 상생사에서 초판을 발행한 이래 8차에 거쳐 개정판을 내면서 내용과 체제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초판의 구성 내용을 보면 앞부분에 강일순의 필적 5점을 싣고 이상호의 서( ...

2025-07-03 16:38

8

대순성적도해요람

|

대순진리회

본 도서의 발간 취지에 대해서는 머리말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구천대원조화주신이신 상제께서 삼계 대권을 주재하시고 천하를 대순하시다가 인세에 대강하사 상도를 잃은 천지도수를 정리하시고 후천의 무궁한 선경의 운로를 열어 지상 천국을 건설하고 비겁(否劫)에 쌓인 신명과 재겁(災劫)에 빠진 세계창생을 널리 건지시려고 순회(巡廻) 주유(周遊)하시며 40년간에 걸쳐 행하신 삼계 공사 중에서 선택한 구절을 요약해서 성화(聖畫)로 본부 본전 회관 및 더러는 지방 회관에도 모셔서 여러 사람으로 하여금 알기 쉽게 도해한 책자이다.” 이상의 의도에 따라 본문 내용을 살펴보면 1.강세(降世)와 유년시절(幼年時節) 2.광구천하(匡救 ...

2025-07-03 16:30

8

대순사상학술원

|

대순진리회

대순진리회 종립학교인 대진대학교 부설연구기관. 1996년 대진대학교 교책 연구소로 설립되어 대순사상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논총을 연차적으로 발간해 오고 있음.

2025-07-03 16:29

8

대법사

|

교단명

2025-07-02 01:34

8

대라천

|

정심회

대라천은 정심회 제1의 성지로서 크고(大) 비단같이 아름다운(羅) 하늘(天)이란 뜻이다. 1986년 10월부터 성전의 터를 닦기 시작하여 10여년의 노력 끝에 ‘대라궁(大羅宮)’과 ‘낙원전(樂園殿)’을 완공함으로써 신전과 영전을 동시에 마련하게 되었고 신과 조상님과 사람 천지인(天地人) 삼재가 생명창조의 산실을 이루어 인간 완성의 새로운 여명을 여는 보금자리로 기틀이 마련되었다고 한다. 또한 대라천은 전설로만 구전되던 정신계의 명당인 ‘십무극(十無極) 터’이며 성지 전체가 생명을 창조하는 분만지로서의 형국을 그대로 갖추고 있으며 이곳 대라천에 정심회를 총괄하는 총본부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종 행사 및 의례가 이곳에서 ...

2025-07-02 01:27

8

대도교

|

이 교의 전신은 우규(禹黊)로부터 비롯된다. 즉 우규가 금강산에서 김도암(金道岩)이라는 자로부터 선도의 전수를 받고 선도교라 칭하여 포교하였다. 이후 1928년 보천교 전 간부였던 이달호(李達濠)와 김응두(金應斗) 등이 발기하여 당시 경성부 낙원동에 천궁을 봉안하고 비로소 ‘대도교’라 칭하여 포교하였다. 당시는 교도수가 약 5천 명 정도 되었으나 1933년 말 경성부 숭인면 돈암리 184로 사무소를 옮겼다. 1934년 8월말 교도수는 2860여 명(남1860명 여1000명)이었다. 종지는 선도를 닦아 자아의 본령을 발하여 자기의 천성을 밝히고 천하에 포덕하는 데에 있었다. 참고문헌 : 『朝鮮의 類似宗敎』(村山智順 저 최 ...

2025-07-02 01:12

8

대공화무국

|

원종교

김중건의 대공화무국(大共和無國)은 인간은 자연적 소박한 생활로 돌아가야 한다는 내용이다. 따라서 제세주의(濟世主義)로 노장사상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것이다. 그는 대공화를 거쳐 무국(無國)을 실현하는 것이 최고의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무국의 시대로 가기 위해서는 한국의 자주독립이 선결되어야 한다고 여겼다. 참고문헌 : 「金中建의 元宗 창시와 독립운동」(이계형 『한국학논총』39집 2013)

2025-07-02 01:06

8

처음으로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