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70건
개화사상
실학
개화사상은 19세기 후반 조선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호를 개방하고 발전한 서구 문물을 적극 수용하고 근대적 제도로의 개혁과 부국강병을 이루자고 주장한 정치사상이다. 개화의 말뜻으로 보면 물질문명의 수용과 발전을 추구하고(開) 그 발전된 문명으로 우리의 풍속과 제도의 변화를 추구한(化) ‘개물화민’(開物化民)의 사상이다. 한국의 개화사상은 실학의 영향 하에서 1850∼60년대 북학파의 해외통상론(海外通商論)을 계승한 박규수ㆍ오경석ㆍ유대치 등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청의 양무운동에서 나타난 변법자강론(變法自强論)과 일본의 메이지유신에서 나타난 문명개화론의 영향을 받아 1870년대 박규수 문하에서 개화사 ...
2025-05-18 19:06

17
강순임
증산법종교
강순임(姜舜任)은 1904년 1월 15일(음) 전라북도 정읍군 덕천면 신월리에서 부친 강일순과 모친 하동정씨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강일순이 천지공사를 위해 집을 떠나면서 ‘순임을 잘 길러 장래사를 후계토록 하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1909년 강일순이 사망하고 이들 모녀를 돌봐주던 조부마저 별세하자 순임은 1916년 양씨(楊氏)에게 출가한다. 그러나 바로 시가를 떠나 모친과 함께 당시 무극도(無極道)를 창립하였던 조철제를 찾아 10년간 의탁한다. 1927년 모친 정씨가 사망하자 무극도를 떠나 여러 곳을 방황하게 되며 1937년 경북사람 김병철을 만나 전주 노송동에 ‘증산천사향원(甑山天師享院)’이라는 간판을 걸고 치성 ...
2025-05-16 15:14

17
강사만
천지대안교
천지대안교(天地大安敎)를 창시한 강사만(康四萬 1909-?)은 1909년 제주에서 태어나 20세경부터 봉남교를 신봉하다가 부경순의 천지대안도에 속하기도 했으나 여기서 이탈하여 1953년 자기 제수인 홍순화와 함께 제주도 남제주군 선산면 시흥리에서 천지대안교를 창시했다. 그는 자기가 창시한 교가 부경순의 천지대안도와 다른 것임을 나타내기위해 신행과 주문을 자기 식으로 바꾸었다. 그는 우선 해월선(海月仙 : 부경순의 도호이며 절대자를 의미)은 부경순이 아니라 홍춘화라고 주장했다. 강사만은 영단(靈壇:神壇) 중앙에 해월선지위라 쓴 액자를 그 뒤편 좌우에는 태극기와 도수기(度數旗)를 걸어놓았다. 참고문헌 : 『한국신흥종교총람』 ...
2025-05-16 15:10

17
가이아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Gaia 혹은 Gaea)는 대지의 여신이자 만물을 탄생시키는 위대한 ‘어머니 신’(Mother Goddess)이다. 이 여신이 다시 ‘소생’한 것은 20세기 후반으로 여기에는 서구의 대안적 종교운동인 신이교도주의(neo-paganism)와 뉴에이지 그리고 (지구)환경운동이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신이교도주의나 뉴에이지에서는 지구 대지 자연을 신성시하고 이들을 영성의 중요한 근원으로 간주하기에 이들이 가이아를 ‘대지(지구)의 여신’ 혹은 ‘대지(지구)의 영적 화신’으로 부르며 숭앙하는 것은 자연스런 귀결이라 할 수 있다. 1979년에는 한 과학자(James Lovelock)에 의해 ‘가이아 가설 ...
2025-04-25 15:09

17
광화김처사법언록
오방불교
본 경전은 총 3권 1책이며 활자본으로 1923년 간행되었다. 제1권은 도교(道敎)·위인(爲人)·옥성(玉成)·정심(定心)·보은(報恩)·독신(篤信)·통서(統緖) 등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권은 덕행(德行)·효우(孝友)·수신(修身)·화복(禍福)·인과(因果)·도현(道現) 등 총 6장으로 되어 있다. 제3권은 오음(五音)·영신(永信)·예경(禮敬)·가도(歌蹈)·출처(出處)·입실(入室) 등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은 오방불교가 이운규(李雲圭)로부터 그의 아들인 부련(夫蓮)과 일수(一守) 등으로 이어지는 교단의 역사적 맥락을 다루면서 오방불교가 이운규의 정통을 이어받았다는 것을 밝히고 있으며 그 외에도 ...
2025-05-31 23:15

16
광명사상보급회
광명봉천미륵진법회 창립자는 임종연이다. 임종연은 1953년 4월 25생으로 일찍이 도에 뜻을 두고 연구하다가 1981년에 경기도 광명시에서 본교를 창립 했다. 988년 1월 경기도 임진각 망배단에서 유령제 ․ 대천제 ․ 대치성을 거행했고 1988년 10월에는 서울 탑골공원에서 대천제 ․ 대치성을 드렸다. 또 1988년 12월에는 계룡산에서 세계평화기도 ․ 구국기도 ․ 남북통일기도 ․ 대천제 ․ 대치성을 드렸다. 이후 각지에서 이와 동일한 의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1991년 12월 종로 3가 금진각에서 민족 뿌리와 역사정립 민족종교부활의 구심점을 찾기 위한 모임을 갖기도 하는 등 많은 활동을 했으나 신앙대상은 영화해상 미 ...
2025-05-29 01:09

16
개천학보
개천학회
개천학회는 안호상을 총재로 하여 단군과 민족사상에 대한 연구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학회이다. 본서는 이 학회에서는 발행한 학술지로 발행인은 당시 회장이었던 송호수이며 부정기적으로 발행하였다. 주요 내용은 단군의 실재를 둘러싼 역사적 고증 및 홍익인간 사상의 정립 등을 위한 것이며 학회의 동정 등을 다루고 있다.
2025-05-18 18:50

16
각세진경십육자주문
각세도
이선평이 처음 수행을 시작하였을 때 허공에 나타났다고 하는 대보송(大寶頌) ‘천하대보정진무외(天下大寶正眞無外) 무궁조화각재자기(無窮造化各在自己)’과 그가 깨달음을 얻을 당시에 나타났다고 하는 원각주(圓覺呪) ‘원각천지무궁조화(圓覺天地無窮造化) 해탈사멸영귀영계(解脫死滅永歸靈界)’ 등이 모두 16글자로 되어 있다. 각세도계 분파에서는 이 16자 주문을 도조(道祖)와 동격으로 보면서 중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신흥종교총람』(이강오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한국신종교실태조사보고서』(김홍철·양은용·류병덕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7)
2025-05-14 12:05

16
가정맹세
통일교회
가정맹세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교자 문선명에 의하여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라는 이름으로 출발한 종단 창립 40주년이 되는 1994년 5월 1일 제정되었다. 가정맹세는 제정 당시 7절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창교자에 의하여 절이 추가되고 일부 문구가 삽입되는 변경의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최종적으로 가정맹세는 모두 8절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절은 “천일국 주인 우리 가정은 참사랑을 중심하고”로 시작되며 “맹세하나이다.”로 마무리된다. 가정맹세는 천일국(天一國)이라고 불리는 이상세계의 실현을 위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신앙인의 노력과 실천의 의지를 맹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가정맹세 1절은 다음과 같다. “천일국 ...
2025-04-25 15:14

16
만종일련
기독교대한감리회
최병헌은 이 책에서 세계 모든 종교를 바라보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모든 종교는 각기 자신만의 유일한 진리를 주장하고 있는데 종교의 성립기준은 유신론 내세론 신앙관이라는 3요소이므로 적어도 이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종교는 자기 책의 논의에서 배제된다고 하였다. 최병헌이 세운 종교의 성립기준은 매우 기독교적 특징을 함축하고 있어 기독교성취론적(基督敎成就論的) 종교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타종교를 자기종교적 관점에서 일방적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여 그에 따라 종교를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한국종교사에서 종교서술의 한 획을 그었다고 평가된다.
2025-07-07 23:46

15